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 서론
Ⅱ. 본론
1. Duvall(듀발)의 가족생활주기 8단계
2. 가족발달단계에 따른 과업
1) 1단계, 신혼 부부(자녀가 없는 단계)
2) 2단계 자녀 출산 및 영아기(첫 아이 30개월)
3) 3단계, 유아기(2∼6세)
4) 4단계, 학동기(6∼13세)
5) 5단계, 청년기(13∼20세)
6) 6단계, 독립 기(자녀들이 집을 떠나는 단계)
7) 7단계, 중년기(부부만이 남은 가족으로 정년퇴직까지)
8) 8단계, 노년기(정년 퇴직에서 부부 사망까지)
3. 나의 가족생활주기 - 1단계, 신혼 부부 단계
4. 나의 가족의 과업수행 과정 및 생활특성
1) 과업수행 과정
(1) 관계향상을 위한 노력
(2) 부부 의사소통
(3) 부부 갈등 대처방식
2) 생활특성
5.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Ⅱ. 본론
1. Duvall(듀발)의 가족생활주기 8단계
2. 가족발달단계에 따른 과업
1) 1단계, 신혼 부부(자녀가 없는 단계)
2) 2단계 자녀 출산 및 영아기(첫 아이 30개월)
3) 3단계, 유아기(2∼6세)
4) 4단계, 학동기(6∼13세)
5) 5단계, 청년기(13∼20세)
6) 6단계, 독립 기(자녀들이 집을 떠나는 단계)
7) 7단계, 중년기(부부만이 남은 가족으로 정년퇴직까지)
8) 8단계, 노년기(정년 퇴직에서 부부 사망까지)
3. 나의 가족생활주기 - 1단계, 신혼 부부 단계
4. 나의 가족의 과업수행 과정 및 생활특성
1) 과업수행 과정
(1) 관계향상을 위한 노력
(2) 부부 의사소통
(3) 부부 갈등 대처방식
2) 생활특성
5. 시사점
Ⅲ.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결혼지속연수, 첫 자녀의 출생, 자녀의 연령, 가장의 연령, 결혼상태 등 시간의 경과에 따라 가족이 경험하는 상황들 중에서 하나 또는 둘 이상을 중심으로 이루어지는데, 그 구분의 기준은 연구목적에 따라 다양하다. Bigelow는 자녀들의 교육상황에 따라 생활주기를 구분하였는데 가족형성기, 자녀출산 및 미취학 아동기, 초등학교기, 고등학교기, 대학교육기, 회복기, 은퇴기로 나누었다. Glould(1956)는 개인의 연령이 인생에 대한 견해와 행동양식에 직접적인 영향을 준다고 보아 성인기를 7단계로 구분하였다. 1단계는 16-18세, 2단계는 19-22세, 3단계는 23-28세, 4단계는 29-34세, 5단계는 35-43세, 6단계는 44-53세, 마지막 7단계는 54-60세로 구성된다. 민경애(1985)는 가족생활주기는 가정이 형성되는 시기부터 해체되는 시기까지를 지칭하는 것으로 주부가 결혼후, 자녀출산, 양육, 성장후, 결혼 등으로 독립하여 본인이 사망할 때까지의 일련의 과정이라고 하였으며, 장명욱(1987)은 신혼기, 자녀출산 및 미취학 아동기, 초등학교기, 중·고등학교기, 대학 및 직장 적응기, 은퇴기로 나누었다. 이상현 외(1991)는 신혼기, 출산기, 학동기, 자녀가 떠나는 시기, 자녀가 떠난 후 시기로 단계를 구분하였다.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Duvall(듀발)의 가족생활주기 8단계와 가족발달단계에 따른 과업을 쓰고 본인의 가족생활주기가 몇 단계에 속하는지 쓰고, 본인가족의 과업수행 과정 및 생활특성을 서술해 보았다. 한 가족이 가족생활주기 가운데 처한 위치를 알면 소득수준, 부부의 결혼만족도, 소비행동, 가족의 갈등 그리고 부모와 자녀관계 등 가정생활의 중요한 요인에 대해 전망할 수 있다. 따라서 한 가정의 가족생활이라 할지라도 가족생활주기의 발전단계에 따라 가족의 생활양식은 그 형태와 내용에 있어서도 변화를 갖게된다. 이와같이 생활주기단계는 가족들이 각각의 행동이나 내용이 고유하게 다르고 뚜렷이 구분되는 여러 단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의 진행에 따른 단계별 가정생활상의 변화와 특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참고문헌
박태영(2003).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학지사.
김성은(1989). 가족생활주기론을 활용한 가족문제 진단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화자 외(1991). 가족생화주기에 다른 부부의 의사소통 효율성과 결혼만족도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Ⅲ. 결론
지금까지 본론에서는 Duvall(듀발)의 가족생활주기 8단계와 가족발달단계에 따른 과업을 쓰고 본인의 가족생활주기가 몇 단계에 속하는지 쓰고, 본인가족의 과업수행 과정 및 생활특성을 서술해 보았다. 한 가족이 가족생활주기 가운데 처한 위치를 알면 소득수준, 부부의 결혼만족도, 소비행동, 가족의 갈등 그리고 부모와 자녀관계 등 가정생활의 중요한 요인에 대해 전망할 수 있다. 따라서 한 가정의 가족생활이라 할지라도 가족생활주기의 발전단계에 따라 가족의 생활양식은 그 형태와 내용에 있어서도 변화를 갖게된다. 이와같이 생활주기단계는 가족들이 각각의 행동이나 내용이 고유하게 다르고 뚜렷이 구분되는 여러 단계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시간의 진행에 따른 단계별 가정생활상의 변화와 특성 및 문제점을 파악하는데 유용하다.
참고문헌
박태영(2003). 가족생활주기와 가족치료. 학지사.
김성은(1989). 가족생활주기론을 활용한 가족문제 진단연구. 이화여자대학교 석사학위 청구논문.
김화자 외(1991). 가족생화주기에 다른 부부의 의사소통 효율성과 결혼만족도 연구. 한국가정관리학회지.
추천자료
가족생활주기
가족생활교육내용과 교육사의 자질
가족생활교육 프로그램 개발 - 4회기 단기 프로그램 구성하기
가족생활교육에 기본이 되는 여러 가지 이론(생태학적 관점, 체계론적 관점, 발달론적 관점, ...
가족생활교육프로그램설계 단계수업에 기초하여 프로그램 설계를 한 후 이를 문서화할 때 포...
[가족생활교육] 맞벌이부부 - 맞벌이 부부의 장점과 단점(문제점) 및 해결 방안 - 맞벌이 부...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모교육에 대해 작성 - 부모교육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부모교육에 대해 작성하시오.
가족생활교육의 발전 과정 및 앞으로 학문적 발전을 위한 과제는 무엇이라 생각하는지 서술하...
가족생활주기 단계를 구분하고 단계별 주요 발달과제를 조사하여 정리하시오. 또한 자신이 속...
가족생활주기의 의미를 서술한 후 각 단계별 특징과 발달과업을 제시하세요
가족생활주기에 따른 정신건강문제를 정리하여 보시오
가족생활주기
가족생활교육의 종류 및 필요성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