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와 관련된 재해 이야기 강의
본 자료는 2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해당 자료는 2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2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기후와 관련된 재해 이야기 강의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의 적도 부근에서는 태풍이 생겨나지 않는다. 그래서 우리나라에 영향을 주는 태풍은 북위 5-25。 동경 110-160。 해역에서 주로 7-10월경에 발생한다.
태풍이 거느리고 다니는 강한 폭풍우의 범위는 중심에서 200-500 km 정도이다. 태풍의 중심으로 갈수록 기압은 하강하고 풍속은 증가한다. 그러나 태풍의 눈은 바람과 구름이 없는 맑은 날씨이다.
태풍이 동반한 엄청난 태풍이 육지로 상륙하면서 소실되어 일상적인 열대성 저기압으로 바뀌고 태풍의 운명은 끝이 난다. 이것은 바다 위에서 발생한 태풍이 대륙인 육지로 상륙하면서 에너지와 수증기 공급을 충분히 받지 못하고 지상과의 마찰로 에너지를 많이 빼앗기기 때문이다. 또한 중위도에 자리잡고 있던 전선이나 기압들에 에너지를 많이 빼앗기는 것도 태풍이 열대성 저기압으로 바뀌는 또 다른 이유이다.
◆ 토네이도
토네이도는 태풍과는 달리 주로 육지에서 발생한다. 회오리바람은 회전하는 공기 기둥으로 토네이도와 비슷하기는 하지만 그 규모와 강도는 비교가 안된다. 미국 중부와 로키 산맥 동부에서 주로 발생하는 토네이도는 찬 기류가 갑자기 더운 기류와 만날 때 만들어진다.
토네이도의 발생은 적란운으로부터 시작된다. 적란운은 빠르게 상승하면서 적란운 속의 수증기들을 응결시키고 에너지를 내놓게 만든다. 적란운 내부에서는 물방울이 만들어지고 그 에너지로 상승기류가 생기면서 다시 물방울들이 만들어지는 과정이 반복된다. 그러면서 에너지가 축적되고 서서히 회전한다. 천천히 돌던 토네이도는 에너지를 배출할 방법을 찾는데 그것이 바로 빨대 구름이다. 이때부터 토네이도는 옆으로 퍼지기보다는 위로 솟구치는 힘이 더 강해진다. 좁은 형태의 빨대 구름이 아래로 내려오면 회전속도는 더 빨라진다. 하지만 어떻게 좁은 형태의 빨대구름이 내려오는 것인지는 밝혀지지 않았다.
구름의 깊이와 빨대 구름의 속도로 피해 정도를 예측하는 토네이도는 지름이 수 m에서 수 km까지 다양하다. 토네이도가 위험한 것은 바람이 세게 불기 때문이 아니라 빨대 구름의 내부 기압이 매우 낮다는데 있다. 일반적인 대기압이 1013 hPa인데 비해 빨대 구름 내부는 100-50 hPa밖에 안된다. 다시 말해 빨대 구름의 내부는 거대한 진공청소기와 같다고 할 수 있다.
9. 알래스카의 알류산 협곡에서 지진해일이 발생하였다. 태평양의 평균수심을 4000m로 가정하고, 진앙으로부터의 거리가 약 4000km 떨어진 하와이까지 쯔나미가 도달되는 시간을 구하라(단, g는 10m/sec² 로 가정)
속도= = 200m/s
시간=거리/속도=(4000000m)/(200m/s)=20,000sec=5.55 hour
10. 기말고사 sample 문제를 풀고 정답을 쓰시오.
1. ②
2. ①②④
3. ④
4. ①
5. ③④
6. ④⑤
7. ②
8. ①③⑤
9. ①②⑤
10. ②④⑤
11. ①④
12. ①④
13. ②③⑤
14. ⑤
15. ④⑤⑥
16. ②
17. ③④
18. ②⑤
19. ④
20. ①②④
21. ③
22. ①②③④
23. ①④
24. O
25. X
26. O

키워드

  • 가격8,400
  • 페이지수7페이지
  • 등록일2015.05.10
  • 저작시기2014.7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697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