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소비에트 정권의 수립
2. 스탈린 정권
3. 스탈린 이후의 정권
4. 소련의 해체
2. 스탈린 정권
3. 스탈린 이후의 정권
4. 소련의 해체
본문내용
들을 접목시켜 사회주의와 자본주의가 함께 존재한다. 나는 소련의 지도자들도 어느 정도의 자본주의 도입의 필요성은 알고 있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그들의 혁명에 대한 집착 때문에 제대로 하지 못했다고 생각한다. 만약 스탈린이 \'신경제정책\'을 이어받아서 국내의 자본을 구축했었다면 중공업 정책을 시행할 때도 도움이 되었을 것이고 경제적 위기가 왔을 때도 그렇게 쉽게 붕괴되진 않았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마냥 소련은 우리의 적이고 그들의 붕괴는 우리에게 천만다행이라고 생각해왔었다. 하지만 영원한 우방과 영원한 적은 없다는 말이 있듯이 탈 이데올로기 시대인 오늘날 소련이 있었다면 우리나라로선 등거리 외교를 통해 미, 소 양국과 밀접한 관계를 맺어 더욱더 부강하고 어쩌면 통일이 되지 않았을까하고 상상해본다.
추천자료
북한체제의 형성과정
러시아 음식문화에 관하여
박정희의 경제개발과 유신정권jo
[대외정책][일본대외정책][미국대외정책][러시아대외정책][북한대외정책][조선대외정책]일본...
유신정권의 문화정책과 호스티스 문화
[고대 일본의 역사][고분시대][아스카 시대][나라 시대][헤이안 시대][일본 천황제]고대 일본...
러시아 민족주의의 특징
러시아 경제발전, 과정, 고르바초프, 옐친, 푸틴 집권기, 경제개혁, 러시아 경제구조의 특징,...
[러시아노동, 환경, 정치성, 공동체의식]러시아노동의 환경, 러시아노동의 정치성, 러시아노...
냉전체제(냉전시대)의 개념, 성립과정, 냉전체제(냉전시대)와 한국 대통령 이승만, 윤보선, ...
[러시아][러시아 마피아][성바실리사원][러시아 음주문화]러시아의 사상(마르크시즘, 맑시즘)...
제3공화국(박정희정권, 박정희정부)의 특성, 군사문화, 제3공화국(박정희정권, 박정희정부)의...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