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가 증가한 것으로 나왔는데 이는 가열과정 중에서 가습이 일어났거나 실험 과정 중 오차 때문일 것이다. 오차에 관해서는 뒤에 설명하겠다. 그에 비해 (2)와 (3) 사이에서는 가습이 된 구간임에도 불구하고 절대 습도가 거의 일정하게 나타났다. 가습 구간에서 이런 데이터 값이 나온 것은 이해하기 힘든 부분인데 (1)과 (2)사이에서 가열, 가습이 동시에 되고 (2)와 (3)사이는 가습이 일어나지 않았다고 봐야 이런 결과가 타당 할 것이다. 이번 실험은 매우 큰 오류가 발생한 것으로 결론지을 수 있다. 그리고 현열변화량이나 잠열변화량, 전열변화량을 보면 두가지 방법으로 구한 값이 비슷하긴 했으나 오차가 발생하였다. 이것은 습공기 선도를 이용해서 엔탈피와 절대습도를 구한 것이기 때문에 읽을 때 오차가 발생하였고 25℃, 1기압에서 적용되는 습공기 선도인데 실험 환경이 그에 맞지 않았을 수 있다.
냉동실험을 보면 냉매 유량이 많아지면 냉동 능력이 좋아진다. 그러나 냉동 효과는 일정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R-22의 특성 표를 이용하여 엔탈피를 구하였는데 온도와 압력에 일치하는 부분의 선도가 표시되지 않아 엔탈피 값을 얻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오차가 발생한 이유
- 실험을 할 때 시간이 넉넉하지 않아 건구온도나 상대습도를 측정할 때 정상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시점에서 측정을 하여 정확한 값을 얻어내지 못하였고, 압력을 읽을 때에도 눈높이 등 오류가 발생하였을 수 있다.
- 습도 도표를 통해 습구온도, 습도, 엔탈피를 구할 때 정확한 지점에서 값을 구한 것이 아니라 어림잡아 값을 구하였고 도표가 25℃, 1기압에서 적용되는 습공기 선도인데 실험 환경이 그에 맞지 않았을 수 있다.
- 마지막으로 실험 장비 자체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앞에 결과와 같이 가열 부분에서 가습이 되었고, 가습부분에서 가습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수 있다.
6. 고 찰
열역학 수업 시간에 배운 냉동사이클과 공기조화에 대해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쉬운 실험이라고 생각되었는데 막상 결과값을 분석해보니 큰 오차를 보였고, 잘못된 실험이었다는 것을 알았다. 오차에 원인에 대해서는 앞에서 살펴보았다. 값을 얻는데 좀 더 신중히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지켜봐야 했었지만 시간 제약 때문에 그러지 못했던 것 같다. 도표를 통해 값을 얻어 값들을 분석하고 실험과정을 익혔던 것에 만족한다. 다음에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게 다시 실험을 해봤으면 한다.
냉동실험을 보면 냉매 유량이 많아지면 냉동 능력이 좋아진다. 그러나 냉동 효과는 일정하다는 것을 볼 수 있다. R-22의 특성 표를 이용하여 엔탈피를 구하였는데 온도와 압력에 일치하는 부분의 선도가 표시되지 않아 엔탈피 값을 얻는데 어려움이 있었다.
오차가 발생한 이유
- 실험을 할 때 시간이 넉넉하지 않아 건구온도나 상대습도를 측정할 때 정상상태에 도달하지 않은 시점에서 측정을 하여 정확한 값을 얻어내지 못하였고, 압력을 읽을 때에도 눈높이 등 오류가 발생하였을 수 있다.
- 습도 도표를 통해 습구온도, 습도, 엔탈피를 구할 때 정확한 지점에서 값을 구한 것이 아니라 어림잡아 값을 구하였고 도표가 25℃, 1기압에서 적용되는 습공기 선도인데 실험 환경이 그에 맞지 않았을 수 있다.
- 마지막으로 실험 장비 자체에 오류가 있을 수 있다. 앞에 결과와 같이 가열 부분에서 가습이 되었고, 가습부분에서 가습이 이루어지지 않았을 수 있다.
6. 고 찰
열역학 수업 시간에 배운 냉동사이클과 공기조화에 대해 알아보는 실험이었다. 쉬운 실험이라고 생각되었는데 막상 결과값을 분석해보니 큰 오차를 보였고, 잘못된 실험이었다는 것을 알았다. 오차에 원인에 대해서는 앞에서 살펴보았다. 값을 얻는데 좀 더 신중히 정상상태에 도달할 때까지 지켜봐야 했었지만 시간 제약 때문에 그러지 못했던 것 같다. 도표를 통해 값을 얻어 값들을 분석하고 실험과정을 익혔던 것에 만족한다. 다음에 정확한 값을 얻을 수 있게 다시 실험을 해봤으면 한다.
추천자료
[냉동기] 냉동기 성능실험
레이놀즈수 측정실험 (유체역학)
공기 물 대류 실험보고서
공압실험(공기의 운동이나 현상 제어용 매체)
[결과 보고서] 물리-역학적 에너지 보존 실험
[물리실험] 역학적 에너지보존
[물리실험] -4- 탄환의 속도측정 - 탄동진자와 발사체에 의해 탄환의 속도를 구하고 충돌에서...
[일반물리학실험] 역학적 에너지 보존
[물리 실험 보고서] 열전도도
카르노사이클 (R633, R712) 실험
유체역학 - 소형개수로 실험
일반물리학실험 - 역학적 에너지 보존
[일반물리학실험 보고서] 선운동량 보존 법칙 : 공기 미끄럼대를 이용하여 1차원 탄성 충돌과...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