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용한문] 지하철 1호선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 38
  • 39
  • 40
  • 41
  • 42
  • 43
  • 44
  • 45
  • 46
  • 47
해당 자료는 10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0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실용한문] 지하철 1호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노선도 만들기 (1호선)

2.노선도 한자로 변환하기

3.노선도 각 역의 한자 음과 훈 적기

4.각 역의 유래 및 정보 파악

본문내용

평동이 나누어 관할하는 평택동이 되었다.
연계노선
도시공학
참고자료
성 환 역
成(이룰 성) 歡(기뻐할 환) 驛(역참 역)
위 치
충청남도 천안시 성환읍
면 적
57.06 ㎢
인 구
30,656 명 (2006)
문 화 재
봉선홍경사사적갈비(국보 7)
지명유래
동쪽은 입장면(笠場面), 서쪽은 아산시 둔포면(屯甫面), 남쪽은 직산읍(稷山邑), 북쪽은 평택시·팽성읍(彭城邑)과 안성시 공도읍(孔道邑)에 접한다. 백제 때는 위례성(慰禮城)이라 칭하였으며, 고려시대에는 파산현으로 개칭, 조선시대에는 직산군 이서면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천안군 성환면으로 개칭되었으며, 1974년 읍으로 승격하였다
연계노선
도시공학
참고자료
직 산 역
稷(기장 직) 山(뫼 산) 驛(역참 역)
위 치
충청남도 천안시 직산읍
면 적
30.5 ㎢
인 구
24,761 명 (2006)
문 화 재
직산현 관아, 직산 사산성, 직산향교, 민익현가옥, 마정리(馬井里) 성터
지명유래
조선시대에는 직산군에 속하다가 1914년 3월 천안군·목천군과 함께 천안군으로 통합되면서 성산면(城山面)이 되었다. 1920년 직산면으로 바뀐 뒤, 1963년 1월 천안읍과 환성면이 천안시로 승격하면서 천원군 관할이 되었다가, 2002년 1월 1일 천안시 조례에 따라 목천면(木川面)과 함께 읍으로 승격하였다.
연계노선
도시공학
참고자료
두 정 역
斗(말 두) 井(우물 정) 驛(역참 역)
위 치
충청남도 천안시 두정동
면 적
150.25 ㎢
인 구
40,742 명
문 화 재
두정동선사유적지와 말우물(원두정), 구터, 신주막, 새터말(신대), 점촌(店村)
지명유래
천안군 북이면(北二面) 지역이다.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북이면 상두정(上斗井)과 북일면(北一面)의 신주막(新酒幕)을 병합하여 천안군 영성면(寧城面) 두정리가 되었다. 1920년 영성면이 천안면으로 개칭되어 천안면 관할이 되었으며, 1931년 천안면이 천안읍으로 승격되면서 환성면(歡城面)으로 편입되었다. 1963년 천안읍과 환성면이 통합, 천안시로 승격됨에 따라 두정동으로 개칭되어 천안시 부성동 관할의 법정동이 되었다.
연계노선
도시공학
참고자료
천 안 역
天(하늘 천) 安(편안할 안) 驛(역참 역)
위 치
충청남도 천안시 동남구 대흥동
면 적
8.14㎢
인 구
2만 4919명(2008)
문 화 재
천안향교, 유효걸장군영정 및 교지
지명유래
1920년 영성면이 천안면으로 개칭되면서 행정구역을 개편하여 읍내리의 일부를 갈라서 일본식 동명인 본정(本町)이라 하였다. 1931년 천안면이 읍으로 승격되어 천안읍 관할이 되었으며, 1946년 일본식 동명을 일제히 바꿈에 따라 대흥동으로 고쳤다. 1963년 천안읍이 환성면(歡城面)과 통합, 천안시로 승격됨에 따라 천안시 중앙동 관할의 대흥동이 되었다.
연계노선
경부선 / 호남선 / 전라선 / 경전선 / 동해남부선 / 장항선
도시공학
참고자료
하천 연변에 전개된 구릉지가 뒤섞인 평지는 땅이 비옥하여 농업의 적지가 되고 있다. 서·북부 내륙평야지에서는 과수·영농이 발달하였고, 동·남부의 중산간지는 고소득 작목과 관광지로 개발되어 있다.
아 산 역
牙(어금니 아) 山(뫼 산) 驛(역참 역)
위 치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면 장재리 305번지
면 적
42.17 ㎢
인 구
7,815
문 화 재
지석총(고인돌무덤) 아산맹씨행단( 牙山孟氏杏壇 )
지명유래
옛날 어느 도인이 쑥고개를 올라가서 언젠가는 이 부락에 연꽃(蓮花)이 필 것이고, 잘 사는 마을이 될 것이라고 예언을 하였다는데 그때부터 "연화고을"이라 칭하였다 함.
연계노선
장항선
도시공학
참고자료
첨단 산업지대로 부상하고 있는 광역아산만권의 중심도시로서 서해로는 아산만을 끼고 있을 뿐만 아니라 동으로 봉강천, 서로는 삽교천, 중앙으로는 곡교천 등 그 유역을 따라 기름진 옥토와 국내 유수의 온천수 등이 분포되어 있다. 농촌과 어촌을 동시에 형성하고 있으며 수도권에 인접해 있고, 서해안 지역발전의 입지조건이 양호한 곳으로 아산항 종합개발, 고속철도 역세권 개발과 현충사·도고온천·아산온천·광덕산·삽교호 등 유수한 관광자원을 보유하고 있어 지역개발 잠재력이 풍부한 고장으로 지목받고 있다.
배 방 역
排(밀칠 배) 芳(꽃다울 방) 驛(역참 역)
위 치
충청남도 아산시 배방면 구령리
면 적
49.7㎢
인 구
44,769
문 화 재
전세 맹고불 유물 , 배방산성
지명유래
본래 온양군 삼북면 지역으로서 구 지형이 구렁이와 같으므로 구렁이 또는 구령이라 하였다 하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수청리, 오 류동 일부를 병합하여 구령리라 하여 아산군 탕정면에 편입되었다가 다시 배방면에 편입됨.
연계노선
장항선
도시공학
참고자료
온 양 온 천 역
溫(따뜻할 온) 陽(볕 양) 溫(따뜻할 온) 泉(샘 천) 驛(역참 역)
위 치
충청남도 아산시 온천2동
면 적
42.31㎢
인 구
10만 4737명
문 화 재
영괴대, 온천리 석불, 이충무공사적비, 신정비, 온양 어의정
지명유래
원래 온양군 서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따라 하화리 일부를 병합하여 온천리라 하고 온양읍에 편입하였다. 1986년 온양시 승격에 따라 온천1동이 되었고, 1995년 1월 온양시와 아산군의 통합으로 온양온천1동이 되었다. 지명은 온천이 있다는 데서 유래하였다.
연계노선
장항선
도시공학
참고자료
한국에서 가장 오래된 온천의 하나로, 온도 44~57℃, pH 9.0의 알칼리성 단순천이다. 현충사를 비롯하여 부근에 충무공기념각·민속박물관·보관사·백련암 등 문화재·사적·경승지가 많아서 관광·휴양객의 발길이 사철 끊이지 않는다.
신 창 역
新(새 신) 昌(창성할 창) 驛(역참 역)
위 치
충청남도 아산시 신창면 행목리
면 적
39.85km
인 구
20,360
문 화 재
학성산성 , 신창향교
지명유래
신창군 대동면 지역으로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칠목리, 행촌, 잉동 일부를 병합하여 행촌과 칠목의 이름을 따서 행목리라 하였고 아산군 학성면에 속했다가 명칭 개정으로 신창면에 편입되었다. 현재 자연부락인 행목1, 2리와 아파트 부락(대주아파트)으로 구성되어 있다.
연계노선
장항선
도시공학
참고자료
  • 가격4,000
  • 페이지수47페이지
  • 등록일2015.03.15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029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