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을 볼 수 있었고 이는 마찰에 의한 에너지 손실로 추측된다. 위의 사진들은 진폭의 감소가 크게 보이지 않는 것들의 사진을 첨부했다. 대략 추측해 보자면 관성바퀴의 회전속도에 장동운동의 주기가 영향을 받는 것 같다. 당시 관성바퀴의 회전속도를 기록해놓았지 않았기에 안타깝게도 각 경우에 대하여 어떠한 관계를 갖는지 정확한 추측은 불가능하다.
토의및 건의사항
실험 1. 관성 바퀴의 관성 모멘트 측정
버니어캘리퍼스의 측정범위가 좀 더 컸다면 관성바퀴의 반지름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했을 것이다. 측정범위가 작아 관성바퀴의 큰 반지름을 정확하게 구하지 못하고 13.1cm로 결정지었다. 결과적으로 측정범위가 작아 아들자와 어미자가 만나는 구간을 구하지 못해 0.05mm단위 까지 정확하게 구하지 못한채 어림하였다.
실험4. 세차운동 세차 각속도 측정
프로그램이 일정시간 동안 관성바퀴의 회전 속도의 변화를 구별하지 못하므로 그 일정 주기보다 긴 시간 동안 중심점이 360도 한바퀴를 돌도록 실험을 진행해야 한다. 관성바퀴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면 이론적으로 중심점의 회전속도가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이 시간 동안 회전 속도의 평균값을 이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실험이 되었을 것이다.
실험 5. 장동운동
장동운동에 대한 해석을 공부해볼 수 있다면 더욱 좋겠다.
참고문헌
대학 물리학 (상) Serway\'s principles of physics Fourth Edition JEWETT & SERWAY SEARS AND ZEMANSKY\'S University Physics Thirteenth Edition Young Freedman
토의및 건의사항
실험 1. 관성 바퀴의 관성 모멘트 측정
버니어캘리퍼스의 측정범위가 좀 더 컸다면 관성바퀴의 반지름을 보다 정확하게 측정했을 것이다. 측정범위가 작아 관성바퀴의 큰 반지름을 정확하게 구하지 못하고 13.1cm로 결정지었다. 결과적으로 측정범위가 작아 아들자와 어미자가 만나는 구간을 구하지 못해 0.05mm단위 까지 정확하게 구하지 못한채 어림하였다.
실험4. 세차운동 세차 각속도 측정
프로그램이 일정시간 동안 관성바퀴의 회전 속도의 변화를 구별하지 못하므로 그 일정 주기보다 긴 시간 동안 중심점이 360도 한바퀴를 돌도록 실험을 진행해야 한다. 관성바퀴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면 이론적으로 중심점의 회전속도가 줄어들게 되기 때문에 이 시간 동안 회전 속도의 평균값을 이용한다면 보다 정확한 실험이 되었을 것이다.
실험 5. 장동운동
장동운동에 대한 해석을 공부해볼 수 있다면 더욱 좋겠다.
참고문헌
대학 물리학 (상) Serway\'s principles of physics Fourth Edition JEWETT & SERWAY SEARS AND ZEMANSKY\'S University Physics Thirteenth Edition Young Freedman
추천자료
[일반물리학실험Ⅰ] 13장. 원운동과 구심력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17장. 전자측정연습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17장. 전자측정연습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0장. 고체의 선팽창계수 측정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0장. 고체의 선팽창계수 측정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1장. 보일의 법칙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1장. 보일의 법칙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3장. 등전위선과 전기장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4장. 직류회로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4장. 직류회로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5장. 교류회로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9장.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예비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29장. 전류가 만드는 자기장 (결과레포트)
[일반물리학실험Ⅱ] 30장. 조화파의 합성 (결과레포트)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