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스컴과 현대사회 - 한국사회 미디어 트렌드에 대한 연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매스컴과 현대사회 - 한국사회 미디어 트렌드에 대한 연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매스컴과 현대사회 - 한국사회 미디어 트렌드에 대한 연구



Ⅰ. 서론

Ⅱ. 본론
1. 미디어 트렌드 소개
 1) 모바일의 가속화
  (1) 모바일 시장
  (2) 모바일 광고
 2) SNS
 3) N스크린
 4) 퍼스널 클라우드 컴퓨팅
 5) 앱스토어

2. 글로벌 트렌드와의 비교

3. 트렌드가 미치는 영향
 1) 개인적 차원
 2) 공동체, 사회적 차원

4. 트렌드에 대한 견해
 1) 개방형 SNS
 2) 모바일 결제
 3) 유료 앱
 4) 모바일 광고

5. 트렌드에 대한 비판적 평가와 정책 제안

Ⅲ. 결론

Ⅳ. 참고문헌

본문내용

생하고 있다. PC와는 달리 모바일에서 온라인 결제시 사용되는 신용카드 등록시 카드정보 이외 추가 인증절차가 없어서 타인에 의한 결제도 쉽게 가능하여 보안 위험성이 크다는 비판이 거셌다. 이를 개선하기 위해 카드정보로 모바일 결제가 불가능하도록 모바일에 저장된 공인인증서 또는 휴대폰 문자를 통한 인증을 추가로 도입하여 절차를 까다롭게 만들어야 한다. 지난 1월 구글 플레이스토어에서 뱅킹앱을 위변조한 피싱앱이 다수 등장하여 유저들에게 혼란과 불편을 줬었다. 특히 금융과 관련된 앱의 경우는 관련 정부 부서와 앱스토어간 협력으로 앱이 등록되는 즉시 확인 절차를 거치고 이에 따른 검증 기준도 만들어야 한다. 또한 모바일 단말기는 별도의 지정절차가 없어 아무 단말기나 결제가 가능하여 부정이체 사례가 잇따랐다. 1인당 1개의 모바일 단말기를 사전에 등록하고 등록한 모바일 단말기에서도 금융거래를 할 때 본인 인증 절차를 한번 더 거치도록 해서 과정이 번거롭지만 타인에 의한 거래가 불가능하도록 막아야 한다.
Ⅲ. 결론
지금까지 미디어 트렌드에 대해서 심층적으로 살펴보았다. 미디어의 트렌드는 기술의 변화에 의해 빠르게 바뀌고 있다. 앞서 설명한 것과 같이 현재 미디어 핵심 트렌드로는 모바일, SNS, N스크린, 퍼스널 클라우드 컴퓨팅, 앱스토어 등으로 정리할 수 있다. 이들은 계속 발전 중에 있고 더욱 우리사회를 편리하게 만들 것이다. 주요 쟁점 가운데 보안 상의 문제가 핵심이었는데 현재 정부나 관련 연구소나 대책 마련에 주력하고 있어서 다행이라 생각된다. 지속적으로 미디어 관련 종사자는 외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우리나라 사정에 맞게 수정, 보완해나가고 개개인은 트렌드를 트렌드로서 듣지말고 늘 새로운 것에 관심을 가지는 태도가 필요하다. 특히 기술의 발전과 밀접한 관련이 있기 때문에 약간의 관련지식을 갖고 있다면 유능한 얼리어댑터가 될 수 있다고 본다. 현대사회에서 미디어는 개인, 사회적 차원에서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어서 수동적으로 임하는 사람은 도태되기 쉽다. 그렇다고 무엇이든지 다 옳다고 여기는 사람도 옳지 않다. 미디어에 대해 비판적 시각을 가지고 쓴소리도 할 수 있는 사람이 되어 미디어 트렌드를 바른 방향으로 잡아갔으면 하는 바램이다.
Ⅳ. 참고문헌
- 메조미디어 모바일사업부, 2013-01-11, 2012 모바일 광고 시장 및 2013 모바일 광고시장 전망분석, 본론1.-1)-(1),(2)
http://www.mezzomedia.co.kr/contents/board/mezzodata/view/wr_id/50
- 급성장중인 SNS 핀터레스트가 주목받는 이유, 2013-03-13, 본론 1.-2)-(2)
http://jsksoft.tistory.com/8096
- 네이버ID’raku13’, 2013-03-07, SNS 트렌드 리포트, 본론 1.-2)-(2),
http://blog.naver.com/raku13?Redirect=Log&logNo=60185884046
- 삼성경제연구소, 기업의 신경쟁력 빅데이터 큐레이션(요약),2013-04-17, 본론 1.-2)-(3)
http://james_parku.blog.me/110166362755
김수동 (2012-04-11), N스크린, NZ koreapost, 본론 1.-3)
http://www.nzkoreapost.com/nz_news?mode=view&article_id=173026&board=nz_news&page=1&top_keyword=N스크린&category=02&alias=news
이동인, 2013-05-24, [SNS 세상은 지금] 러브· 멘토·유머…SNS ‘힐링시대’, MK뉴스, 본론 2. http://news.mk.co.kr/newsRead.php?year=2013&no=403591
이한선, 2013-05-15, 최문기 장관 "주파수 할당 논란 과열 우려", 아주경제, 본론 2, http://www.ajunews.com/kor/view.jsp?newsId=20130515000498
도안구, 2010-06-20, [기획-PCC] (1) ‘퍼스널 클라우드 컴퓨팅’이 다가온다, BLOTER.NET, 본론 2, http://www.bloter.net/archives/32840
장승규, 2013-05-24, [기업 위기관리] 전문가 좌담 “SNS發 이슈 빅뱅…위기관리 대수술 필요”, 본론 2,
http://magazine.hankyung.com/business/apps/news?popup=0&nid=01&c1=1001&nkey=2013052300912000181&mode=sub_view
박지성, 2013-05-20, LTE 시대 모바일 영토확장 `사활`, 본론 2,
http://www.dt.co.kr/contents.html?article_no=2013052102010831747003
이한선, 2013-05-15, 최문기 장관 "주파수 할당 논란 과열 우려", 본론 2,
http://www.ajunews.com/kor/view.jsp?newsId=20130515000498
NHN 공식 개인정보보호 블로그, 2012-07-20, 모바일 결제 안전하게 이용하고 계시나요?, 본론 4.-1), http://privacyblog.naver.com/80164818050
Antone Gonsalves, 2013-05-15, 페이스북, 개인정보 탈취 악성코드의 공격을 받다, 본론 4.-1), http://www.itworld.co.kr/news/81847
mobizen, 2013-04-24, 국내 모바일 결제 시장 현황, 본론 4.-2),
http://www.mobizen.pe.kr/1325
김동훈, 2012-01-12, "유료 앱으로 떼돈 벌려 했다고?"…톱 300앱 中 유료앱 겨우 5개, 본론 4.-3), http://www.hankyung.com/news/app/newsview.php?aid=201201124897t
박순원, 2013-05-14, 정치권 지난해 총선 `SNS 열풍` 1년후 지금 단순 홍보도구 전락, 본론 5, 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87107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3.13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59759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