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Ⅰ.서론
A. 연구의 필요성
B. 연구대상 및 방법
Ⅱ.본론
A.문헌고찰
A.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기록지
Ⅱ.결론
A. 연구의 필요성
B. 연구대상 및 방법
Ⅱ.본론
A.문헌고찰
A. 간호과정
1. 간호사정
2. 간호진단
3. 간호과정 기록지
Ⅱ.결론
본문내용
첩취량과 배설량 및 체중변화 이다.
처방된 약물은 소변 배설에 도움이 된다.
간호수행
매일 소변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날짜
03.02
03.03
03.04
03.05
03.06
03.07
03.08
소변량(cc)
500
1080
2550
3750
2090
3500
2750
BUN, Creatinine 수치를 모니터 하였다.
정상치
03.02
03.03
03.05
03.06
03.09
BUN
8-23
25.8
27.2
31.3
30.2
26.5
Cr
0.5-1.3
1.7
1.8
2.0
2.0
2.0
매일 아침식사 전 체중을 측정하였다.
날짜
03.02
03.03
03.04
03.05
03.06
03.07
03.08
03.09
체중(kg)
80.4
80.8
80.5
78.5
75
74
72.5
71
처방된 이뇨제를 투여하였다.
* 3/3-3/4 Furix 40mg(경구)
* 3/5 Lasix INJ 20mg (iv)
* 3/6-3/9 Furix 40mg(경구)
수분제한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 이해정도 - 상
간호평가
단기 : 대상자는 퇴원 시 체중 71kg 으로 평소체중인 60kg엔 미치지 못하나 9kg 감량하였다.
장기 : 대상자는 퇴원 시 부종이 없었다.
#2 약리적(이뇨제, 철분제), 물리적(전해질 불균형) 요인과 관련된 변비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배만 아프지 대변이 안 나와요 약 좀 주세요.”
Furix 40mg
Feroba-you SR Tab(Fe80mg) 투약 중 → 부작용 변비
간호목표
단기 : 48시간 이내에 변비 제거를 위한 방법을 말할 수 있다.
장기 : 퇴원 시 까지 적절한 배설 양상을 유지한다.
(1~4회/일, 무르거나 단단하지 않은 변)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대상자의 대변 빈도와 특성을 모니터 한다.
대상자가 하루에 한 번 복부마사지를 하도록 교육한다.
복부 압력이 완전한 배변에 부적절하다면 상체를 가볍게 흔들도록 대상자를 격려한다.
kegel 운동을 틈틈이 시행하도록 격려한다.
대상자가 편리하게 화장실을 사용하도록 한다.
-복부마사지와, Kegel 운동은 배변활동에 도움을 준다.
간호수행
대상자의 대변 빈도와 특성을 모니터 하였다.
날짜
03.02
03.03
03.04
03.05
03.06
03.07
03.08
03.09
대변
1회
N
N
N
N
1회
N
D/C
복부마사지, kegel 운동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 횡행과 하행결장을 따라 부드럽게 마사지
* 숨을 내쉬면서 항문에 힘주기
대상자가 편리하게 화장실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 변의가 느껴질 때 즉시 화장실에 가도록 함
간호평가
단기 : 대상자는 변비 제거를 위한 방법으로 “운동, 마사지 섬유질 많은 음식(잡곡밥, 고구마)” 라고 대답하였고, Kegel 운동과 마사지는 자주 시행하였다고 함.
장기 : 3월4일부터 Duphalac 투약하였으나 대상자는 대변을 보지 못했다.
* 3월 7일 대변 양상 : 손가락 정도 크기, 단단한 변
#3 부종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온 몸이 가려워요.”
대상자가 몸을 긁는 모습을 자주 관찰함
진단명 : CKD stage3, RET(25.8/1.7)
간호목표
단기 : 대상자는 48시간 이내에 피부손상의 예방 방법에 대해 말 할 수 있다.
장기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피부 손상이 없다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매일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소양감 발생 시 처방된 연고를 바른다.
피부를 청결하게 관리하도록 한다.
소양감 완하를 위한 방법을 교육한다.
BUN, Cr수치 모니터 한다.
-부종이 심해지면 피부를 압박할 때 체액이 구멍을 통해 누출 될 수 있다.
-조직 내에 체액이 과다하면 세포의 영양부족상태를 초래하고, 영상부족 상태가 되면 외상과 감염에 민감해지고 치유가 어려워 진다.
간호수행
매일 피부상태를 관찰하였다.(전신, 다리, 발목)
날짜
03.02
03.03
03.04
03.05
03.06
03.07
03.08
03.09
피부
누런색, 건조
누런색, 건조
누런색, 건조
누런색, 건조
누런색, 건조
누런색, 건조
누런색, 건조
D/C
pitting edema
3+
3+
2+
2+
2+
2+
1+
1+
반상출혈
양측 팔
양측 팔
양측 팔
양측 팔
양측 팔
양측 팔
양측 팔
양측 팔
소양감 호소 시 처방된 약품을 얇게 문지르면서 바르도록 하였다.
* 3/5 처방 1% 118ml Lacticare HC Lotion
피부를 청결하게 관리하도록 하였다.
* 손톱 짧게 자르기
소양감 완화를 위한 방법을 교육하였다.
* 목욕 후 건조하지 않게 3분 이내에 보습제를 바르기
* 적절한 습도와 온도 유지하기 (가습기 사용)
* 목욕 시 미지근한 온도의 물을 사용하기
BUN, Cr 수치 모니터 하였다.
내용
정상치
03.02
03.03
03.05
03.06
03.09
BUN
8-23
25.8
27.2
31.3
30.2
26.5
Cr
0.5-1.3
1.7
1.8
2.0
2.0
2.0
간호평가
단기 : 대상자는 소양감을 말로 표현하였고, 연고를 처방해달라고 요청하였다.
손톱을 짧게 자른 모습을 확인하였고, 병실에 가습기를 가져와 이용함
장기 : 대상자는 채혈, 약물 주입을 위한 inj.으로 주사바늘 삽입부위 반상출혈 이 있는 상태로 퇴원하였다.
Ⅱ.결론
본 사례연구 대상자 김OO 님은 갑작스러운 체중 증가 때문에 입원하신 분으로 우선 순위에 따라 간호진단으로 신장손상과 관련된 체액과다, 약리적(이뇨제, 철분제), 물리적(전해질 불균형) 요인과 관련된 변비, 부종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가지를 내렸다. 이에 따른 간호중재로 매일의 체중을 측정하며 처방된 이뇨제를 투여하였고, 대상자의 배변활동을 돕기 위한 교육을 하였으며, 피부손상이 잃어나지 않도록 피부상태를 관찰하여 처방된 연고를 바르게 하였다. 대상자는 입원한 지 일주일이 지나고 평소체중인 60kg로 돌아가진 못했지만, 9kg를 감량하고 퇴원하셨다.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Ⅰ,Ⅱ. 현문사
김금자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Ⅰ,Ⅱ. 현문사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g.org/
처방된 약물은 소변 배설에 도움이 된다.
간호수행
매일 소변 배설량을 측정하였다.
날짜
03.02
03.03
03.04
03.05
03.06
03.07
03.08
소변량(cc)
500
1080
2550
3750
2090
3500
2750
BUN, Creatinine 수치를 모니터 하였다.
정상치
03.02
03.03
03.05
03.06
03.09
BUN
8-23
25.8
27.2
31.3
30.2
26.5
Cr
0.5-1.3
1.7
1.8
2.0
2.0
2.0
매일 아침식사 전 체중을 측정하였다.
날짜
03.02
03.03
03.04
03.05
03.06
03.07
03.08
03.09
체중(kg)
80.4
80.8
80.5
78.5
75
74
72.5
71
처방된 이뇨제를 투여하였다.
* 3/3-3/4 Furix 40mg(경구)
* 3/5 Lasix INJ 20mg (iv)
* 3/6-3/9 Furix 40mg(경구)
수분제한의 필요성에 대해 교육하였다.
* 이해정도 - 상
간호평가
단기 : 대상자는 퇴원 시 체중 71kg 으로 평소체중인 60kg엔 미치지 못하나 9kg 감량하였다.
장기 : 대상자는 퇴원 시 부종이 없었다.
#2 약리적(이뇨제, 철분제), 물리적(전해질 불균형) 요인과 관련된 변비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배만 아프지 대변이 안 나와요 약 좀 주세요.”
Furix 40mg
Feroba-you SR Tab(Fe80mg) 투약 중 → 부작용 변비
간호목표
단기 : 48시간 이내에 변비 제거를 위한 방법을 말할 수 있다.
장기 : 퇴원 시 까지 적절한 배설 양상을 유지한다.
(1~4회/일, 무르거나 단단하지 않은 변)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대상자의 대변 빈도와 특성을 모니터 한다.
대상자가 하루에 한 번 복부마사지를 하도록 교육한다.
복부 압력이 완전한 배변에 부적절하다면 상체를 가볍게 흔들도록 대상자를 격려한다.
kegel 운동을 틈틈이 시행하도록 격려한다.
대상자가 편리하게 화장실을 사용하도록 한다.
-복부마사지와, Kegel 운동은 배변활동에 도움을 준다.
간호수행
대상자의 대변 빈도와 특성을 모니터 하였다.
날짜
03.02
03.03
03.04
03.05
03.06
03.07
03.08
03.09
대변
1회
N
N
N
N
1회
N
D/C
복부마사지, kegel 운동 방법에 대해 교육하였다.
* 횡행과 하행결장을 따라 부드럽게 마사지
* 숨을 내쉬면서 항문에 힘주기
대상자가 편리하게 화장실을 사용하도록 하였다.
* 변의가 느껴질 때 즉시 화장실에 가도록 함
간호평가
단기 : 대상자는 변비 제거를 위한 방법으로 “운동, 마사지 섬유질 많은 음식(잡곡밥, 고구마)” 라고 대답하였고, Kegel 운동과 마사지는 자주 시행하였다고 함.
장기 : 3월4일부터 Duphalac 투약하였으나 대상자는 대변을 보지 못했다.
* 3월 7일 대변 양상 : 손가락 정도 크기, 단단한 변
#3 부종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간호사정
주관적 자료
객관적 자료
“온 몸이 가려워요.”
대상자가 몸을 긁는 모습을 자주 관찰함
진단명 : CKD stage3, RET(25.8/1.7)
간호목표
단기 : 대상자는 48시간 이내에 피부손상의 예방 방법에 대해 말 할 수 있다.
장기 : 대상자는 퇴원 시 까지 피부 손상이 없다
간호중재
이론적근거
매일 피부상태를 관찰한다.
소양감 발생 시 처방된 연고를 바른다.
피부를 청결하게 관리하도록 한다.
소양감 완하를 위한 방법을 교육한다.
BUN, Cr수치 모니터 한다.
-부종이 심해지면 피부를 압박할 때 체액이 구멍을 통해 누출 될 수 있다.
-조직 내에 체액이 과다하면 세포의 영양부족상태를 초래하고, 영상부족 상태가 되면 외상과 감염에 민감해지고 치유가 어려워 진다.
간호수행
매일 피부상태를 관찰하였다.(전신, 다리, 발목)
날짜
03.02
03.03
03.04
03.05
03.06
03.07
03.08
03.09
피부
누런색, 건조
누런색, 건조
누런색, 건조
누런색, 건조
누런색, 건조
누런색, 건조
누런색, 건조
D/C
pitting edema
3+
3+
2+
2+
2+
2+
1+
1+
반상출혈
양측 팔
양측 팔
양측 팔
양측 팔
양측 팔
양측 팔
양측 팔
양측 팔
소양감 호소 시 처방된 약품을 얇게 문지르면서 바르도록 하였다.
* 3/5 처방 1% 118ml Lacticare HC Lotion
피부를 청결하게 관리하도록 하였다.
* 손톱 짧게 자르기
소양감 완화를 위한 방법을 교육하였다.
* 목욕 후 건조하지 않게 3분 이내에 보습제를 바르기
* 적절한 습도와 온도 유지하기 (가습기 사용)
* 목욕 시 미지근한 온도의 물을 사용하기
BUN, Cr 수치 모니터 하였다.
내용
정상치
03.02
03.03
03.05
03.06
03.09
BUN
8-23
25.8
27.2
31.3
30.2
26.5
Cr
0.5-1.3
1.7
1.8
2.0
2.0
2.0
간호평가
단기 : 대상자는 소양감을 말로 표현하였고, 연고를 처방해달라고 요청하였다.
손톱을 짧게 자른 모습을 확인하였고, 병실에 가습기를 가져와 이용함
장기 : 대상자는 채혈, 약물 주입을 위한 inj.으로 주사바늘 삽입부위 반상출혈 이 있는 상태로 퇴원하였다.
Ⅱ.결론
본 사례연구 대상자 김OO 님은 갑작스러운 체중 증가 때문에 입원하신 분으로 우선 순위에 따라 간호진단으로 신장손상과 관련된 체액과다, 약리적(이뇨제, 철분제), 물리적(전해질 불균형) 요인과 관련된 변비, 부종과 관련된 피부손상 위험성 3가지를 내렸다. 이에 따른 간호중재로 매일의 체중을 측정하며 처방된 이뇨제를 투여하였고, 대상자의 배변활동을 돕기 위한 교육을 하였으며, 피부손상이 잃어나지 않도록 피부상태를 관찰하여 처방된 연고를 바르게 하였다. 대상자는 입원한 지 일주일이 지나고 평소체중인 60kg로 돌아가진 못했지만, 9kg를 감량하고 퇴원하셨다.
[참고문헌 및 참고사이트]
조경숙 외. 성인간호학 Ⅰ,Ⅱ. 현문사
김금자 외. NANDA 간호진단과 중재 가이드. 현문사
양선희 외. 기본간호학 Ⅰ,Ⅱ. 현문사
서울대학교 병원 의학정보 http://www.snug.org/
키워드
추천자료
case-study(간장과 담낭질환)-사례연구
만성신부전
만성신부전 대상자의 간호
만성신부전식이요법의 원칙-
[장애인인권][구제제도]장애인인권의 범주, 장애인인권의 인식, 장애인인권의 상담, 장애인인...
치료식단-만성위염, 당뇨병, 고혈압, 만성간염, 고지혈증, 만성신부전증, 식이요법
ARF & CRF (급성신부전 & 만성신부전)
[신부전증] 신부전의 종류 - 급성신부전과 만성신부전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 식사요법(식이...
[신장질환] 신장질환의 종류와 증상 및 치료 - 신증후군, 급성신부전, 만성신부전, 신결석의 ...
[신장질환] 신장질환의 종류와 원인 및 증상 - 신증후군, 사구체신염(급성사구체신염, 만성사...
[신장질환] 신장질환(신장병)의 일반적인 증상(부종,단백뇨,고혈압)과 종류- 만성신부전, 급...
[신장질환] 신장질환(급성신염, 만성신염, 신증후군, 급성신부전, 만성신부전)의 원인과 증상...
[신장질환] 신장질환의 종류와 증상 및 치료방법 - 신염(급성사구체신염, 만성사구체신염, 네...
[신장질환 식이요법] 신장질환(신증후군 급성신부전 및 만성신부전 혈액투석 지속성 복막투석...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