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마이클 샌델 정의론 affirmative action(소수집단우대정책 논쟁) 요약
논쟁의 시발점
시험격차 바로잡기
과거의 잘못 보상하기
다양성 증대
논쟁의 시발점
시험격차 바로잡기
과거의 잘못 보상하기
다양성 증대
본문내용
어쩌면 귀하보다 귀하의 부모님께서는, 거기서 더 나아가, 이번 입학 허가가 타고난 재능을 높이 평가한 결과가 아니라면, 적어도 능력을 갈고 닦은 귀하의 의식적인 노력을 높게 평가한 것이라고 여겨 그 점을 축하하고픈 유혹을 받을 것입니다. 그러나 귀하의 노력을 가능케한 우월한 성격은 귀하의 당연한 몫이라는 생각도 문제가 있기는 마찬가지입니다. 귀하의 성격은 다양하고 훌륭한 주변 환경 덕이고, 그러한 환경은 귀하의 공으로 돌릴 수 없는 부분이기 때문입니다. 여기에는 자격 또는 당연한 몫이라는 개념이 해당하지 않습니다.
이 글들은 가상의 글들은 특정한 미덕과 포상을 안겨주는 것이 대학의 사명이라는 생각을 완전히 떨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사명이라는 것이 대학이 마음대로 사명을 정해도 좋은가를 묻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기여 입학생’의 경우를 보자. 드워킨의 입장에서 보면 대학이 사명을 정한 이상 돈 많은 부모를 둔 학생의 입학은 자격 논란이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이 기준은 분명히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대학은 이윤만을 추구하는 기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대학의 목적이 수입을 극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 연구로 공동의 선에 기여하는 것이다. 원래 목적은 이 연구를 위해 많은 돈이 필요한 것이고 그에 따라 기부금을 후원 받거나 기여 입학생 제도를 두는 것인데 어느 순간에 대학의 돈벌이 수단으로 변질되어버리면 시민의 기대에서 멀어져 버린다.
샌델 교수의 결론
정의 = 영광 + 미덕 + 선
개인마다 차이가 있음
따라서 롤스는 이를 제외하고서 정의를 찾으려 함
이 글들은 가상의 글들은 특정한 미덕과 포상을 안겨주는 것이 대학의 사명이라는 생각을 완전히 떨치지 못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이 사명이라는 것이 대학이 마음대로 사명을 정해도 좋은가를 묻는 질문으로 이어진다. 예를 들어 ‘기여 입학생’의 경우를 보자. 드워킨의 입장에서 보면 대학이 사명을 정한 이상 돈 많은 부모를 둔 학생의 입학은 자격 논란이 있을 수 없다. 그러나 이 기준은 분명히 문제가 있다. 왜냐하면 대학은 이윤만을 추구하는 기업이 아니기 때문이다. 다시 말하면 대학의 목적이 수입을 극대화하는 것이 아니라 교육과 연구로 공동의 선에 기여하는 것이다. 원래 목적은 이 연구를 위해 많은 돈이 필요한 것이고 그에 따라 기부금을 후원 받거나 기여 입학생 제도를 두는 것인데 어느 순간에 대학의 돈벌이 수단으로 변질되어버리면 시민의 기대에서 멀어져 버린다.
샌델 교수의 결론
정의 = 영광 + 미덕 + 선
개인마다 차이가 있음
따라서 롤스는 이를 제외하고서 정의를 찾으려 함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