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3217m
0.4569m
0.5839m
3) 최대 수평 이동거리와 발사각 측정
각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도달 거리
(㎝)
163.2
162.5
164.3
159.8
159.8
164
159.5
154.2
156.7
최대도달
각도 (°)
43°
최대도달거리 (㎝)
164.3
6.분석 및 모의
-우리조에서는 공이 가장 멀리 날아가는 각도가 43˚로 나왔다. 들쑥날쑥한 결과이지만 그래도 각도가 커짐에 따라 공의 도달 거리가 점점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지난번 실험도 그렇고 이번 실험도 그렇고 생각보다 오차가 많이 나서 정말 당황스럽다. 이번실험에서 오차가 발생하게 된 원인은 첫째로 공기와의 마찰력을 무시하고 실험을 하여서 그렇고, 둘째로 실험 하는 사람이 런처의 줄을 당기는 과정에서 빨리 당기면 멀리 나가고 천천히 당기면 조금 밖에 못 나가는 걸로 보아 이 당기는 힘이 일정하지 않아서 오차가 발생한 것 같다. 셋째로 런처를 당기는 과정에서 원래 맞추어 놓았던 런처의 각도가 조금 틀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매 실험마다 다짐하지만 다음실험에는 오차를 더 줄일 것이다.
7.참고문헌
-일반물리학 실험(교재)
0.4569m
0.5839m
3) 최대 수평 이동거리와 발사각 측정
각도
41°
42°
43°
44°
45°
46°
47°
48°
49°
도달 거리
(㎝)
163.2
162.5
164.3
159.8
159.8
164
159.5
154.2
156.7
최대도달
각도 (°)
43°
최대도달거리 (㎝)
164.3
6.분석 및 모의
-우리조에서는 공이 가장 멀리 날아가는 각도가 43˚로 나왔다. 들쑥날쑥한 결과이지만 그래도 각도가 커짐에 따라 공의 도달 거리가 점점 줄어드는 것을 볼 수 있다.
지난번 실험도 그렇고 이번 실험도 그렇고 생각보다 오차가 많이 나서 정말 당황스럽다. 이번실험에서 오차가 발생하게 된 원인은 첫째로 공기와의 마찰력을 무시하고 실험을 하여서 그렇고, 둘째로 실험 하는 사람이 런처의 줄을 당기는 과정에서 빨리 당기면 멀리 나가고 천천히 당기면 조금 밖에 못 나가는 걸로 보아 이 당기는 힘이 일정하지 않아서 오차가 발생한 것 같다. 셋째로 런처를 당기는 과정에서 원래 맞추어 놓았던 런처의 각도가 조금 틀어지는 것을 들 수 있다.
매 실험마다 다짐하지만 다음실험에는 오차를 더 줄일 것이다.
7.참고문헌
-일반물리학 실험(교재)
추천자료
[기초물리학실험] 선운동량 보존, 충돌 및 저항력
[일반물리실험]원운동과 구심력 결과보고서
물리학실험-등가속도 운동, 마찰력
일반물리학실험레포트 포물선 운동
[일반물리실험1] 실험5. 경사면에서의 등가속도 운동 결과보고서
[일반물리실험1] 실험5. 경사면에서의 등가속도 운동 예비보고서
[일반물리실험] 포물선 운동
[물리실험 예비+결과레포트] 선운동량 보존 - 탄성충돌
물리실험보고서 - 각 운동량 보존
물리학실험 - 가속도와 뉴턴의 운동법칙
물리실험보고서 - 단진자 운동
일반물리실험 - 포사체운동
물리학1실험 결과보고서#04.등가속도 운동, 마찰력
일반물리실험 -원운동과 구심력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