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중국입문3공통]장이머우(장예모)감독의 영화 인생(活着)의 여자주인공 지아전(家珍)이 중국현대사의 주요 사회정치적 사건상황에 직면하여 어떠한 태도를 취하고 살아갔는지 분석,기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현대중국입문3공통]장이머우(장예모)감독의 영화 인생(活着)의 여자주인공 지아전(家珍)이 중국현대사의 주요 사회정치적 사건상황에 직면하여 어떠한 태도를 취하고 살아갔는지 분석,기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I. 서론

II. 본론

1. 1945~1949년까지의 중국내전 시대
 1) 주요 사회정치적 사건
 2) 40년대 지아전의 삶

2. 1950년대의 개혁과 대약진운동
 1) 주요 사회정치적 사건
 2) 50년대 지아전의 삶
  (1) 경제건설 회복
  (2) 제1차 5개년 경제개발계획과 사회주의로의 개조
  (3) 사회주의사회의 대약진운동과 조정

3. 1960년대의 사회주의 문제발생
 1) 주요 사회정치적 사건
 2) 60년대 지아전의 삶

III. 결론

참고자료

본문내용

는 전국각지의 농촌단위 가운데 가장 모범적인 56개 단위의 업적을 소개하는 “전국 대채식 농업전형 전람회”를 개최하기도 하였다.
1978년까지 계속된 이 대채운동은 대중의 자발적이고 자연적인 적극성을 강조하고 유토피아적인 평등주의사상을 강조하던 대약진운동에 비하면 지방 당 간부의 지도력과 조직력을 통한 대중운동을 강조했고, 혁명정신과 과학적 태도의 결합에 의한 대중운동을 요구하였다.
한편 1969년부터 문화대혁명의 정치적 혼란이 수습되면서 농업을 경제의 기초로 확인하고, 화학비료와 농업의 기계화에 역점을 두었다.
그러나 농업의 기계화는 순조롭게 진행되지 않았다. 농업기계화를 반대하는 극좌파는 기계화가 난고분투(難苦奮鬪)의 혁명정신을 퇴화시킨다고 비난했다. 이러한 비난은 극좌파뿐만 아니라 보수주의 파 일부에서도 농업기계화가 시기상조며 비경제적이라는 반대가 있었다.
이와 같은 농업기계화 정책에 대한 논쟁은 당의 농촌경제정책에 대한 논쟁과는 달리, 좌·우파로부터 모두 부분적인 비판을 받았지만 다른 한편으로 농촌기계화 정책의 지지자들의 주장은 좌·우파의 성향을 모두 반영하고 있는 점에서 특색이 있다.
2) 60년대 지아전의 삶
어느 날 그녀의 딸과 사위가 맛있는 음식을 잔뜩 들고 집으로 찾아왔다. 지아전의 딸이 임신을 했다는 것이다. 임신 기간 동안에는 친정에 머무를 수 있도록 사위에게 부탁을 했고, 그도 그것이 좋겠다고 말했다.
마침내 배가 불러오면서 아이를 낳을 때가 다가오자 딸을 데리고 병원으로 찾아갔다. 그런데 병원에는 나이든 의사는 전혀 없고, 30대도 채 되지 않은 어린 의사만 보였다. 공산주의 사회에서 의사는 부르조아로 분류가 된 것이다. 남아 있는 의사들은 알고 보니 이제 막 의학대학교에서 수업을 받는 학생인 것으로 확인이 되었다.
수술을 하면서 어떤 사고가 발생할지 모르는 상황이라 그의 사위는 감옥에 들어간 노련한 의사를 한명 데려와서 병원에 앉히지만 밥도 제대로 먹지 못한 상황이라 몸이 정상이 아니었다.
지아젠의 딸은 성공적으로 아이를 낳았지만, 얼마 지나지 않아서 계속적으로 흐르는 피를 앳된 의사들이 멈추는 방법을 몰랐고, 감옥에서 데려온 의사는 빵을 먹은 이후로 정신을 차리지 못하여 결국 그녀의 딸은 그 상태로 죽고 말았다.
앞에서는 공산주의로 인하여 겪게 되는 다양한 혜택을 맛보았지만, 이 사건으로 결국 공산주의의 또 다른 단면을 보게 되는 셈이다. 노련한 의사들이 비록 돈이 많은 지식층의 계급이라고 할지라도 중국 사회에서 꼭 필요한 인재들인데 그들을 처단한다는 명목으로 감옥에 가두는 것으로 죄 없는 환자들만 희생을 하게 되는 꼴이었다.
10년 전에 둘째 아이를 잃었던 지아젠은 이제 공산주의 사회의 모순적인 구조로 인하여 어이 없이 딸을 잃게 되었다. 이때 영화상에서 그녀의 나이는 아마도 50대쯤으로 보인다.
그 후에 어느 날 둘째를 교통사고로 죽게 했던 위원장이 다시 나타나서 부귀에게 자신의 전 재산을 주겠다고 하였다. 그는 부르조아로 찍히게 도망치는 신세가 되었고, 그의 아내는 자살했으며, 자신 또한 과거의 실수가 고통스러워서 자실하기를 바란다고 부귀에게 말했다. 그 말을 방안에서 엿들은 지아전은 결국 그를 용서해주기로 했고, 그의 돈은 받지 않았으며, 그가 자살하지 않고 꿋꿋이 살아가기를 바란다고 전해주었다.
그녀의 삶은 돌이켜보면 어린 시절부터 결혼했을 당시에는 일제시대와 중국의 내란기를 거쳤다. 하지만 나름대로 꽤 부자인데다가 성격도 괜찮은 남편을 만났기에 큰 어려움은 없어 보였다. 하지만 중국이 공산화를 겪으면서 자신의 가족들도 역사의 소용돌이 속에서 많은 변화를 겪게 되었는데, 그것은 때로는 좋은 일도 있었고, 때로는 나쁜 일도 있었다.
그녀도 이러한 삶을 살아가면서 그러한 역사적인 흐름에 대하여 많은 생각을 했을 것이다. 공산화로 인하여 얻은 것들과 빼앗긴 것들... 그리고 앞으로 살아가야 할 인생에서 그것이 자신에게 어떠한 영향을 끼칠 지에 대하여 많은 생각을 했을 것이다.
III
결론
이 영화를 보면서 공산주의에 대한 고정관념이 많이 깨진 부분이 있다. 폐쇄적이며, 독단적이고, 폭력적인 그들의 모습을 많이 떠올리겠지만, 한편으로는 따뜻하고 의리 있는 단체일 수도 있다는 느낌이 들기도 했다. 하지만 그것은 1949~1950년대까지의 다양한 개혁과 실천을 겪으면서 생각할 수 있는 부분이다. 이러한 찬양일색이던 마우쩌둥의 정치는 1960년대를 겪으면서 서서히 모순점이 드러났고, 중국의 경제는 서서히 악화되었으며, 이것들은 이전에는 느끼지 못했던 공산주의의 부작용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여자 주인공 지아전 또한 이러한 공산주의의 건설에서 부작용이 나타나는 시기를 살아가면서 자신의 인생에도 커다란 파장을 겪게 되었다. 만약에 이러한 변화가 없었다면, 그녀의 삶은 아마도 영화 속과는 또 다르게 살아갔을 것이다. 본문에서도 언급하였듯이 남편의 집을 도박으로 얻게 된 갑부의 죽음도 없었을 것이며, 이로 인하여 집을 잃은 데에 대하여 평생을 후회 속에서 살았을 가능성이 높다. 또한, 그들에게는 수중에 돈이 없었으므로 경제적으로 어려움을 많이 느꼈을 것이다. 이 부분은 공산화로 인하여 오히려 살아가기가 좋아졌다고 볼 수 있겠다. 첫째 딸이 부상으로 벙어리가 된 것은 중국내전으로 발생한 일이므로 이 부분에서 희생양이 되었다고 볼 수 있겠다. 또한 능숙한 의사들을 부르조아로 처단한다는 명목으로 감옥에 가두어 임신한 딸이 올바른 의사에게 치료를 받지 못하여 죽음을 당한 부분도 역사의 큰 파장에 의한 것이다. 아들과 딸을 모두 잃은 그들 부부는 그나마 서로를 의지하면서 의연하게 살아가는 모습을 보면서 약간은 걱정스럽지만 그래도 이들 부부는 현실을 인정하고 흘러가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모습이 보기가 좋았다.
참고자료
김소중, 현대중국의 이해, 배재대학교, 2001.
박월라,박병덕 역, 새로운 황제들 : 모택동과 등소평 시대의 중국, 다섯수레, 1993.
양동안, '붉은 대륙의 진시황, 모택동', '북한' 제148권, 1984.
윤석순, 조조와 모택동의 비교연구, 배재대학교 국제통상대학원 대학원, 2002.
인민일보, 중국인권발전 50년, 2000.
  • 가격3,000
  • 페이지수11페이지
  • 등록일2015.03.20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1200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