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초록
-수치 및 결과
-결론
-참고문헌
-수치 및 결과
-결론
-참고문헌
본문내용
점도 값을 이용하여 huggins, kraemer, mark-houwink, martin equation의 그래프를 그려보고 각 방정식의 constant와 고유점도 등을 구해보았다.
먼저 shear rate를 y축으로 viscosity를 x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도시하였더니 기울기가 0에 가까운 그래프가 얻어진 것으로 보아서 이 용액은 newtonian fluid인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분자량과 농도에 따른 viscosity 데이터를 huggins와 kraemer equation에 적용하여 그래프를 도시하였다. huggins equation인 경우 를 Y축으로 를 X축으로 설정하여 plot하였더니 y절편에서 고유점도, 기울기를 통하여 huggins constant()를 구할 수 있었다. kraemer equation인 경우 를 Y축으로 를 X축으로 설정하여 plot하였더니 y절편에서 고유점도, 기울기를 통하여 kraemer constant()를 구할 수 있다. 분자량 234000g/mol인 A 고분자인 경우 고유점도는 85.369임을 알았고, huggins constant는 0.4004, kraemer constant는 0.1284임을 구할 수 있었다. 분자량 384000g/mol인 B 고분자인 경우 고유점도는 113.245이었고, huggins constant는 0.3473, kraemer constant는 0.1483이었다. 분자량 970000g/mol인 고분자 C인 경우 고유점도가 202.235이며, huggins constant는 0.2258, kraemer constant는 0.1727이다. Mark-Houwink식을 이용해 K, a상수를 구해보았더니, K값은 0.0458이고 a는 0.6085임을 알 수 있었다. a는 0.5이상 0.8이하의 범위에 속하기 때문에 이 고분자는 most flexible polymer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분자량에 따른 고분자의 농도와 농도에 따른 점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martin equation에 적용시켜 를 Y축으로 하고, 를 X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도시하여 0.5641의 martin constant를 얻을 수 있었다.
참고문헌
1)Naver, newtonian, 2014.09.23, http://www.naver.com/
노흔효, 2014-2 03주차 점도, 2014.09.12, http://polychem.kumoh.ac.kr/main.do
먼저 shear rate를 y축으로 viscosity를 x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도시하였더니 기울기가 0에 가까운 그래프가 얻어진 것으로 보아서 이 용액은 newtonian fluid인 것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 분자량과 농도에 따른 viscosity 데이터를 huggins와 kraemer equation에 적용하여 그래프를 도시하였다. huggins equation인 경우 를 Y축으로 를 X축으로 설정하여 plot하였더니 y절편에서 고유점도, 기울기를 통하여 huggins constant()를 구할 수 있었다. kraemer equation인 경우 를 Y축으로 를 X축으로 설정하여 plot하였더니 y절편에서 고유점도, 기울기를 통하여 kraemer constant()를 구할 수 있다. 분자량 234000g/mol인 A 고분자인 경우 고유점도는 85.369임을 알았고, huggins constant는 0.4004, kraemer constant는 0.1284임을 구할 수 있었다. 분자량 384000g/mol인 B 고분자인 경우 고유점도는 113.245이었고, huggins constant는 0.3473, kraemer constant는 0.1483이었다. 분자량 970000g/mol인 고분자 C인 경우 고유점도가 202.235이며, huggins constant는 0.2258, kraemer constant는 0.1727이다. Mark-Houwink식을 이용해 K, a상수를 구해보았더니, K값은 0.0458이고 a는 0.6085임을 알 수 있었다. a는 0.5이상 0.8이하의 범위에 속하기 때문에 이 고분자는 most flexible polymer임을 알 수 있었다. 또한 각 분자량에 따른 고분자의 농도와 농도에 따른 점도 데이터를 이용하여 martin equation에 적용시켜 를 Y축으로 하고, 를 X축으로 하여 그래프를 도시하여 0.5641의 martin constant를 얻을 수 있었다.
참고문헌
1)Naver, newtonian, 2014.09.23, http://www.naver.com/
노흔효, 2014-2 03주차 점도, 2014.09.12, http://polychem.kumoh.ac.kr/main.do
키워드
추천자료
일반화학실험-결정장갈라짐에너지의측정
이중열 교환기(화학공학실험) 사전&결과보고서입니다.
전기화학실험(예비+결과보고서)
전기화학실험(예비+결과보고서)
[일반화학실험] 엔탈피 변화 측정
[일반화학실험] 식초의 중화적정 및 순도측정
일반화학실험 - 물의 기화엔탈피와 엔트로피 변화의 측정
일반화학실험 - 어는점 내림과 분자량 측정
[일반화학실험] 엔탈피 측정 : 엔탈피가 상태함수임을 알고 산과 염기의 중화반응을 이용하여...
일반화학실험보고서,아보가드로의 수 결정
일반화학및실험_산화환원 반응 : 과망간산법 결과 레포트
일반화학실험 완충용액 결과
일반화학실험/ 몰질량측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