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하여 수행되는 중요한단계이다. 알코올로 닦아주어 건조시켜준다. 물을 대신한 알코올은 더 효과적인 건조효과가 있다.
3. 현미경 검사 : 시편의 연마와 부식이 끝나면 현미경으로 조직을 관찰한다.
① 접안렌즈를 끼우고 저배율에서 대체적인 초점을 맞춘다.
② 초점조정을 한다. 우선 저배율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육안으로 보면서 시편에 대물렌즈를 가까이 접근시킨 다음 접안렌즈를 통하여 조동 손잡이로 대강의 초점을 맞춘 후 미동손잡이로 정확히 초점을 맞춘다.
③ 초점이 맞은 상태에서 조직을 관찰하게 되는데, 처음의 관찰배율은 100~200배 정도의 저배율이 좋으며 차차 고배율로 옮기도록 한다. 그 이유는 처음부터 고배율로 관찰하게 되면 전체적인 조직의 특징을 알 수 없게 되며 국부적으로만 관찰하게 되기 때문이다.
현미경 사진을 촬영할 경우에는 특히 초점을 잘 맞추고 적당한 배율, 밝기 등을 조절한다.
4. 결론
Mounting 할 때에 가장 주의 점은 시편표면의 Grease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시편과 수지사이의 접착력을 최상의 조건으로 유지시켜야한다는 것이다. 이과정이 잘못되면 틈이 생겨 Polishing시에 틈에 연마재 및 윤활제가 들어가 원만한Polishing을 할 수가 없게 된다.
스크래치가 조금 있지만 괜찮은 편인 듯하다. 부식이 잘 안돼서 2번이나 부식을 했었는데, 확실히 경계가 더 뚜렷하고 잘 보이는 것 같다. 부식이 조금만 더 잘 되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은 약간 남지만, 나름 균일하게 잘 연마된 듯하다. 현미경 관찰을 할 때보니 연마할 때 산이 생기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던 말이 이해가 되었다.
3. 현미경 검사 : 시편의 연마와 부식이 끝나면 현미경으로 조직을 관찰한다.
① 접안렌즈를 끼우고 저배율에서 대체적인 초점을 맞춘다.
② 초점조정을 한다. 우선 저배율 대물렌즈를 사용하여 육안으로 보면서 시편에 대물렌즈를 가까이 접근시킨 다음 접안렌즈를 통하여 조동 손잡이로 대강의 초점을 맞춘 후 미동손잡이로 정확히 초점을 맞춘다.
③ 초점이 맞은 상태에서 조직을 관찰하게 되는데, 처음의 관찰배율은 100~200배 정도의 저배율이 좋으며 차차 고배율로 옮기도록 한다. 그 이유는 처음부터 고배율로 관찰하게 되면 전체적인 조직의 특징을 알 수 없게 되며 국부적으로만 관찰하게 되기 때문이다.
현미경 사진을 촬영할 경우에는 특히 초점을 잘 맞추고 적당한 배율, 밝기 등을 조절한다.
4. 결론
Mounting 할 때에 가장 주의 점은 시편표면의 Grease 및 이물질을 제거하여 시편과 수지사이의 접착력을 최상의 조건으로 유지시켜야한다는 것이다. 이과정이 잘못되면 틈이 생겨 Polishing시에 틈에 연마재 및 윤활제가 들어가 원만한Polishing을 할 수가 없게 된다.
스크래치가 조금 있지만 괜찮은 편인 듯하다. 부식이 잘 안돼서 2번이나 부식을 했었는데, 확실히 경계가 더 뚜렷하고 잘 보이는 것 같다. 부식이 조금만 더 잘 되었더라면 하는 아쉬움은 약간 남지만, 나름 균일하게 잘 연마된 듯하다. 현미경 관찰을 할 때보니 연마할 때 산이 생기지 않도록 조심해야 한다던 말이 이해가 되었다.
추천자료
`멀티테스터에 의한 저항 측정` 실험보고서
골재의 체가름 실험보고서
초음파 탐상검사 (비파괴) 실험보고서
탄수화물 정성 실험보고서
주자전자현미경(SEM) 실험보고서
[공학]Al과 Cu의 인장강도 실험보고서
'화산이란? 암석의 특징'의 실험보고서
양이온 치환 용량 (CEC) 실험보고서
경도(로크웰) 실험보고서
질산 포타슘(KNO3)의 용해도 실험보고서 : 온도에 따를 용해도의 변화를 이해하고, 이를 이용...
[일반생물학 및 실험보고서 Experiment Report] 현미경 - 현미경의 종류, 구조, 기능 및 세포...
[일반 생물 및 실험보고서] 동물세포 및 식물세포의 관찰
산가, 비누화가 측정 실험보고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