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근대성립의 뿌리>
<대륙이성론>
<근대의 정치사상>
<비판철학>
<실용주의>
<실증주의>
<대륙이성론>
<근대의 정치사상>
<비판철학>
<실용주의>
<실증주의>
본문내용
구체적 실존이 추상, 보편, 철학적 자아보다 중요하다.
샤르트르: 실존은 본질보다 앞서있다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내가 있고 추상적인 무엇이 있지, 내가 추상적인 틀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결단: 실제 존재하는 ‘나’의 본질, 자유(열려있는 존재→결정론을 부정)
“인간은 자유로 저주를 받고 태어났다.”→자유와 결단에 따르는 고뇌
카 뮈: 실존과 실존의 결단을 잘 보여줌
피 투: 던져진 존재, 주어진 환경
기 투: 피투 되었지만, 생각하고 미래를 바라보는 존재, 열려져있는 존재(자유)→스스로를 던져야 한다.(결단, 선택)
=>미래를 생각하며 불안해 할 수 있는 존재(자유+기투의 부담 But 자유의 끝은 불안 therefore 자유를 버리려함)
우리의 실존: 조건이 아니라 자신의 결단과 결단이 열어가는 자신
운명을 사랑: 불안의 운명을 주체적으로 선택, 피할 수 없다면 그것을 기꺼이 하겠다는 태도
평가: 인격성을 강조하여 인격이 소멸되는 사회에서 인격과 자유를 회복 But 인간의 한계를 경시 할 수 있음
----------------------------------------------------------
<실증주의> 근대철학의 최종주자, 근대 처음의 것을 다시 해보려는 몸부림
실증주의: 실제로 증명된 것만 믿고 증명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는 것=>불가능(brute fact X, 해석된 Fact only)
실증주의와 현상학: 수학적 엄밀성을 추구, 명료화(근대 초기의 방법론으로 회귀)
근대초기 방법론과 실증주의의 차이점: 근대초기: 이성을 가지고 명료성추구, 내용//실증주의: 감각으로 명료성, 방법
방법론의 철학: 철학의 목적=사상을 논리적으로 명료화(만드는 것 X), 내용X 형식에 치중
헤겔 후 여태껏 철학이 공허한 내용으로 보이기 시작(일상으로부터의 격리&문제해결X)
⇒삶이중요-실존주의/결과가 중요-실용주의/형식이 중요-실증주의(내용불신, 명제가 맞는지 점검하는 철학이 필요)
어거스트 콩트: 사회학(사회과학의 아버지)
문명유형론: 인간은 3단계의 문명을 거침
신화(학)적인 단계:[성직자]초월에 의지
형이상학적 단계:[철학자-철학, 법학]실체와 우주의 질서 로고스의 존재를 확신
실증의 시대:[과학, 기술] 실제로 입증된 것만 믿는 시대
언어로 전환: 실체는 잡을 수 없지만, 그것에 대해 설명한 것들이 있기 때문에 이것의 언어적 모순을 확인
=>언어의 구조의 논리를 통한 검증(언어 분석철학, 논리 분석철학의 등장)→형이상학의 상실
논리적 원자론: 글을 쪼게면 하나의 명제, 논리적 원자가 남게 된다.(하나의 명제로 요약 할 수 있다는 확신)
원자 명제의 판단 근거: 실증(경험, 감각)
비트겐스타인: 전기와 후기가 다른 철학자
철학의 과제: 명제 생성X, 명제의 의미를 명료화하는 것
그림이론: 언어=그림, 명제=실재들을 그림으로 보여주는 것
진위 판단: 경험을 통해 생긴 그림과 비교(그림 없음=허위) 그림이 없다면 만들어진 사실(eg 이데아)
Change/후기 비트겐 슈타인
언어=도구: 문맥이 그림이고 명제는 문맥에 따라 변화
샤르트르: 실존은 본질보다 앞서있다
실존은 본질에 앞선다: 내가 있고 추상적인 무엇이 있지, 내가 추상적인 틀에 의해서 만들어지는 것이 아니다
결단: 실제 존재하는 ‘나’의 본질, 자유(열려있는 존재→결정론을 부정)
“인간은 자유로 저주를 받고 태어났다.”→자유와 결단에 따르는 고뇌
카 뮈: 실존과 실존의 결단을 잘 보여줌
피 투: 던져진 존재, 주어진 환경
기 투: 피투 되었지만, 생각하고 미래를 바라보는 존재, 열려져있는 존재(자유)→스스로를 던져야 한다.(결단, 선택)
=>미래를 생각하며 불안해 할 수 있는 존재(자유+기투의 부담 But 자유의 끝은 불안 therefore 자유를 버리려함)
우리의 실존: 조건이 아니라 자신의 결단과 결단이 열어가는 자신
운명을 사랑: 불안의 운명을 주체적으로 선택, 피할 수 없다면 그것을 기꺼이 하겠다는 태도
평가: 인격성을 강조하여 인격이 소멸되는 사회에서 인격과 자유를 회복 But 인간의 한계를 경시 할 수 있음
----------------------------------------------------------
<실증주의> 근대철학의 최종주자, 근대 처음의 것을 다시 해보려는 몸부림
실증주의: 실제로 증명된 것만 믿고 증명할 수 있다는 믿음이 있는 것=>불가능(brute fact X, 해석된 Fact only)
실증주의와 현상학: 수학적 엄밀성을 추구, 명료화(근대 초기의 방법론으로 회귀)
근대초기 방법론과 실증주의의 차이점: 근대초기: 이성을 가지고 명료성추구, 내용//실증주의: 감각으로 명료성, 방법
방법론의 철학: 철학의 목적=사상을 논리적으로 명료화(만드는 것 X), 내용X 형식에 치중
헤겔 후 여태껏 철학이 공허한 내용으로 보이기 시작(일상으로부터의 격리&문제해결X)
⇒삶이중요-실존주의/결과가 중요-실용주의/형식이 중요-실증주의(내용불신, 명제가 맞는지 점검하는 철학이 필요)
어거스트 콩트: 사회학(사회과학의 아버지)
문명유형론: 인간은 3단계의 문명을 거침
신화(학)적인 단계:[성직자]초월에 의지
형이상학적 단계:[철학자-철학, 법학]실체와 우주의 질서 로고스의 존재를 확신
실증의 시대:[과학, 기술] 실제로 입증된 것만 믿는 시대
언어로 전환: 실체는 잡을 수 없지만, 그것에 대해 설명한 것들이 있기 때문에 이것의 언어적 모순을 확인
=>언어의 구조의 논리를 통한 검증(언어 분석철학, 논리 분석철학의 등장)→형이상학의 상실
논리적 원자론: 글을 쪼게면 하나의 명제, 논리적 원자가 남게 된다.(하나의 명제로 요약 할 수 있다는 확신)
원자 명제의 판단 근거: 실증(경험, 감각)
비트겐스타인: 전기와 후기가 다른 철학자
철학의 과제: 명제 생성X, 명제의 의미를 명료화하는 것
그림이론: 언어=그림, 명제=실재들을 그림으로 보여주는 것
진위 판단: 경험을 통해 생긴 그림과 비교(그림 없음=허위) 그림이 없다면 만들어진 사실(eg 이데아)
Change/후기 비트겐 슈타인
언어=도구: 문맥이 그림이고 명제는 문맥에 따라 변화
추천자료
[책요약] 종교, 근대의 길을 묻다
중국 근대사 요약 정리 및 느낀점
근대화이론과 종속이론 - 근대화이론 특징 요약, 종속이론의 관점에서 주어진 이에 대한 비판...
권영민 한국현대문학사 비판 및 요약 (문학사 서술 분석, 문학사 서술 비판, 문학사 재구성 ...
[요약]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_ 김경일 대학교수 저
[요약] 후기 근대의 페미니즘 담론 (저자 이수자)
[책 요약]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책 요약]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저자 김경일)
[책요약]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_ 저자 : 김경일
[책요약] 여성의 근대, 근대의 여성 _ 김경일 저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