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평가우수자료★★][종교宗敎운동 영향] 13세기 종교운동, 14세기 종교운동, 15세기 종교운동 분석, 종교운동 영향, 종교운동 한계, 종교운동 영향
본 자료는 5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해당 자료는 5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5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평가우수자료★★][종교宗敎운동 영향] 13세기 종교운동, 14세기 종교운동, 15세기 종교운동 분석, 종교운동 영향, 종교운동 한계, 종교운동 영향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서론

2. 13세기의 종교운동
1) 시대적 상황 2) 이단 운동
3) 탁발수도회 운동
■도미니크 수도회
■프란체스코 수도회
4) 영향과 한계

3. 14~15세기의 종교운동
1) 시대적 상황
2) 위클리프-후스의 개혁주장
■위클리프
■후스
3) 공의회 운동
4) 영향과 한계

4. 결론

본문내용

but only declare and confirm that it has been remitted by God……” 부분에서 죄 사함은 오로지 하느님의 이름으로만 가능하다는 것을 강조하면서 하느님과 평신도 사이의 매개체로 교황을 제외 한 체 성경을 중심으로 하고자 하였다.
앞서 보았듯이 위클리프가 루터에게 준 사상적 영향들을 95개조항에서 심심치 않게 찾을 수 있는 반면에 후스가 루터에게 준 영향을 명확하게 잡기란 쉽지 않다. 왜냐하면 후스의 사상이 위클리프와 크게 다르지 않기 때문이다. 하지만 후스가 사상강자 동시에 대중들을 선동하는 행동가였다는 점을 미루어 보았을 때 ‘대중 선동’의 중요성을 루터가 배우지 않았을까라는 짐작을 해 볼 수 있다. 루터는 81-91항까지 면죄부 반대에 대한 평신도들의 지적을 수용하여서 교황이 잘못한 부분들을 꼼꼼히 지적하고 있다. 이는 그가 자신의 새로운 사상을 수용하게 될 대중을 중요하게 생각하여서 의도적으로 그들의 의견을 대변해 주었다고 볼 수 있다. 이런 해석 하에 성직자가 대중과 함께 어울려서 목소리를 내는 후스적인 선동으로부터 루터가 영향을 받았다고 보아도 무리한 해석은 아니다. 이와 더불어서 보헤미아가 신성로마제국 안의 연방 국가였다는 점을 고려했었을 때 후스보다 앞선 위클리프의 사상들이 중부 유럽에서 활발하게 논의되고 결론적으로 루터에게까지 영향을 미칠 수 있도록 일종의 중개자 역할을 후스가 했다고도 할 수 있겠다.
후스와 위클리프가 루터의 종교개혁과 직접적으로 연관되어 있다고 보는 것은 지나친 해석이라는 비판을 가할 수도 있다. 왜냐하면 이는 현재의 위치에서 과거에 일어났던 두 시대를 비교하는 과정에서 그 당시에는 인지하지 못했던 유사성 혹은 영향을 결과적으로 나타나는 결과물들을 놓고 비교함으로써 인위적으로 만들어내게 되기 때문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위클리프와 후스가 종교개혁의 사상적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은 앞에서 밝힌 신학적 유사성을 통해서 분명하게 나타난다. 그렇다면 여기에서 우리는 위클리프로부터 시작해서 루터로 이어지는 거대하고 일관된 줄기 (형식적 연속성)에도 불구하고 왜 종교개혁이 16세기에서야 일어났는지 즉, 14세기의 한계를 알아보기 위해서는 마틴 루터의 종교개혁이 성공할 수 있었던 배경을 살펴보아야 한다. 성공의 배경은 물론 다양하게 분석될 수 있겠지만 가장 큰 이유는 사회의 무르익음(matured society), 즉 사회가 변화를 받아들일 준비와 필요가 있었다는 사실에서 찾을 수 있다. 널리 알려져 있듯이 루터는 오늘날의 독일 지역에 존재하던 많은 영주들의 비호 하에서 교황권에 맞설 수 있었다. 이는 다른 말로 하면 종교적인 동기를 갖지 않은 제3의 세력이 - 이 당시의 맥락에서는 정치적인 목적을 가진 이들 - 교황권이라는 여전히 막강한 세력에 대항할만한 의지와 힘이 있어야 함을 의미한다. 이는 결국 14세기와 15세기 초의 정치적 상황과 16세기의 정치적 상황을 비교해야 한다.
정치적 특징이 뚜렷하게 나타나는 두 나라는 14세기 위클리프의 영국과 16세기 루터의 신성로마제국 (현 독일지역)의 비교에서 알 수 있다. 14세기에서 15세기 초의 영국은 여전히 중세적인 특징이 많았다. 그런 의미에서 혹자는 중세의 끝, 다른 의미로는 새로운 시대의 시작을 15세기 말로 보기도 한다. 박지향, 영국사: 보수와 개혁의 드라마 (까치, 2007), p. 279.
위클리프를 아비뇽 유수 사건 이후 강해지는 반교황 정서 속에서 이해하자면 그는 사회의 요구와 이해를 반영하는 사람이었다. 그는 “성직자가 개인의 구원에 대해서 너무 많은 권한을 가지고 있다”고 생각한 동시에 “많은 사람들이 성경을 직접 읽어야 한다고” 주장하여서 교황으로부터 이단으로 선언되었다. 박지향, 영국사, p. 276~277.
그러나 교회가 “사람들의 종교생활만이 아니라 일상생활에서도 깊이 관여”하고 있는 상황에서 교회의 역할을 대체할만한 힘을 가진 권력이 부재했기 때문에 “왕들은 체제전복적인 운동을 좋아하지는 않았다.” 박지향, 영국사, p. 276.
이는 결국 위클리프의 사상이 교회에 대한 사람들의 회의감을 반영하였지만 이 사상을 교회의 공격으로부터 보호해줄 보호자가 없었기 때문에 개혁으로까지 이어질 수 없었다고 보아야 한다. 보호자의 중요성은 잉글랜드에서 일어나는 종교개혁이 헨리8세의 비호와 국민주의 형성의 시기와 맞물려서 결국 성공한다는 사실을 통해서 다시 한번 확인 할 수 있다.
16세기의 신성로마제국은 14세기부터 일어나는 교황권의 타락과 교회의 분열로 인해 교황청과 성직자들에 대한 비난의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었다. 후스의 등장은 이런 의미에서 놀라운 것이 아니라 어쩌면 당연한 것일 수도 있으나 결과적으로는 “그들의 행위가 매우 잔인해서 교회 개혁을 요구하는 그들의 주장은 불쌍한 피해자들에게는 무의미한 것” 마틴 키친 지음, 유정희 옮김, 사진과 그림으로 보는 케임브리지 독일사 (시공사, 2001), p. 88.
이 되고 말았다.교황권과 교회가 쇠퇴하는 와중에 새로운 권력으로 떠오른 이들은 신성로마제국의 황제가 아닌 일부 영방과 대도시들이었다. 루터의 교회와 교황에 대한 공격은 카를 5세의 이단 색출 정책에 많은 피해를 입었지만 황제의 힘이 절대적이지 않았고 이에 맞먹을 수 있는 여러 세력들이 존재하였고 이들이 루터를 보호해주었다. 이는 1521년 1월 3일 파문 당한 루터를 작센의 선제후가 그의 성에서 보호해 주었다는 사실과 600여명의 제국 기사들이 ‘형제단’을 구성하여 종교 개혁을 적극적으로 지원하였다는 점을 통해서 알 수 있다. 키친, 독일사, pp. 105~106.
결론적으로 위클리프와 후스 그리고 루터의 신학적 유사성은 매우 많다. 이는 셋 모두가 반교권주의를 공유하였다는 점은 셋 모두 그 당시 현 종교를 개혁하고자 하는 개혁자였다는 점을 통해서 나타난다. 그러나 ‘불행하게도’ 사상만으로 그 당시의 종교를 개혁하기에 종교는 삶의 너무 많은 부분에 깊게 연관되어 있었다. 그래서 결론적으로 사회에서 특히 정치적 개혁을 열망했었던 16세기 독일에서 개혁을 주창하였던 루터만이 자신의 개혁을 성공적으로 이끌 수 있었다.
  • 가격2,000
  • 페이지수15페이지
  • 등록일2015.05.22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9196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