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소근육 운동발달
2. 시각-운동협응
3. 양측성 운동협응
참고문헌
1. 소근육 운동발달
2. 시각-운동협응
3. 양측성 운동협응
참고문헌
본문내용
물체 조작에는 두 손의 협응능력이 요구된다. 만약 영아가 앞에 놓인 사과를 잡으려 한다면 두 손의 움직임이 시간적(timing)으로 일치해야 한다. 이렇게 신체의 양쪽을 통합적으로 사용하는 것을 양측성 운동협응이라 한다(Connolly & Forssberg, 1997).
양측성 운동협응,즉 양손 사용능력은 310개월 사이에 양손 뻗기 잡기 입으로 손이나 물건을 가져가기 등과 같이 양손을 동시적으로 이용한 움직임을 보인다. 이들 움직임은 주로 어깨에서 조정되며 두 손은 신체의 중심선상에서 움직이는 특징이 있다. 양손을 서로 다르게 움직이는 능력은 810개월 사이에 나타난다. 12~18개월 사이에는 양팔이 신체 양쪽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1824개월에는 두 손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예비적 기술들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양손을 동시에 조작하는 능력은 만 2~3세 사이에 나타난다.
〈표 1〉 양측성 운동협응의 발달과정
참고문헌
홍길회, 한경님 외 저, 영아발달의 이해, 창지사 2015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민정선 저, 유아교육개론, 형설아카데미 2015
조혜경 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4
양측성 운동협응,즉 양손 사용능력은 310개월 사이에 양손 뻗기 잡기 입으로 손이나 물건을 가져가기 등과 같이 양손을 동시적으로 이용한 움직임을 보인다. 이들 움직임은 주로 어깨에서 조정되며 두 손은 신체의 중심선상에서 움직이는 특징이 있다. 양손을 서로 다르게 움직이는 능력은 810개월 사이에 나타난다. 12~18개월 사이에는 양팔이 신체 양쪽에서 서로 다른 기능을 수행할 수 있게 되며,1824개월에는 두 손을 동시에 조작할 수 있는 예비적 기술들이 발달하기 시작한다. 양손을 동시에 조작하는 능력은 만 2~3세 사이에 나타난다.
〈표 1〉 양측성 운동협응의 발달과정
참고문헌
홍길회, 한경님 외 저, 영아발달의 이해, 창지사 2015
유구종, 조희정 저, 최신 영유아보육학개론, 공동체 2015
민정선 저, 유아교육개론, 형설아카데미 2015
조혜경 저, 보육교사론, 창지사 2014
추천자료
학령기 아동의 특성과 보육의 발달과업
장애영유아의 대 근육 운동기능 발달을 위한 활동
영아기, 유아기, 아동기, 청소년기의 다양한 발달특징과 자기경험(나의 영유아기, 아동기, 청...
신생아기(생후1~2개월)와 영아기(3~11개월)의 발달특징을 신체 및 운동발달, 인지발달, 언어...
[영아의 신체 운동] 아동의 신체성장, 영아의 손의 조작능력, 영아의 보행의 발달, 생기적 기...
[영아의 신체 운동] 아동의 신체성장, 영아의 손의 조작능력, 영아의 보행의 발달, 생기적 기...
[유아수학교육] 수 개념의 발달 (수학개념의 구성, 영유아기의 수 개념, 수 명칭, 수 세기, ...
[보육학개론 保育學槪論] 영아기(嬰兒期)의 발달과 보육(1개월~18개월) - 신체 및 ...
[아동정신건강론 兒童精神健康論] 영아기의 발달(嬰兒期 發達) - 신체발달, 운동발...
[영유아기 신체운동발달] 유아기 신체발달 및 운동발달, 유아의 기본적 욕구
영유아기의 발달의 원리에 따른 걸음마 이전 영아기(0~12개월), 걸음마 이후 영아기(13~24개...
[영아기 인지발달] 감각운동기(감각운동지능의 하위단계, 대상영속성)
[신생아발달] 신생아기 두뇌성장과 반사운동, 신생아기 감각능력 발달
영유아 기본생활습관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제시하고, 영아기와 유아기의 발달 특성을 고려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