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250mg/dl 정도일 경우라도 소변 검사시 케톤체가 검출되면 약물로 혈당을 조절 한 후에 운동을 해야 합니다.
특별한 금기사항이 없다면 개인의 운동취향에 따라 일반적으로 30분 이상 지속할 수 있고 전신의 큰 근육을 사용하는 유산소 운동이 좋습니다. 1회 운동 시간이 짧을 경우 신체내의 당질대사능력 개선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30분 이상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산소 운동에는 걷기, 조깅, 수영, 자전거 타기 등이 속합니다.
운동의 강도는 중등도 정도 즉, 본인의 최대 심박수의 60~75%정도로 운동에 대해 ‘보통이다~약간 힘들다’ 정도로 느끼는 것입니다. 운동의 적정시간대는 식후 1~2시간 뒤 혈당치가 높이 상승 했을 때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운동이 길어질 경우 운동 중간에 사탕, 주스 등 당분을 약간 섭취한다면 저혈당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규칙적인 운동을 할 경우 의사와 상의하여 인슐린 복용량을 줄이는 것이 효과적이며 운동의 효과는 3일만 지나면 없어지므로 운동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1주일에 3회 이상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 식이
정해진 칼로리를 지킨다.
당뇨가 있을 때는 체중을 조절하는 일을 제일 먼저 해야 하며 섭취하는 칼로리를 낮춰 체중을 줄입니다. 더불어 밥을 먹을 때는 백미보다는 현미를 먹음으로써 소화 흡수 되는 시간을 늘리고 혈당치가 천천히 올라가도록 해 혈당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규칙적으로 식사한다.
식사를 거르면 과식할 위험성이 있을 뿐 식사 간격이 짧을 때는 혈당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규칙적인 식사로 혈당을 안정시키도록 합니다.
영양 밸런스를 맞춘다.
음식을 섭취할 때는 열량도 지켜야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식품을 가리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당뇨가 있다고 해서 탄수화물과 지방을 멀리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영향소를 골고루, 필요한만큼 먹어주어야 합니다.
탄수화물은 50~60%, 지방은 30%(단, 포화지방은 10%), 단백질은 12~20%를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여기에 비타민과 미네랄을 같이 섭취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단 음식은 피한다.
단 음식은 당뇨의 최대 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음식 섭취 후 30분 뒤의 혈중 포도당의 수치를 측정한 것을 혈당 지수라고 하는데 이 혈당지수를 높이는 식품은 인슐린 감수성을 떨어뜨리고 저항성을 높이므로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과자, 케이크, 초콜릿, 아이스크림, 탄산음료, 쥬스, 알코올을 피해야 하며 과일의 경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음식이라고 생각되지만 과당 형태의 당분이 들어 있을 뿐 아니라 많이 먹을 경우 칼로리 흡수량도 많아지게 되므로 과일은 적당량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식이섬유를 충분히 섭취합니다.
채소와 해조류에는 비타민과 미네랄, 식이섬유가 많이 들어있습니다. 이 식이섬유는 배변을 도와 포도당이 많이 흡수되지 않고 빠져나가게 합니다. 따라서 혈액 속으로 흡수되는 포도당의 양을 줄여 혈당치가 올라가는 것을 막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의 손상예방
당뇨 발 관리 8가지 계명
미국에서는 다리 절단 환자의 50-70%가 당뇨환자라고 합니다. 당뇨가 있으면 발에 가벼운 상처만 생겨도 궤양, 괴저 등 심각한 합병증이생기기 쉽습니다. 발의 감각이 무뎌지고 혈액순환이 나빠지기 때문인데요. 심하면 다리를 절단하는 경우도 올 수 있습니다.
- 매일 상처나 무좀 등 이상이 생기는지 발을 주의 깊게 본다.
- 발은 너무 습하거나 너무 건조하지 않게 한다.
- 발에 뜨겁거나 찬 자극을 가하지 않는다.
- 발톱은 일직선으로 깎되, 너무 바짝 깎지 않는다.
- 작은 신발은 신지 않되 앞이 막한 신발을 신는다.
- 혈액순환의 장애를 초래하는 자세를 피한다.
- 가능하면 맨발로 다니지 않고 양말을 신는 게 좋다.
- 티눈이나 굳은살이 생기더라도 잘라내거나 티눈 빼는 약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겨울철 발 관리법
①겨울철에는 어떤 일이 있어도 발가락에 상처를 내면 안 된다.
발톱을 깎거나 티눈을 제거할 때 상처가 나지 않도록 조심하고 꽉 끼는 신발 등으로 발가락 등 쪽에 상처를 내는 일도 삼간다.
②목욕을 할 때는 적정한 온도인지를 먼저 확인한다.
뜨거운 목욕물에 입은 화상이 궤양이 되면 문제가 심각해진다.
탕에 들어가더라도 손발이 불어서 피부가 변화되지 않도록 빨리 끝낸다.
③난방기 사용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발의 감각이 떨어진 당뇨환자들은 전열기구를 되도록 피하도록 한다.
사우나, 찜질방 이용도 위험하다. 자칫 크고 작은 화상을 유발해 잘못하면 돌이킬 수 없는 화를 입을 수 있다.
④발바닥이나 발등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보습제를 바른다.
또 필요할 경우 예방을 위해 당뇨환자용 특수신발을 착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필요한 추후 관리 방법
① 자가혈당 측정은 당뇨관리의 기본
대부분은 아침공복, 식 후 2시간, 잠자기 전 하루 3번 자가혈당 관리를 합니다. 소독 솜으로 닦은 후 손가락 가장자리를 채혈합니다.
⊙ 그렇다면 자가혈당 측정은 왜 필요할까요?
- 혈당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여 목표혈당을 유지하기 위해서
- 음식에 따른 혈당변화를 알고 관리하기 위해서
- 운동에 따른 혈당변화를 알고 관리하기 위해서
- 스트레스에 따른 혈당변화를 알고 관리하기 위해서
- 저혈당 및 고혈당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
- 인슐린, 경구약의 효과를 알기 위해서
② 올바른 식습관을 통해서 적당한 혈당조절과 좋은 영양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③ 적절한 운동은 혈당조절과 체중조절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합병증의 예방과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운동 중에 올 수 있는 저혈압관리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④ 식사요법, 운동요법과 함께 적절한 약제를 사용하면 당뇨병성 합병증을 예방하고 지연시 킬 수 있습니다.
- 경구용 혈당 강하 제
- 인슐린 주사 제
⑤ 많은 당뇨병 환자들이 발 관리를 소홀히 하다가 발을 절단하는 불행까지 겪기도 합니다.
매일매일 발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⑥ 스트레스 관리하기
심리적, 신체적인 스트레스는 우리 몸에 직접 작용하여 혈당 상태를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혈당 관리에 필요한 의지를 약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특별한 금기사항이 없다면 개인의 운동취향에 따라 일반적으로 30분 이상 지속할 수 있고 전신의 큰 근육을 사용하는 유산소 운동이 좋습니다. 1회 운동 시간이 짧을 경우 신체내의 당질대사능력 개선의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기 때문에 30분 이상 길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유산소 운동에는 걷기, 조깅, 수영, 자전거 타기 등이 속합니다.
운동의 강도는 중등도 정도 즉, 본인의 최대 심박수의 60~75%정도로 운동에 대해 ‘보통이다~약간 힘들다’ 정도로 느끼는 것입니다. 운동의 적정시간대는 식후 1~2시간 뒤 혈당치가 높이 상승 했을 때 실시하는 것이 좋으며 운동이 길어질 경우 운동 중간에 사탕, 주스 등 당분을 약간 섭취한다면 저혈당을 예방하는 데 도움이 될 것입니다.
규칙적인 운동을 할 경우 의사와 상의하여 인슐린 복용량을 줄이는 것이 효과적이며 운동의 효과는 3일만 지나면 없어지므로 운동의 효과를 보기 위해서는 1주일에 3회 이상으로 실시하는 것이 좋습니다.
당뇨 식이
정해진 칼로리를 지킨다.
당뇨가 있을 때는 체중을 조절하는 일을 제일 먼저 해야 하며 섭취하는 칼로리를 낮춰 체중을 줄입니다. 더불어 밥을 먹을 때는 백미보다는 현미를 먹음으로써 소화 흡수 되는 시간을 늘리고 혈당치가 천천히 올라가도록 해 혈당을 유지 할 수 있도록 합니다.
규칙적으로 식사한다.
식사를 거르면 과식할 위험성이 있을 뿐 식사 간격이 짧을 때는 혈당치가 올라가기 때문에 규칙적인 식사로 혈당을 안정시키도록 합니다.
영양 밸런스를 맞춘다.
음식을 섭취할 때는 열량도 지켜야 하지만 그렇다고 해서 식품을 가리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당뇨가 있다고 해서 탄수화물과 지방을 멀리하는 것이 아니라 이러한 영향소를 골고루, 필요한만큼 먹어주어야 합니다.
탄수화물은 50~60%, 지방은 30%(단, 포화지방은 10%), 단백질은 12~20%를 섭취하는 것이 좋으며 여기에 비타민과 미네랄을 같이 섭취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단 음식은 피한다.
단 음식은 당뇨의 최대 적이라 할 수 있습니다. 음식 섭취 후 30분 뒤의 혈중 포도당의 수치를 측정한 것을 혈당 지수라고 하는데 이 혈당지수를 높이는 식품은 인슐린 감수성을 떨어뜨리고 저항성을 높이므로 먹지 않는 것이 좋습니다.
과자, 케이크, 초콜릿, 아이스크림, 탄산음료, 쥬스, 알코올을 피해야 하며 과일의 경우 비타민과 미네랄이 풍부한 음식이라고 생각되지만 과당 형태의 당분이 들어 있을 뿐 아니라 많이 먹을 경우 칼로리 흡수량도 많아지게 되므로 과일은 적당량을 먹는 것이 좋습니다.
식이섬유를 충분히 섭취합니다.
채소와 해조류에는 비타민과 미네랄, 식이섬유가 많이 들어있습니다. 이 식이섬유는 배변을 도와 포도당이 많이 흡수되지 않고 빠져나가게 합니다. 따라서 혈액 속으로 흡수되는 포도당의 양을 줄여 혈당치가 올라가는 것을 막게 되는 것입니다.
하지의 손상예방
당뇨 발 관리 8가지 계명
미국에서는 다리 절단 환자의 50-70%가 당뇨환자라고 합니다. 당뇨가 있으면 발에 가벼운 상처만 생겨도 궤양, 괴저 등 심각한 합병증이생기기 쉽습니다. 발의 감각이 무뎌지고 혈액순환이 나빠지기 때문인데요. 심하면 다리를 절단하는 경우도 올 수 있습니다.
- 매일 상처나 무좀 등 이상이 생기는지 발을 주의 깊게 본다.
- 발은 너무 습하거나 너무 건조하지 않게 한다.
- 발에 뜨겁거나 찬 자극을 가하지 않는다.
- 발톱은 일직선으로 깎되, 너무 바짝 깎지 않는다.
- 작은 신발은 신지 않되 앞이 막한 신발을 신는다.
- 혈액순환의 장애를 초래하는 자세를 피한다.
- 가능하면 맨발로 다니지 않고 양말을 신는 게 좋다.
- 티눈이나 굳은살이 생기더라도 잘라내거나 티눈 빼는 약을 사용해서는 안 된다.
겨울철 발 관리법
①겨울철에는 어떤 일이 있어도 발가락에 상처를 내면 안 된다.
발톱을 깎거나 티눈을 제거할 때 상처가 나지 않도록 조심하고 꽉 끼는 신발 등으로 발가락 등 쪽에 상처를 내는 일도 삼간다.
②목욕을 할 때는 적정한 온도인지를 먼저 확인한다.
뜨거운 목욕물에 입은 화상이 궤양이 되면 문제가 심각해진다.
탕에 들어가더라도 손발이 불어서 피부가 변화되지 않도록 빨리 끝낸다.
③난방기 사용에도 주의가 필요하다.
특히 발의 감각이 떨어진 당뇨환자들은 전열기구를 되도록 피하도록 한다.
사우나, 찜질방 이용도 위험하다. 자칫 크고 작은 화상을 유발해 잘못하면 돌이킬 수 없는 화를 입을 수 있다.
④발바닥이나 발등에 상처가 생기지 않도록 보습제를 바른다.
또 필요할 경우 예방을 위해 당뇨환자용 특수신발을 착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필요한 추후 관리 방법
① 자가혈당 측정은 당뇨관리의 기본
대부분은 아침공복, 식 후 2시간, 잠자기 전 하루 3번 자가혈당 관리를 합니다. 소독 솜으로 닦은 후 손가락 가장자리를 채혈합니다.
⊙ 그렇다면 자가혈당 측정은 왜 필요할까요?
- 혈당 변화의 흐름을 파악하여 목표혈당을 유지하기 위해서
- 음식에 따른 혈당변화를 알고 관리하기 위해서
- 운동에 따른 혈당변화를 알고 관리하기 위해서
- 스트레스에 따른 혈당변화를 알고 관리하기 위해서
- 저혈당 및 고혈당의 예방 및 치료를 위해서
- 인슐린, 경구약의 효과를 알기 위해서
② 올바른 식습관을 통해서 적당한 혈당조절과 좋은 영양상태를 유지해야 합니다.
③ 적절한 운동은 혈당조절과 체중조절에 도움을 줄 뿐만 아니라 합병증의 예방과 개선에 도움이 됩니다. 또한 운동 중에 올 수 있는 저혈압관리도 주의를 기울여야 합니다.
④ 식사요법, 운동요법과 함께 적절한 약제를 사용하면 당뇨병성 합병증을 예방하고 지연시 킬 수 있습니다.
- 경구용 혈당 강하 제
- 인슐린 주사 제
⑤ 많은 당뇨병 환자들이 발 관리를 소홀히 하다가 발을 절단하는 불행까지 겪기도 합니다.
매일매일 발 상태를 확인하고 관리해야 합니다.
⑥ 스트레스 관리하기
심리적, 신체적인 스트레스는 우리 몸에 직접 작용하여 혈당 상태를 악화시킬 뿐만 아니라, 혈당 관리에 필요한 의지를 약하게 만들기도 합니다.
추천자료
(성인간호학) 성인간호학 내분비계, 근골격계, 신경계, 호흡기계 사정요약
성인간호학 - 맥관계 건강문제와 간호
성인간호학 - 심장종양과 간호
성인간호학 - 후천성 판막질환과 간호
성인간호실습레포트!!!!!!!!!!!!간호사정부터~간호평가까지!!!!!!!!!!!!!!!!!!!!!!
[성인간호학] 배변에 대한 간호요구 - 배변간호.pptx
[성인간호학] 다발성 골수종(Multiple Myeloma) 케이스 스터디 (case study) - 문헌고찰, 간...
성인간호학(GS) 직장암환자 루프 회장루 간호 - Rectal Ca. Pt의 루프 회장루(Loop ileostomy...
★ 성인간호학 - 아동 학대 및 방임에 대한 간호사의 역할 ( 아동학대, 방임, 정의 및 유형, ...
[성인간호학]1. 결장암으로 외과적 수술과 함께 장루형성술을 받은 환자의 수술 직후의 간호...
<성인간호학 실습> 편도선염 간호문제 간호과정.
ccu 중환자실 성인간호 케이스 aneurysm , popliteal artery 간호진단 1. “ 감염위험성 “ ...
성인간호실습주제발표-장루간호pptx
장루의 유형, 장루간호 합병증,장루간호절차성인간호실습주제발표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