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머리말
2.일상사의 출현
3.일상사의 특징적 경향
(1)구상에 관하여
(2)일상사의 성격
4.일상사 누가 이끌어가는가?
5.일상사의 비판과 평가
6.한국사속의 일상사
7.맺음말
*참고문헌
1.머리말
2.일상사의 출현
3.일상사의 특징적 경향
(1)구상에 관하여
(2)일상사의 성격
4.일상사 누가 이끌어가는가?
5.일상사의 비판과 평가
6.한국사속의 일상사
7.맺음말
*참고문헌
본문내용
하였다.
현재 한국사에 있어서도 일상사의 바람이 일찍부터 불었다. 그 성과로 기존의 한국사와는 다른 역사서술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일상사는 무엇이며 누가 이끌어 가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일상사는 과거 사람들의 일상을 다루는 학문이다. 그러나 단순히 개인의 일상만을 다루는 것만으로 끝나서는 안 될 것이다. 수많은 기존의 사회사 연구자들이 비판하는 것을 받아들여서 더욱 탄탄한 역사학으로의 성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알프 뤼트케 외/이동기 외 옮김, <<일상사란 무엇인가>>, 청년사, 2002.
안병직, <<오늘의 역사학>>, 한겨레 신문사, 2002.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청년사, 1996.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 청년사, 1996.
한국고문서학회, <<조선시대생활사 1>>, 역사비평사, 1999.
한국고문서학회, <<조선시대생활사 2>>, 역사비평사, 2000.
문옥표, <논문 서평 생활사 연구의 출발> <<역사비평 1997년 봄호>>, 역사문제연구소, 1997.
현재 한국사에 있어서도 일상사의 바람이 일찍부터 불었다. 그 성과로 기존의 한국사와는 다른 역사서술들이 등장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는 역사에 대한 새로운 관심을 불러일으킨다는 점에서 긍정적이라고 할 수 있다.
지금까지 일상사는 무엇이며 누가 이끌어 가는지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일상사는 과거 사람들의 일상을 다루는 학문이다. 그러나 단순히 개인의 일상만을 다루는 것만으로 끝나서는 안 될 것이다. 수많은 기존의 사회사 연구자들이 비판하는 것을 받아들여서 더욱 탄탄한 역사학으로의 성장을 모색해야 할 것이다.
*참고문헌
알프 뤼트케 외/이동기 외 옮김, <<일상사란 무엇인가>>, 청년사, 2002.
안병직, <<오늘의 역사학>>, 한겨레 신문사, 2002.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1>>, 청년사, 1996.
한국역사연구회, <<조선시대 사람들은 어떻게 살았을까 2>>, 청년사, 1996.
한국고문서학회, <<조선시대생활사 1>>, 역사비평사, 1999.
한국고문서학회, <<조선시대생활사 2>>, 역사비평사, 2000.
문옥표, <논문 서평 생활사 연구의 출발> <<역사비평 1997년 봄호>>, 역사문제연구소, 1997.
키워드
추천자료
광고로 읽는 한국사회문화사
[사회문화]노동과 경제 생활 - 한국사회 노동의 현실
한국사회의 청소년 문화와 바람직한 청소년문화 육성을 위한 방안
[한국사회와 인터넷] 인터넷 이용실태와 인터넷의 경제적, 산업적, 정치적, 사회문화적 측면
[다문화가정] 다문화가족에 대한 대책방안, 우리나라(한국사회)의 변화와 다문화가족
현재 한국사회에서 나타나는 다문화 사회의 특징
한국사회의 다문화 형성과정과 유형을 구분하고 각각의 문제를 분석한 후 현존하는 정책과 비...
한국사회의 다문화가정에 실태와 문제 및 해결 방안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중에서도 1950년 이전의 한국사회복지행정과 관련된 사건, 사례등의 자...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중에서도 1950년 이전의 한국사회복지행정과 관련된 사건, 사례 등의 자...
사회복지행정의 역사 중에서도 1950년 이전의 한국사회복지행정과 관련된 사건, 사례 등의 자...
한국사회에서 다문화 가족을 위한 지원방안을 서술하시오.
현대한국사회_한류문화의 발생근원, 확산원인, 그리고 미래 모습에 대한 자신의 의견을 작성...
(A+ 요점정리,시험대비) [사회복지개론] 한국사회복지 역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