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정언판단의 표준형 구성
전통 논리학의 표준적인 것은 ‘정언판단’이며 이에 대한 표준형을 구성하여 ‘정언적 삼단논법’에 의한 추리를 행하게 된다. 이제 정언판단의 영역과 표준 유형, 그것들의 내적 구조와 상호관계를 살펴보자.
[실연적 정언판단]
“이 S는 P이다”라는 하나의 판단이 양상의 측면에서는 실연판단, 관계의 측면에서는 정언판단, 양의 측면에서는 단칭판단, 성질의 측면에서는 긍정판단 이다. 그런데 전통논리에서는 양상논리 즉 개연판단과 필연판단은 기초논리에서 제외한다. 또한 관계의 측면에서의 가언판단과 선언판단은 현대의 술어논리에서 다루는 것이 간단하므로 삼단논리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가 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은 ‘실연적 정언판단’이다. 그런데 단칭판단은 전칭으로 간주하고 무한판단은 긍정으로 한다면, 이제 정언판단의 양과 성질에 따른 ‘전칭긍정판단’ , ‘전칭부정판단’, ‘특칭긍정판단’, ‘특칭부정판단’만이 있게 된다. 그래서 전통논리는 이 네 가지의 판단을 가지고 추리를 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한다.
[전칭긍정판단- universal affirmative judgement]
전칭긍정판단은 A판단으로 약칭 된다. (라틴어 ‘affirmo’의 a의 대문자) 대표적인 형식은 “모든 S는 P이다.” 로 표현한다.
A1형 - ‘모든 학생은 진리 탐구자이다.’
A2형 - ‘모든 동물은 영양생활을 한다.’ 는 ‘모든 동물은 영양생활을 하는 자이다.’로
변형하면 A1형으로 환원된다.
A3형 - ‘사람은 양심이 있다.’는 ‘모든 사람은 양심을 가진 자이다.’로 변형한다.
A4형 -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다.’는 ( )
로 변형
전통 논리학의 표준적인 것은 ‘정언판단’이며 이에 대한 표준형을 구성하여 ‘정언적 삼단논법’에 의한 추리를 행하게 된다. 이제 정언판단의 영역과 표준 유형, 그것들의 내적 구조와 상호관계를 살펴보자.
[실연적 정언판단]
“이 S는 P이다”라는 하나의 판단이 양상의 측면에서는 실연판단, 관계의 측면에서는 정언판단, 양의 측면에서는 단칭판단, 성질의 측면에서는 긍정판단 이다. 그런데 전통논리에서는 양상논리 즉 개연판단과 필연판단은 기초논리에서 제외한다. 또한 관계의 측면에서의 가언판단과 선언판단은 현대의 술어논리에서 다루는 것이 간단하므로 삼단논리에서는 다루지 않는다.
따라서 우리가 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은 ‘실연적 정언판단’이다. 그런데 단칭판단은 전칭으로 간주하고 무한판단은 긍정으로 한다면, 이제 정언판단의 양과 성질에 따른 ‘전칭긍정판단’ , ‘전칭부정판단’, ‘특칭긍정판단’, ‘특칭부정판단’만이 있게 된다. 그래서 전통논리는 이 네 가지의 판단을 가지고 추리를 하여 그 타당성을 검토한다.
[전칭긍정판단- universal affirmative judgement]
전칭긍정판단은 A판단으로 약칭 된다. (라틴어 ‘affirmo’의 a의 대문자) 대표적인 형식은 “모든 S는 P이다.” 로 표현한다.
A1형 - ‘모든 학생은 진리 탐구자이다.’
A2형 - ‘모든 동물은 영양생활을 한다.’ 는 ‘모든 동물은 영양생활을 하는 자이다.’로
변형하면 A1형으로 환원된다.
A3형 - ‘사람은 양심이 있다.’는 ‘모든 사람은 양심을 가진 자이다.’로 변형한다.
A4형 - ‘사람은 누구나 실수를 할 수 있다.’는 ( )
로 변형
추천자료
[도형학습][도형학습지도][사고력신장][수학교육]도형학습의 지도, 도형학습의 과정, 도형학...
[비합리적 신념][비합리적 사고][합리적 사고교육][비합리적 학교생활][합리적 생활예절교육]...
아도르노의 음악과 예술 철학, 아도르노의 예술 정신화와 물화의 변증법, 아도르노와 집단 무...
[수학]수학적 힘(수학적 소양, 수학적 사고)의 정의, 수학적 힘(수학적 소양, 수학적 사고)의...
비판적 사고시스템,비판적사고,비판적사고사례,비판적사고시스템사례
비판적사고,비판적사고사례,비판적사고의중요성.ppt
[의식][경료효친의식][공동체의식]의식과 논리의식, 의식과 공동체의식, 의식과 경료효친의식...
[오류, 오류분석]오류 분석의 4단계, 발음교정, 수학교육의 오류, 부진문항, 실학의 오류, 불...
[오류]조사연구의 오류, 현행법령상의 인용오류, 독일어 한국어번역의 오류, 사회주의 국가개...
[아동발달] 유아기 인지발달 - 유아기 사고의 특징, 전개념적 사고기, 직관적 사고기, 유아기...
모순, 반대, 역설 (명제, 논리)
[유아기 전조작기 사고] 전조작기 사고의 특징(전개념적 사고기, 직관적 사고기) - 피아제(Pi...
[유아기 사고능력발달] 유아의 사고능력의 발달(전조작적 사고기, 전조작적 사고의 특징, 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