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靑少年진로 및 학업지도] 청소년 학업지도에서 코칭(Coaching) 활용 (코칭의 의미와 철학, 인간의 변화에 대한 이해, 코칭 기법과 절차)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청소년靑少年진로 및 학업지도] 청소년 학업지도에서 코칭(Coaching) 활용 (코칭의 의미와 철학, 인간의 변화에 대한 이해, 코칭 기법과 절차)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1. 코칭의 의미

2. 코칭의 철학

3. 인간의 변화에 대한 이해
1) 욕구단계 이론
2) 태도변화 이론
3) 인간 변화의 단계

4. 코칭 기법과 절차
1) 코칭 기법
2) 코칭의 절차

본문내용

“어떻게 하면 지각을 하지 않을 수 있겠니?”의 질문이 좋다는 것이다. 셋째 특성은 미래 지향성이다. 미래지향적인 질문은 과거의 돌이킬 수 없는 실패에 집중하는 것이 아니라 그 경험을 바탕으로 발전할 자신의 미래의 모습을 그려보게 하는 희망을 주는 질문이다.
③ 피드백 기법
피드백 기법은 피코치자의 행동에 대해 긍정적이고 미래지향적인 반응을 함으로써 구체적인 동기를 부여하는 것으로 피코치자의 행동을 여는 기법이다. 피드백 기법은 피코치자의 행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표현해 줌으로써 피코치자로 하여금 앞으로 어떻게 행동할 것인가에 대한 가이드라인을 제공해 준다. 피드백 기법은 크게 긍정적 피드백과 발전적 피드백으로 나뉜다. 긍정적 피드백은 피코치자의 자신감을 강화시켜주는 칭찬과 인정이며, 발전적 피드백은 피코치자에게 있어 발전에 필요한 부분을 구체적으로 언급하여 그가 새로운 활동 계획을 세우는데 도움을 주는 피드백이다. 특히, 발전적 피드백은 AID 모델을 활용할 수 있다. AID 모델은 A(Action): 사람 자체가 아닌 구체적인 행동의 지적, I(Impact): 행동이 미치는 영향을 표현, D(Desired outcome): 앞으로 바라는 행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말함으로 이루어져 있다. AID 모델을 활용한 발전적 피드백의 구체적인 예를 들면, A: 오자와 탈자가 있네. I: 원고에 오자와 탈자가 있으면 글 전체에 대한 신뢰성이 떨어져. D: 원고를 제출하기 전에 꼼꼼하게 보는 게 어떨까.
2) 코칭의 절차
일반적으로 코칭은 다음과 같은 절차에 따라 이루어진다.
제1단계, 코칭 목표 정하기(Goal): 코칭에서 논의할 주제에 합의하고, 코칭의 목표와 기대 성과를 명확히 한다.
제2단계, 현실 파악하기(Reality): 코칭 주제와 관련된 현실적인 요소들을 구체적으로 파악하고, 사례와 사실들을 수집하며 이에 관한 피코치자의 감정을 파악한다.
제3단계, 핵심 니즈 인식하기(Recognition): 피코치자가 자신의 외부 환경과 내부 환경에 대해 객관적으로 인식하고, 피코치자의 내면의 욕구를 파악하여 1단계에서 확립된 목표를 재확인하거나 수정한다.
제4단계, 대안 탐색하기(Options): 피코치자가 보유하고 있는 자원들을 점검하고, 현실성 있는 대안을 제시하고 선택한다.
제5단계, 실천의지 확인하기(Will): 행동계획을 실행에 옮길 수 있도록 하고, 피코치자의 행동 실행에 대한 피드백 방법을 정한다.
  • 가격1,8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188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