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공학] 인간 공학적 디자인의 제품 분석 『김치냉장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기존 김치냉장고에 대한 분석(뚜껑식,스탠드식), 김치냉장고에 대한 문제점 개선}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인간공학] 인간 공학적 디자인의 제품 분석 『김치냉장고』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기존 김치냉장고에 대한 분석(뚜껑식,스탠드식), 김치냉장고에 대한 문제점 개선}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기존 김치냉장고에 대한 분석
 1) 김치냉장고의 작동원리
 2) 기존의 드럼세탁기의 문제점 파악

3. 김치냉장고에 대한 문제점 개선
 1) 디자인의 단조로움
 2) 김치통을 꺼낼 때 허리에 무리를 줌
 3) 성에 발생
 4) 인터페이스가 복잡함
 5) 팬으로 찬바람을 순환시키는 간접냉각방식

본문내용

제품들은 이러한 초기 제품의 틀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하였다. 즉, 김치냉장고는 일반냉장고와 달리 상부에서 뚜껑을 열고 김치통을 담아 보관하는 방식이어야 한다는 개념이 일반화된 듯 하다. 또한, 이러한 제품의 설계는 김치냉장고의 제일 기능인 최적온도 유지의 필요성과 맞물려 매우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2) 김치통 꺼낼 때 허리를 숙여 허리에 무리를 줌
뚜껑식 김치냉장고는 김치용기를 2단 혹은 3단으로 쌓아서 보관하게 된다. 이때 사용자는 김치용기를 냉장고에 넣거나 꺼낼 때 허리를 과도하게 굽히게 된다. 허리를 과도하게 굽힌 자세에서 무거운 김치통을 취급하는 것은 허리,어깨, 발목 등의 신체 부위에 부담을 줄 수 있으며, 이러한 부담이 과도하게 반복되어 누적될 경우에는 요통을 비롯한 근골격계 질환을 유발할 수도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밑에 있는 김치를 꺼내기 위해서는 위에 김치들을 다 꺼내야하는 불편함이 있다. 최근에는 김치냉장고가 점차 대용량화 되어 가는 추세를 보이고 있다. 소비자들은 더 많은 김치를 보관하길 원하며, 김치 이외에 과일과 야채 등도 김치냉장고에 보관하기를 원하고 있다. 김치냉장고가 대용량화 될수록 냉장고 상단이 높아지고 냉장실의 깊이도 깊어지게 된다. 또한, 김치냉장고의 주 사용자들은 여성 주부들이며, 이들은 남성에 비해 신장, 최대 근력 등이 상대적으로 떨어진다. 즉, 높은 김치냉장고의 높이는 키가 작은 여성 사용자에게 무리한 자세를 취하도록 하며, 냉장실의 깊이가 깊어질수록 허리에 과도한 부담이 가해질 수 있다. 더군다나, 사용자가 고령화될수록 이러한 사용상의 문제로 인한 악영향은 더 클 것으로 추정된다.
(3)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주방보다는 베란다나 방에 보관
(4) 성에 발생
김치냉장고 문을 자주 열고 닫다 보면 공기중에 있던 수증기가 김치냉장고 안으로 들어가게 되고, 김치냉장고 안에서 온도가 떨어지면 이슬점에 도달하게 되어 수증기가 벽에 달라 붙어 얼어 붙게 되는 것이다.
(5) 인터페이스의 복잡하다
위 그림과 같이 각 종류의 김치를 세밀하게 저장하기 위한 기능들이 많이 있지만 다양한 인터페이스는 사용자에게 사용하기 불편하게 다가온다. 특히 주사용 층이 주부인 것을 감안할 때 모든 기능을 모두 사용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 스탠드형 김치냉장고
(1) 김치 외 다용도 보관이 가능해 김치 특화 기능이 떨어짐
(2) 팬으로 찬바람을 순환시키는 간접냉각방식으로 더운 공기 유입이 쉬워 저장능력이 떨어짐
3. 김치냉장고에 대한 문제점 개선
1) 디자인의 단조로움
과거에는 김치냉장고의 기능적인 면만을 강조하여 단순디자인 밖에 없었다면 현재에는 시각적인 것을 고려하여 다양한 색감과 시안을 집어넣은 디자인으로 바뀌었다.
2) 김치통을 꺼낼 때 허리에 무리를 줌
뚜껑식 김치냉장고는 김치용기를 2단 혹은 3단으로 쌓아서 보관하게 되는데 이때 사용자는 김치용기를 냉장고에 넣거나 꺼낼 때 허리를 과도하게 굽히게 된다. 이것을 보안하기 위한 것이 서랍형태로 나온 스탠드형이다.
스탠드형의 경우 서랍처럼 열고 닫을수 있어 김치를 넣고 꺼낼때에 허리에 가는 부담이 뚜껑식에 비해 적다.
3) 성에 발생
현재 대부분의 제품이 자동제상기능을 가지고 있다. 자동제상기능이란 냉장고 스스로가 성에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는 것을 말한다.
4) 인터페이스가 복잡함
과거에는 다양한 종류의 김치에 맞게 보관하기 위해 김치냉장고의 기능을 가지고 있었다. 현재에는 사용자의 편의를 위해 인터페이스를 단순화하여 계층에 상관없이 사용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5) 팬으로 찬바람을 순환시키는 간접냉각방식
팬으로 찬바람을 순환시키는 간접냉각방식으로 더운 공기 유입이 쉬워 저장능력이 떨어짐. 현재 대부분의 제품이 각 칸마다 따로 냉각시스템을 적용하여 직접냉각방식을 채용하여 시판하고 있으며 더운 공기의 유입으로 저장온도를 일정하게 유지하지 못했던 문제점을 해결 하기 위해 쿨링커버를 도입하고 있다. 쿨링 커버란 스테인레스 재질의 커버를 서랍벽 표면에 붙이는 방식으로 우리가 차갑게 먹기 위해 냉면을 스티인레스 그릇에 담는 것과 같은 원리이다.
이를 통해 문을 열 때 발생하는 냉기손실을 억제하여 간접냉각방식의 단점이 일정하지 않은 온도를 일정하게 유지시켜 직접냉각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한 기존에 다양한 기능을 내포했던 인터페이스를 단순화 시켜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도록 바뀌었으며 냉장고의 손잡이를 기존에 정면에 있던 디자인을 옆으로 달아 디자인의 수준을 한층 높였다.

추천자료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3.24
  • 저작시기2015.3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211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