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그 사회에 녹아 있는 제도와 생활 방식
스스로 깊이 있게 생각하고 판단하는 것이 곧 철학 하기
세상살이를 위한 철학의 역할
프랑스 철학 교육 -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성숙한 시민 길러 내기
삶의 주인으로서 이해와 인정, 의미 찾기
스스로 깊이 있게 생각하고 판단하는 것이 곧 철학 하기
세상살이를 위한 철학의 역할
프랑스 철학 교육 - 스스로 생각하고 행동할 수 있는 성숙한 시민 길러 내기
삶의 주인으로서 이해와 인정, 의미 찾기
본문내용
위치한 경수중학교에서 철학 수업을 시작한 지 얼마 되지 않아서의 일이다. 왕성한 활동성을 자랑하는 중2들을 겨우 진정시킨 후 행복이 무엇인지 각자 경험을 바탕으로 말해 보게 했다. 필자가 수업을 갔을 때 5명의 학생들이 소위 집중 관리 대상자로 지목돼 교실 맨 앞에 마련된 특별석에 앉아 있었는데, 이 학생들이 먼저 장난기 어린 목소리로 자신들의 이야기를 시작했다. 그들 나름의 통찰이 담긴 이야기에 아이들은 ‘우와!’ 하며 감탄사를 연발했다. 문제아들을 새로운 눈으로 바라보기 시작한 것이다. “쟤네들도 나름 생각이 있구나!”이때까지도 반에서 1, 2등 한다는 아이들은 무릎에 다른 과목 참고서를 얹어 놓고 머리를 숙인 채 시험공부에 몰두하고 있었다. 그런데 친구들이 마음을 열고 자신들의 이야기를 조리 있게 말하는 것을 보고는 소외감을 느꼈는지 참고서를 덮고 슬그머니 토론에 동참하는 것이었다. 필자는 그 순간 한 교실에서 공부하는 동년배 아이들을 갈라놓았던 거대한 벽이 무너지는 것을 목격했다. 이후로도 선지식 없이 누구나 대답할 수 있는 질문으로 수업을 시작하면 공부를 잘하는 아이건 못하는 아이건 상관없이 자기 나름의 입장과 그 근거를 말하였다.
지식과 권위에 눌리지 않고 자기 삶의 주인으로서 자신의 삶에 대해 말함으로써 아이들은 서로가 대등한 관계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런 대등한 관계에서 성적이나 신체적 차이를 넘어서 서로를 이해하고 인정하는 데로 나간다. 이런 교육을 통해 보다 많은 아이들이 단지 어느 한 면이 부족하다고 해서 자포자기 않고 자신의 자리에서 의미를 찾으며 열심히 살 수 있을 것이다.
지식과 권위에 눌리지 않고 자기 삶의 주인으로서 자신의 삶에 대해 말함으로써 아이들은 서로가 대등한 관계라는 사실을 확인하고, 이런 대등한 관계에서 성적이나 신체적 차이를 넘어서 서로를 이해하고 인정하는 데로 나간다. 이런 교육을 통해 보다 많은 아이들이 단지 어느 한 면이 부족하다고 해서 자포자기 않고 자신의 자리에서 의미를 찾으며 열심히 살 수 있을 것이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