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리학 요점정리
본 자료는 6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해당 자료는 6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6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생리학 요점정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제 1 장 세포와 환경사이의 물질수송
제 2 장 소화계의 구조와 기능
제 3 장 혈액생리
제 4 장 심장과 순환계
제 6 장 신장생리
제 7 장 신경계
제 8 장 감각계
제 9 장 내분비계
제 10 장 근육과 운동생리
제 11 장 노화생리
제 12 장 생식계 까지 입니다.

본문내용

정신, 소화기능
생기설
생명에 필요한 활력이 있어 그것이 고갈되면 노화에 이르고 죽음에 이름
소모설
생체를 일종의 도구 및 기계로 보고 장기의 위축, 탄성의 저하, 수분의
감소가 원인
장 기
원발설
어떤 장기가 노화의 근원
유해물질
축적설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대사 중 유해물질이 세포내에 축적되어 세포의
기능에 장애를 입힌다.
1)학설의 역사적 배경
프로그램설
에 러 설
종의 최대 수명
1차(pirmary) 에러설
배양세포의 노화
2차(secondary) 에러설
최대수명과 세포의 분열횟수
유리염기설
종에 따른 세포의 분열횟수
crosslink설
<표11-8> 현대의 노화설 p.398
2)프로그램설
①분열완료 장기 ②세포교대 장기 ③분열능력지속 장기
3)에러설( =상해누적설)
: 몸을 만들고 있는 구성물질에 변화가 생기고 축적에 의해 정상적인 기능이 운영
되지 못한다.
①1차 에러설: 유전인자(DNA)
②2체 에러설: 다양한 대사가 변화지만 이상물질의 축적이 세포기능에 장애
a)유리기 등에 의한 이상물질
: 활성산소를 제거하는 조직 중 반응을 촉매로 하는 효소(SOD)작용
b)분자가교에 의한 장애
: 콜라겐이라 불리는 단백질은 증가하나 프로테오글리칸이라 불리는 물을 잘
흡수하는 단백질의 감소
11-3 노화에 따르는 형태학적 변화 ---> 교재 읽어보기 p404 -
제 12 장 생식계
①성선: 성호르몬을 분비시키는 기관
여성 - 난소(난자를 생산하는 동시에 여성 호르몬을 분비)
남성 - 고환 난소에서는 한다.
②생식: 한 개의 정자와 난자가 접합하여 수정란이 되는 현상
③수정란: 여성의 자궁내에서 발육하여 태아가 되고 분만에 의하여 신생아 됨
**일련의 과정을 완전한 생식이라고 한다.
대뇌와 뇌하수체를 잇는 일련의 신경기구에 의하여 조절된다.
12-1 남성생식계
①고환: 남성 호르몬 분비
②부고환: 정자저장
③정관: 고환과 부고환에 연결되어 정자를 요도로 유도
④정낭: 정관의 윗부분 끝에서 정액을 첨가시킴.
1. 정자
①고환: 튼튼한 섬유피막으로 둘러싸인 계란형의 작은 기관으로 정자생산
②세정관의 바깥층에 있는 정조세포는 여러차레 분열 거듭
-> 제1차 정모세포 -> 제2차 정모세포 -> 분열후 2개의 정자세포
-> 감수분열 통한 23개 염색체 -> 정자(세포질이 긴 꼬리)
③체세포 중에서 가장 분화가 잘되고 반면 가장 작은 세포중 하나
④머리와 꼬리부분이 있으며 그 길이는 50-60μm
a)머리부분: 핵이 있어 유전자가 간직되어 있다.
b)꼬리부분: 세포질이 있으며 이 꼬리가 좌우로 움직여 정자를 1분간 1-4mm
앞으로 전진시킨다.
⑤정액 1cc속에는 약 2천만-3억개의 정자가 있으며 1회 사정시 약 3cc 정도
③여성 질내 생존: 72시간
2. 남성호르몬
①뇌하수체의 고나도트로핀이 고환의 간질세포를 자극하여 테스토스테론 분비
-> 고환에서 분비되는 남성호르몬 대표
②간질세포에서 분비되는 남성호르몬은 세정관으로 확산하여 정자를 형성하고
나머니는 혈액을 통해 여러 세포에 운반도어 남성화 기능을 나타냄.
③남성호르몬은 뇌하수체 전엽에서 황체형성 호르몬(LH)의 자극을 받아야 분비.
12-2 여성생식계
1. 난소주기
1)난자: 갓난 여자아이의 좌우 두 난소에는 50만개의 원시난포가 있다
이 속에 아주 미숙한 난자 성장하는 동안 변성되면서 실제로 성장한다.
①난포수: 여성의 생식연한을 약 30년 동안이라고 본다면 400개 정도
②배란후 생존기간: 약 8-24시간
2)난소주기
: 매달 월경 며칠 전에는 FSH의 자극으로 수많은 여포 중 몇 개가 자라기 시작
-> 약 10일 후 단 하나만 계속 성장 -> 완숙
3)배란: 난소주기 14일째 발생.
2. 여성 호르몬
①에스트로겐: 여포, 황체, 태반, 고환, 부신피질에서 분비
②프로게스테론: 임신유지, 전선발달, 자국수축 억제
③임신: 황체가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을 계속분비하여 임신유지.
이후 태반 발달하여 태반에서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분비
④비임신: 뇌하수체에서 분비되는 고나도트핀의 작용이 약해 프로게스테론분비가
줄어어 프로게스테론에 의해 유지되던 자궁내막이 탈락해 월경 발생
12-3 수정과 임신
①수정: 자궁을 거쳐 난관으로 들어온 정자가 난자에 들어가는 현상
②수정란: 수정된 난자
1. 수정란
1)임신과정
①자궁에 들어온 수많은 정자들은 꼬리의 좌우운동으로 난관으로 옮겨간다
②난관의 섬모운동으로 이루어진 난관내 액체의 흐름에 따라 이동된 난자와 만난
다. 이때 난자는 많은 과립세포들로 둘러싸인다.
방사관은 정자에서 분비되는 히알루로니다아제 효소에 의해 떨어져 나간다.
③난자가 노출되면 수정이 가능
④한 개의 정자 머리부분이 난자 속으로 들어가면 난자의 막에 변화가 생겨 더
이상 다른 정자가 난자에 들어가지 못하도록 한다. -> 종족보존
⑤자궁을 향해 이동하며 수정 후 7-10일 만에 세포분열 하여 배낭이 되어 자궁내
막에 착상
2)수정되기 전 난자
: 지름은 120-130μm, 무게는 1.5μg.
수정 후 약 30시간 만에 두 개의 딸세포로 분해.
그 후 매 15분-1시간에 한번씩 분열을 거듭하여 수정란이 자궁에 도달될 무렵
에는 세포 수효가 16 또는 32개가 된다.
2. 태반: 원시사종합융모
1)태반기능
①태아에게 각종 영양분과 산소를 공급하고
②태아보호
③여러가지 호르몬 분비
2)태반구조: 한쪽은 어머니의 혈관이, 다른 한쪽은 태아의 배꼽혈관이 들어와있다.
3)태반의 보호벽
: 어머니로부터 해로운 물질이 혈액순환을 통해 들어오지 못하게 하는 보호벽을 만
든다. 불완전성 보호벽으로 임신중 약이나 헤로인, 니코틴 같은 중독물질섭취하
지 않아야 된다.
3)호르몬분비: 성선자극호르몬 분비 -> 인체 융모막 생식선자극 호르몬
임신황체를 자극하여 계속 프로게스테론을 분비하여 자궁내막 유지
4)시험관 아기
: 수정이 끝나면 수정란의 분열이 시작되는데 4세 초기에서 8세초기 정도에서 자궁
내에 이식.
3. 태아의 성장과 분만
①릴락신 호르몬 분비: 자궁과 골반을 연하게 하여 분만을 쉽게 함.
②옥시토신: 자궁근육 수축으로 분만 시작.
4. 수유
*초유: 분만 후 처음 1-2일 동안 나오는 젖
  • 가격3,500
  • 페이지수18페이지
  • 등록일2015.03.31
  • 저작시기2013.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274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