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통을 추적했다. 또한 고대 일본의 ‘무스비(産靈)’ 만물을 창조하고 성장시키는 신비로운 힘
라는 개념을 재확인했는데, 이 개념은 근대 신도의 주요교리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그는 윤리의 선악 이원론을 받아들였지만, 악은 선을 위해 존재하며 변증법적으로 더 높은 선을 이루기 위한 반(反)요소라고 생각했다. 『고지키』에 대한 모토오리의 해설서인 『고지키덴 古事記傳』은 35년간에 걸친 노력 끝에 1798년에 49권으로 완성되었으며, 『모토오리 노리나가 전집 (本居宣長 全集)』(12권, 1926~27)에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① 석영 홍대균교수 환갑기념 논문집, 한국적 恨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1999.
② 스즈키 사다미(鈴木貞美),『일본의 문학개념【동서의 문학개념과 비교고찰】』, 보고사, 2001.
라는 개념을 재확인했는데, 이 개념은 근대 신도의 주요교리 가운데 하나가 되었다. 그는 윤리의 선악 이원론을 받아들였지만, 악은 선을 위해 존재하며 변증법적으로 더 높은 선을 이루기 위한 반(反)요소라고 생각했다. 『고지키』에 대한 모토오리의 해설서인 『고지키덴 古事記傳』은 35년간에 걸친 노력 끝에 1798년에 49권으로 완성되었으며, 『모토오리 노리나가 전집 (本居宣長 全集)』(12권, 1926~27)에 수록되어 있다.
※참고문헌
① 석영 홍대균교수 환갑기념 논문집, 한국적 恨의 구조와 기능에 대하여, 1999.
② 스즈키 사다미(鈴木貞美),『일본의 문학개념【동서의 문학개념과 비교고찰】』, 보고사, 2001.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