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장질환 식이요법] 신장질환(신증후군 급성신부전 및 만성신부전 혈액투석 지속성 복막투석 신결석증)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를 위한 식사요법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신장질환 식이요법] 신장질환(신증후군 급성신부전 및 만성신부전 혈액투석 지속성 복막투석 신결석증)의 원인과 증상 및 치료를 위한 식사요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신장질환

I. 신증후군
1. 원인
2. 증상
3. 식사요법
1) 단백질
2) 열량
3) 나트륨과 칼륨
4) 지질 및 콜레스테롤

II. 만성신부전
1. 원인
2. 증상
3. 식사요법
1) 열량
2) 단백질
3) 나트륨
4) 칼륨
5) 칼슘과 인
6) 비타민 및 무기질
7) 지방

III. 급성신부전
1. 원인
2. 증상
3. 식사요법
1) 열량
2) 수분 및 나트륨
3) 단백질
4) 칼륨

IV. 혈액투석
1. 방법
2. 특징
3. 식사요법
1) 열량
2) 단백질
3) 나트륨 및 수분
4) 칼륨
5) 칼슘 및 인
6) 수용성 비타민과 기타 무기질

V. 지속성 복막투석
1. 방법
2. 특징
3. 식사요법
1) 단백질
2) 열량
3) 나트륨 및 수분
4) 칼륨
5) 인
6) 수용성 비타민과 기타 무기질

VI. 신결석증
1. 원인과 증세
2. 종류

참고문헌

본문내용

보충하기 위하여 일반적으로 주당 2-3회 투석을 하는 경우 단백질은 1.0~1.2g/kg (표준체중) 공급하며, 단백질 섭취량의 최소한 50% 이상은 생물가가 높은 식품으로 제공하도록 한다.
3) 나트륨 및 수분
나트륨은 고혈압과 부종을 조절하고 심장기능에 부담을 줄이기 위해 보통 1일 나트륨 2,000~3,000mg(소금 5~8g) 이하가 권장된다. 나트륨 섭취를 줄이면 갈증이 둔화되어 과량의 수분 섭취로 인한 체중증가 및 혈압상승을 막을 수 있다. 수분의 섭취는 투석 간 체중증가가 건조 체중의 4-6% 이내가 되도록 조절한다.
4) 칼륨
고칼륨혈증은 근육 무력감, 심장 부정맥cardiac arrhythmia, 심장마비 등을 일으킬 수 있으므로 혈액투석 환자의 칼륨 제한은 필수적이다. 칼륨의 섭취량은 투석액의 농도에 따라 조정되나 보통 1일 40~60mEq(1,600-2,400mg)이하로 한다.
5) 칼슘 및 인
고인산혈증으로 야기될 수 있는 부갑상선기능항진증을 예방하고, 골이영양증을 방지하기 위하여 칼슘과 인의 조절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1일 인 섭취를 표준체중 1kg당 15~17mg이하로 한다. 또한 칼슘 및 인의 조절은 식사 조절과 병행하여 인산결합제, 칼슘보충제의 사용이 요구된다.
6) 수용성 비타민과 기타 무기질
투석 시 수용성 비타민과 무기질 특히 티아민Thiamin(비타민 B1), 리보플라빈(비타민 B2) 피리독신 Pyridoxine(비타민 B6), 엽산, 비타민 C, 철분 등이 손실될 수 있으므로 엽산과 철분이 포함된 종합 비타민의 보충이 필요하다.
V. 지속성 복막투석
(1) 방법
복막투석은 복막 내에 투석액을 주입하고 복막을 통하여 체내의 수분과 노폐물을 제거하는 자가투석 방법이다. 수술을 통해 복막 내에 카테터를 설치하고 2L의 투석액(포도당 농도 1.5-4.25%)을 하루 4-5회 교환한다.
(2) 특징
복막투석의 장점은 지속적으로 투석이 수행되어 체내의 노폐물, 전해질, 수분 등이 일정한 상태로 유지되므로 엄격한 식사제한에서 벗어날 수 있다는 점이다.
반면에, 단점으로는 합병증으로 복막염 발생 위험이 높고 고지혈증이 나타날 수 있다는 점이다. 복막투석 환자의 영양권장량은 환자의 체격 및 잔여 신장 기능과 함께 투석액의 교환 횟수, 투석액의 양, 투석액의 농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3) 식사요법
식사요법 시행 시 다음과 같은 점을 충분히 고려하여 영양관리의 목표를 설정하도록 한다.
1) 단백질
지속성 복막투석으로 손실되는 단백질은 1일 약 6~10g이다. 양의 질소평형을 유지하고, 매일매일 투석액으로 유출되는 필수아미노산 및 질소를 보충하기 위해 1일 표준체중 1kg당 1.2~1.3g이 필요하다. 투석액의 복강 내 잔류로 인한 복부 팽만감 및 복압의 상승은 환자의 소화력을 저하시켜 단백질 섭취가 부족하게 되는 경우가 빈번하므로 단백질 섭취가 결핍되지 않도록 지속적인 영양관리가 요구된다.
2) 열량
일반적으로 총 열량 요구량은 표준체중 1kg당 30~35kcal 정도이나 투석액으로부터 흡수되는 덱스트로오스는 중성지방을 높이고 체중증가의 원인이 될 수 있으므로 열량 섭취를 조절하여야 한다. 1일 식사로부터의 필요열량은 투석액에서의 열량 흡수를 감안하여 결정한다.
3) 나트륨 및 수분
부종, 갈증, 혈압을 조절하기 위해 나트륨을 3,000~4,000mg(소금 8~10g)정도 섭취한다. 그러나 혈압 조절이 어렵고 투석으로 충분한 수분이 제거되지 않을 경우 체내에 수분이 축적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 엄격한 나트륨 제한(2,000mg이하)이 필요하다. 일반적으로 수분섭취 제한은 필요하지 않으나, 고혈압 또는 부종이 있는 경우 나트륨 제한과 함께 수분 제한이 필요하다.
4) 칼륨
일반적으로 칼륨 제한은 필요하지 않다. 그러나 고칼륨혈증이 있는 경우 칼륨을 1일 약 60~70mEq(2,400~2,800mg)정도로 제한한다.
5) 인
고인산혈증을 예방하기 위하여 복막투석만으로는 인이 충분히 제거되지 못하므로 인 섭취를 표준체중 kg당 17mg 이하로 제한하며, 고인산혈증을 치료하기 위하여 인산결합제, 칼슘보충제를 사용하기도 한다.
6) 수용성 비타민과 기타 무기질
투석으로의 수용성 비타민과 무기질의 손실이 있으므로 엽산과 철분 등이 포함된 비타민제의 보충이 필요하다.
그림. 복막투석방법
VI. 신결석증
(1) 원인과 증세
신결석은 소변의 성분이 결정화되어 나타난다. 결석은 한 개로 된 것과 여러 게가 결합된 것이 있으며, 소변량의 감소, 요로 폐색 또는 결석 형성 물질의 농도 증가 등이 원인이 되어 형성된다. 신장결석의 치료는 요중 결정물질의 용해와 배설을 촉진하고, 결정의 생성을 억제하는 방법을 사용한다. 요관결석과 신장결석의 가장 특징적인 증상은 결석이 신우 안에서 요도를 침해하거나, 요도 통과 시 요도벽의 연근육을 이완하였다가 수축할 때 심한 통증이 갑자기 나타나는 것이다. 결석이 요로를 막으면 통증과 혈뇨, 발열, 구토, 창백, 발한 등이 생긴다.
(2) 종류
신결석은 성분별로 보면 신결석 환자의 75% 정도는 칼슘수산염과 칼슘인산염의 혼합형으로 칼슘을 함유하고 있다. 이 외에 마그네슘 암모늄 인산염(스트루바이트)결석이 15% 정도이며, 약 10%가 요산과 시스틴결석이다. 신결석 발병률을 보면 남자가 여자보다 3-4배 더 많고, 연령은 20-50대가 많으며, 어린이는 드물다.
# 참고문헌
<식사요법> 김명희, 김미현 외 3명 저 / 광문각 / 2011
<질환에 따른 식사요법> 장혜순, 서광희 외 3명 저 / 신광출판사 / 2014
<식사요법 원리와 실습> 구재옥, 김원경 외 3명 저 / 교문사 / 2007
<영양과 식사요법의 간호적용> 김매자, 송미순 외 1명 저 / 정문각 / 2009
이기완, 명춘옥 외 2명 저 / 수학사 / 2009
<식사요법실습> 최미숙, 서광희 외 3명 저 / 파워북 / 2009
<보건간호 일반> 김희영 김보영 저 / 포널스출판사 / 2016
<임상간호와 영양> Stump Suzanne Do 저 / 정담미디어 / 2016
<간호와 영양> 김영경 김희순 외 3명 저 / 현문사 / 2016

추천자료

  • 가격3,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8.04.06
  • 저작시기2018.4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1052068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