독서와 토론 - 현대 사회에서 잘 산다는 것의 의미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독서와 토론 - 현대 사회에서 잘 산다는 것의 의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목차

Ⅰ. ‘잘 산다는 것’의 의미 : 선택의 문제

1. 최소 비용의 최대 효과

2. 현대사회의 경제학

Ⅱ. 진정으로 잘 살기 위한 진지한 탐구

1. 인간과 세계의 기원

2. 그릇된 관점이 그릇된 세계관을 낳았다.

3. 현대사회가 추구하는 잘 살기 : well-being

Ⅲ. 잘 산다는 것은 영원한 가치를 추구하는 것.

본문내용

마다의 가슴 한 켠에는 채워지지 않는 욕망과 만족감 때문에, 진정 잘 사는 것에 대한 해답을 찾아 나서고 있는 것이다.
Ⅲ. 잘 산다는 것은 영원한 가치를 추구하는 것.
어느 시대든 그 시대를 풍미하는 유행사조가 있다. 위에서 살펴본 바대로 현대인의 한 축은 자연주의적이고 무소유적 사상을 추구하는 웰빙족 부류이다.. 다른 한 측은 물질문명에 그대로 편승하여 살며 권력과 부를 추구하는 세속적 부류이다.
웰빙은 정말 잘 사는 것이 무엇인가를 진지하게 고민하는 과정에 도출된 화두이다. 그만큼 보다 근원적인 문제의식에서 시작한 만큼 적지 않은 사람들의 큰 호응을 얻어 가고 있다.
반면 세속적인 가치를 추구하며 현대의 특징인 대중적 가치관에 입각하여 항상 남과 비교하며 만족을 찾아가는 부류들이 어쩌면 더욱 많다고 여겨진다.
풍요 속의 빈곤, 대중 속의 고독이란 굴레를 벗어날 수 없을 것이다.
선택은 자유이겠지만 웰빙족이거나 창조론적 가치관의 소유자이거나 분명한 것은 보다 영원하고 절대적인 것을 추구하며 청빈하고 자족하는 삶을 살 것이냐 아니냐 중 선택해야 할 것이다.
유물론적, 진화론적 사상에 동조하여 정신이 육체의 하수로 전락되고, 넘쳐나는 욕망의 노예가 될 것인가. 그들도 자유롭고 행복한 삶을 살고자 했겠지만 그 선택의 결과는 정반대로 나타난 것이다..
소로우처럼 숲으로 들어가 자급자족하는 삶을 추구하지는 않겠다.
물질문명의 폐해를 피하고 싶기에 웰빙적 삶의 방법을 선호하나. 사회를 등지고 외따로 사는 것이 아니라 사회 속에서 사람들과 더불어 자연환경도 돌보며 문명의 이기도 적당히 누리며 사는 것.
다만 세계와 생명의 창조주인 신의 뜻이 무엇인가를 끊임없이 탐구하며 실천하며 살 때에 보다 자족하며 감사하는 삶을 살 수 있을 것이다. 많이 가졌을 때 나누어주리라 하고 손을 움켜쥐는 것이 아니라 있는 것 속에서도 나눌 것을 생각할 수 있는 여유를 가져야 하리라.
우리가 깨달아야 할 것은,
필요는 이미 있는 것이며, 우리가 피조물이라는 사실 자체에 주어진 것으로, 우리의 타락과 함께 헤아릴 수 없이 증가된 것이다. C.S루이스, 『네 가지 사랑』, 홍성사, 2005.
참고문헌
헨리 데이빗 소로우, 『월든』, 책만드는집, 2004,
에릭프롬, 『소유냐 존재냐』, 범우사, 1999.
김재욱, 『1318창조과학』, 생명의말씀사, 2009.
C.S루이스, 『네 가지 사랑』, 홍성사, 2005.
구약성경.
네이버 백과사전.

추천자료

  • 가격1,500
  • 페이지수6페이지
  • 등록일2015.04.27
  • 저작시기2015.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5353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