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미혼모란 무엇인가?
2. 한국에서 미혼모란?
3. 미혼모 얼마나 되는가?
4. 미혼모 자녀의 입양, 해외 입양에 대한 각성
5. 변화된 미혼모의 태도
6.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편견
7. 마무리
참고문헌
2. 한국에서 미혼모란?
3. 미혼모 얼마나 되는가?
4. 미혼모 자녀의 입양, 해외 입양에 대한 각성
5. 변화된 미혼모의 태도
6. 미혼모에 대한 사회적 편견
7. 마무리
참고문헌
본문내용
지급되는 수당보다 훨씬 더 많다. 친어머니가 키우는 것보다 다른 부모가 키우는 것에 더 보상을 제공하는 것이다. 역시 결혼제도 내에서 아이를 키워야 한다는 관점이 깔려 있다. 정부의 예산 지원으로 이루어지는 정기적으로 실시되는 전국 출산력 조사에서도 기혼자 중심으로 수집되고 있다. 미혼모 출산력을 조사하는데 국가예산을 투입하는 것에 대한 “도덕적란”을 피하기 위해서라고 생각된다. 2005년 보건복지부가 지원한 인공임신중절 태 조사에서 미혼자들의 낙태와 관련된 통계가 발표되었는데, 결과는 충격적이다. 미혼자의 인공 임신중절율이 기혼자보다 높게 나왔다. 그러한 상황은 이미 진행되고 있었기에 이 사실이 밝혀졌다고 해서 우리사회가 “부도덕하게”게 되는 것은 아니다. 남들이 덮어두려는 현실을 캐내는 용기가 “도덕”의 시작이다. 미혼모 가족을 손가락질하고 외면하는 것은 “도덕”이 아니다. 이들의 문제에 솔직하게 접근하고 공론화하는 것이 “도덕”을 향한 첫걸음이라고 생각한다.
참고문헌
고려대학교보건복지부. 2005.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및 종합대책 수립.
관계부처 합동. 2006.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김유경조애저노충래. 2006. 미혼모의 출산양육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대한사회복지회. 2007. 미혼모 시설 입소자 조사 통계 자료.
안순덕외. 1984. 미혼모 실태에 관한 연구한국여성개발원.
허남순노충래허소영조수민. 2005. 미혼모부자 종합대책에 관한 연구. 여성가족부.
홍순혜김혜래이혜원변귀연정재훈이상희. 2007. 청소년 미혼모의 교육권 보장 실태
조사국가인권위원회.
참고문헌
고려대학교보건복지부. 2005. 인공임신중절 실태조사 및 종합대책 수립.
관계부처 합동. 2006. 제1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
김유경조애저노충래. 2006. 미혼모의 출산양육환경 개선을 위한 사회적 지원방안.
한국보건사회연구원.
대한사회복지회. 2007. 미혼모 시설 입소자 조사 통계 자료.
안순덕외. 1984. 미혼모 실태에 관한 연구한국여성개발원.
허남순노충래허소영조수민. 2005. 미혼모부자 종합대책에 관한 연구. 여성가족부.
홍순혜김혜래이혜원변귀연정재훈이상희. 2007. 청소년 미혼모의 교육권 보장 실태
조사국가인권위원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