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
48
-
49
-
50
-
51
-
52
-
53
-
54
-
55
-
56


목차
1. 물류관리
1.1 물류 및 물류관리의 개념, 기능 및 범위
1.2 물류 및 물류관리의 목표와 원칙
1.3 전자상거래와 물류 유통 환경변화
1.4 물류관리의 새로운 접근: 물류정보/유통정보시스템
1.5 물류 EDI
2. 배송정책
2.1 배송시스템의 개념과 기능
2.2 공동배송
2.3 전자상거래와 배송
3. 상품구매 프로세스
1.1 물류 및 물류관리의 개념, 기능 및 범위
1.2 물류 및 물류관리의 목표와 원칙
1.3 전자상거래와 물류 유통 환경변화
1.4 물류관리의 새로운 접근: 물류정보/유통정보시스템
1.5 물류 EDI
2. 배송정책
2.1 배송시스템의 개념과 기능
2.2 공동배송
2.3 전자상거래와 배송
3. 상품구매 프로세스
본문내용
1. 물류관리 - 물류의 개념 및 범위(1)
물류의 개념
▇ 개념적 어원: Physical Distribution -> 물적 유통 -> 물류
▇ 좁은 의미: 생산지점에서 소비 또는 유통지점까지의 재화의 이동
=> 미국 마케팅 협회(AMA)의 정의
▇ 넓은 의미: 원자재의 조달로부터 제품의 생산과정을 거처 최종 소비자들에게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에서의 재화의 이동
=> 로지스틱스 학회의 정의
▇ 대한상공회의소의 정의:
“재화를 공급자로부터 수요자에게 이동시켜 시간적, 공간적 가치를 창조하는 경제활동”
=> 로지스틱스 학회의 정의를 포괄함
1. 물류관리 - 물류의 개념 및 범위(2)
물류의 범위
물류의 개념을 넓은 의미의 로지스틱스 개념으로 이해할 때,
물류는 조달 - 생산 - 판매 과정에 걸쳐 있기 때문에, 전체 물류에는
다음과 같은 개별 물류들이 포함된다.
≪ 그 림 ≫
1. 물류관리 - 물류의 개념 및 범위(3)
물류의 범위
▇ 조달물류: 조달업자로부터 제조업자의 자재창고에 입고될 때까지의 재화의 흐름
▇ 생산물류(사내물류): 제조업자의 자재창고에서 생산공정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운반, 하역하고, 생산공정이 완료된 후, 다시 제품창고에 입고시키기까지의 재화의 흐름
▇ 판매물류: 제조업자의 제품창고에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재화의 흐름
▇ 폐기/회수물류: 소비자로부터 생산/판매자로의 역 이동
≪ … 중 략 … ≫
2. 배송정책 - 개념 및 정의 (1)
배송시스템
▇ 운송: 제품을 공급지와 수요지 간의 단순한 공간적 이동
-> 단순 수송, 단순 운반의 의미
▇ 배송: 제품 배달, 설치 및 사용법 교육 등을 포함
-> 단순수송/운반의 의미를 포괄하는 넓은 의미의 서비스
▇ 배송시스템: 판매자의 물류센터에서 소비자에게 제품을 인도하고, 설치 및 사용법 교육 등을 수행하는 종합 물류서비스
=> 과거처럼 제품의 단순 수송 / 운송의 기능으로 이해하지 않고 운반, 설치, 교육 등의 포괄적인 토털 서비스 개념으로 이해되며, 물류비용 절감, 고객서비스 향상, 효율적인 인력배치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물류시스템 구축만큼이나 중요하다.
2. 배송정책 - 개념 및 정의 (2)
배송시스템의 기능
▇ 기본적인 배송기능: 정해진 시간, 정해진 장소로 운반, 수송
▇ 판매와 생산의 조절 기능: 판매량과 재고량을 분석하여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해야 함.
▇ 고객주문(오더등록) 등록기능: 제품정보 등록, 주문자 정보 등록, 배달요구시간, 수급대행 처리, ...
▇ 출고처리 기능: 재고, 신용상태 파악하여 자동출고, 거래명세의 자동처리가 가능해야 함.
▇ 택배 진행관리 기능: 배송과정/상태 파악
▇ 사후관리 기능:
물류의 개념
▇ 개념적 어원: Physical Distribution -> 물적 유통 -> 물류
▇ 좁은 의미: 생산지점에서 소비 또는 유통지점까지의 재화의 이동
=> 미국 마케팅 협회(AMA)의 정의
▇ 넓은 의미: 원자재의 조달로부터 제품의 생산과정을 거처 최종 소비자들에게 이르기까지의 전 과정에서의 재화의 이동
=> 로지스틱스 학회의 정의
▇ 대한상공회의소의 정의:
“재화를 공급자로부터 수요자에게 이동시켜 시간적, 공간적 가치를 창조하는 경제활동”
=> 로지스틱스 학회의 정의를 포괄함
1. 물류관리 - 물류의 개념 및 범위(2)
물류의 범위
물류의 개념을 넓은 의미의 로지스틱스 개념으로 이해할 때,
물류는 조달 - 생산 - 판매 과정에 걸쳐 있기 때문에, 전체 물류에는
다음과 같은 개별 물류들이 포함된다.
≪ 그 림 ≫
1. 물류관리 - 물류의 개념 및 범위(3)
물류의 범위
▇ 조달물류: 조달업자로부터 제조업자의 자재창고에 입고될 때까지의 재화의 흐름
▇ 생산물류(사내물류): 제조업자의 자재창고에서 생산공정이 이루어지는 곳으로 운반, 하역하고, 생산공정이 완료된 후, 다시 제품창고에 입고시키기까지의 재화의 흐름
▇ 판매물류: 제조업자의 제품창고에서 소비자에게 전달되기까지의 재화의 흐름
▇ 폐기/회수물류: 소비자로부터 생산/판매자로의 역 이동
≪ … 중 략 … ≫
2. 배송정책 - 개념 및 정의 (1)
배송시스템
▇ 운송: 제품을 공급지와 수요지 간의 단순한 공간적 이동
-> 단순 수송, 단순 운반의 의미
▇ 배송: 제품 배달, 설치 및 사용법 교육 등을 포함
-> 단순수송/운반의 의미를 포괄하는 넓은 의미의 서비스
▇ 배송시스템: 판매자의 물류센터에서 소비자에게 제품을 인도하고, 설치 및 사용법 교육 등을 수행하는 종합 물류서비스
=> 과거처럼 제품의 단순 수송 / 운송의 기능으로 이해하지 않고 운반, 설치, 교육 등의 포괄적인 토털 서비스 개념으로 이해되며, 물류비용 절감, 고객서비스 향상, 효율적인 인력배치 등의 효과를 거둘 수 있기 때문에, 효율적인 물류시스템 구축만큼이나 중요하다.
2. 배송정책 - 개념 및 정의 (2)
배송시스템의 기능
▇ 기본적인 배송기능: 정해진 시간, 정해진 장소로 운반, 수송
▇ 판매와 생산의 조절 기능: 판매량과 재고량을 분석하여 생산량을 조절할 수 있는 기능을 수행해야 함.
▇ 고객주문(오더등록) 등록기능: 제품정보 등록, 주문자 정보 등록, 배달요구시간, 수급대행 처리, ...
▇ 출고처리 기능: 재고, 신용상태 파악하여 자동출고, 거래명세의 자동처리가 가능해야 함.
▇ 택배 진행관리 기능: 배송과정/상태 파악
▇ 사후관리 기능:
추천자료
물류의 개념 및 물류활동의 구성요소/ 물류관리의 정의 및 전망
[수출기업의 국제물류] 국제물류의 합리화방안, 국제물류 시스템의 형태와 선택, 운영 및 하...
[소매 물류관리] 물류관리의 중요성과 물류 및 물류활동의 내용, 물류의 미래 - 물유의 내용,...
국제물류전략 - 국제물류는 어떻게 나가야 할까요?, 국제물류전략의 성공사례연구, 시작합니다!
[A+] 한국 물류기업의 중국 서부지역 진출 성공전략 - 현황 및 연구의 목적, 공동물류센터를 ...
유통합리화사업(유통물류합리화사업)의 사업계획서, 유통합리화사업(유통물류합리화사업)의 ...
[동북아][동북아시아][물류][중국][러시아][일본][북한]동북아(동북아시아)의 중국 물류교역,...
[물류관리사 시험대비 요약본] (물류관리, 물류합리화, 표준화, 모듈화, 공동화, 물류마케팅,...
[물류정보시스템 (사례중심분석)] 물류정보시스템의 기업 사례 조사 (물류정보시스템, 북센, ...
글로벌 물류관리 필요성 (글로벌 물류관리 필요성, SCM 정의, 기능과 효과, 등장배경과 목적 ...
대한통운의 자동통합배차시스템,CJ GLS 통합배차시스템,첨단물류기술과 물류공동화,3PL(3자 ...
운영관리 사례 연구 보고서 - CJ대한통운(前CJ GLS)의 물류관리 혁신을 중심으로 (CJ대한통운...
미국 물류의 이해 - 미국의 물류발전 과정과 요인, 미국의 해상운송, 미국의 항공운송, 미국...
항공물류론 - 해외직구, 해외직구가 항공물류에 미치는 영향 ( 연구의 배경 및 목적, 정의,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