목차
○불륜에 비추어 본 성과 도덕.
●간통에 관한 법률 및 사회적 관점
●학문적 관점에서의 성과 도덕
●성과 도덕의 타락이 ‘불륜’과 하나 될 때. - 스와핑
●결론
●간통에 관한 법률 및 사회적 관점
●학문적 관점에서의 성과 도덕
●성과 도덕의 타락이 ‘불륜’과 하나 될 때. - 스와핑
●결론
본문내용
본능에 의해 통제되기도 한다. 그러나 수컷들도 이성적인 상황에서는 그런 결정을 내리는 바보짓은 하지 않는다. '스와핑'은 그런 의미에서 상당한 계획이 수반되는 '쾌락' 추구 수단이다. 이성적인 판단력이 있는 상태에서는 결정을 쉽게 내리진 못했을 것이다. 만약 '아내'가 상대 '남성'에게 빠져버리기라도 한다면 남성들은 일생을 살면서 가장 큰 손실을 보게 된다. 그럼에도 왜 남성들은 스와핑을 택할까?
스와핑을 하는 남자들은 '고학력'이나 '부유층'이 많다는 것의 의미심장하다. 아프리카에서도 '일부일처제'를 유지했던 남성들은 지위와 부가 있었다. '유전자' 확보에 어려움이 없었던 남성들이 '아내'를 빌려줬던 것이다. 그러나, '스와핑'은 교환한 '아내'를 상대의 남성에게 빼앗기더라도, 그 상대의 남성의 '아내'가 확보되는 비교적 손실이 적은 게임이다. 본능적으로 '성적능력'과 '부'를 확보한 남성들이 아니면 쉽게 택할 수 없는 '쾌락충족' 수단이다.
우리나라 같은 일부일처제 사회에서 스와핑이 생겨날 수 있었던 것은 '유물론'하고도 관계가 깊지 않을까 하는 추측도 가능하다. 유물론은 '존재하는 것은 모두 물질이다' 라고 보는 입장이다. 감정이 배제된 '물질'인 인간를 교환하는 행위는 '심리적'으로 죄악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주로 인간을 대상으로 규범되어져 있는 ‘도덕’ 의 측면을 회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 할만 하다.
●결론
학우여러분들 께서도 성과 도덕이라는 주제가 ‘불륜’과 결부지어져서 드라마나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 ‘사랑과 전쟁’이나 몇해전에 유명 했던 ‘연인’ 이나 ‘클럽버터플라이’와 같은 작품들 속에서도 볼수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보아진 내용으로도 이러한 행실을 저지른 사실이 주변인에게 알려진다면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욕을 먹는일이 다반사 일거라고 봅니다.
이처럼, 저는 성과 도덕 이란 가장 은밀하고 개인적인 윤리규범중에 하나라고 생각 합니다. 따라서, 저는 ‘성적 만족’이나 ‘쾌락’ 하고 ‘도덕’ 하고의 선을 어디에 어떤 방식으로 각자가 긋느냐에 따라 각자의 생각이 달라질거라고 봅니다. 그래서 올바른 행실이 어떤건지, 어떤 것이 옳고 그른지 객관적이나 주관적이나 판단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생각 됩니다. 이러한 현실하에서
각자의 생각이나 행동을 스스로 판단 해보면서 조금은 사회나 윤리적으로 비췄을때 부끄럽거나 그른일은 아닌지 판단 해보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스와핑을 하는 남자들은 '고학력'이나 '부유층'이 많다는 것의 의미심장하다. 아프리카에서도 '일부일처제'를 유지했던 남성들은 지위와 부가 있었다. '유전자' 확보에 어려움이 없었던 남성들이 '아내'를 빌려줬던 것이다. 그러나, '스와핑'은 교환한 '아내'를 상대의 남성에게 빼앗기더라도, 그 상대의 남성의 '아내'가 확보되는 비교적 손실이 적은 게임이다. 본능적으로 '성적능력'과 '부'를 확보한 남성들이 아니면 쉽게 택할 수 없는 '쾌락충족' 수단이다.
우리나라 같은 일부일처제 사회에서 스와핑이 생겨날 수 있었던 것은 '유물론'하고도 관계가 깊지 않을까 하는 추측도 가능하다. 유물론은 '존재하는 것은 모두 물질이다' 라고 보는 입장이다. 감정이 배제된 '물질'인 인간를 교환하는 행위는 '심리적'으로 죄악이 되지 않기 때문이다. 이는 주로 인간을 대상으로 규범되어져 있는 ‘도덕’ 의 측면을 회피 하고 있다는 점에서 주목 할만 하다.
●결론
학우여러분들 께서도 성과 도덕이라는 주제가 ‘불륜’과 결부지어져서 드라마나 영화에 자주 등장하는 것을 보셨을 겁니다. ‘사랑과 전쟁’이나 몇해전에 유명 했던 ‘연인’ 이나 ‘클럽버터플라이’와 같은 작품들 속에서도 볼수 있었습니다. 여기에서 보아진 내용으로도 이러한 행실을 저지른 사실이 주변인에게 알려진다면 아직 우리나라에서는 욕을 먹는일이 다반사 일거라고 봅니다.
이처럼, 저는 성과 도덕 이란 가장 은밀하고 개인적인 윤리규범중에 하나라고 생각 합니다. 따라서, 저는 ‘성적 만족’이나 ‘쾌락’ 하고 ‘도덕’ 하고의 선을 어디에 어떤 방식으로 각자가 긋느냐에 따라 각자의 생각이 달라질거라고 봅니다. 그래서 올바른 행실이 어떤건지, 어떤 것이 옳고 그른지 객관적이나 주관적이나 판단하는 것이 쉽지 않다고 생각 됩니다. 이러한 현실하에서
각자의 생각이나 행동을 스스로 판단 해보면서 조금은 사회나 윤리적으로 비췄을때 부끄럽거나 그른일은 아닌지 판단 해보는 자세가 필요하다고 생각 합니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