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배경과 흐름」을 선택했지만, 다음번엔 이 책에 소개된 작품들을 읽어봐야겠다. 아직은 일본어를 잘 몰라서 번역본은 통해 일본 문학을 접해야 하지만, 앞으로는 일본어 공부를 열심히 해서 이 책에 소개된 여러 작품들을 원서로 읽어 볼 생각이다. 번역한 것을 보기보다는 실제 일본어로 쓰여 진 작품을 통해 접하는 것이 문학을 더 잘 이해할 수 있기 때문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후미코의 발 -다니자키 준이치로(독후감)
[고전문학] 「박씨전」에 나타나는 사상 - 민간신앙
[고전문학]구운몽 작품 개관 및 남녀 결연 서사
[고전문학]국선생전 - 작품분석, 문학사적 위상, 연구사
[고전문학]원생몽유록 - 작품분석, 인물분석, 연구사 검토 및 문학사적 의의
* 고전문학과 현대문학의 관계 - 전통 계승 론과 전통단절론을 포괄적으로 논의, 개별 장르...
[가부키]일본전통고전연극 가부키의 역사, 발전, 양식과 일본전통고전연극 가부키의 분장, 무...
[운영전][고전소설][고전문학][고전][소설][문학]운영전(고전소설)의 등장인물, 운영전(고전...
[미국문학][영국문학][낭만주의문학][하이퍼문학]미국문학의 특성, 미국문학의 배경, 미국문...
[일본문학]일본문학과 겐지 모노가타리(겐지이야기, 원씨물어), 일본문학의 고쿠카쿠운동, 일...
[고전문학A+] 시조분석 및 문화콘텐츠화 - 이현보의「어부단가를 통해 보는 강호가도와 강호...
[고전문학개론] 시조(時調)분석 및 문화콘텐츠화 [어부단가 강호가도]
[고전문학 교육론] 시조 가까이 느끼기 -스스로 만들어 보는 시조 활동-
[고전문학 교육론] 판소리계 소설 지도 방안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