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학설계 입문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공학설계 입문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본문내용

을 한 후 , 분석되어 나온 결과를 평가를 한다. 그리고 1등대안 2등대안,등.. 나오게 된다. 대안을 분석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나올수도있다. 그러면 대안이 잘못되었기 때문에 다시 대안생성으로 돌아간다.
형상설계는 구체적으로 나오지 않는다.
매개변수설계: 정확한 수치개념의 크기
상세 설계: 이 앞에 있는 것을 다 정리하여 정확하게 최종적으로 완성된형태의 설계안을 상세 설계라고 한다.
이까지를 예비 설계라고 한다.
“매개 변수 설계 단계”
여기서 다시 한번 정리하면 형태가 설계문제 해답이다!!!
산업디자인:만들지 못만들지 상관없이 멋지게 만들면 된다.
공학설계: 산업디자인이 만든것중에 멋지기는 하지만 말도 않될수있어서 공학설계로 간다.
판단은 된다 안된다 공학설계자들이 결정한다. 그리고 공학 설계안을 만든후 사장에게 보고한다. 사장이 허락하면 생산에 들어간다.
도입단계에 제품을 사는사람은 있다. 하지만 아직 제품 개발중이다. 이제 구입한 고객들이 불편사항을 이야기하면 더 투자해서 보완한다. 보완하면서 팔기 시작한다. 완전히 수정이 끝나면 성장단계에 들어가서 개발은 끝나고 수입만 늘어나기 시작한다. 그러고 난 후 하강곡선을 나타나게 되면 다시 제품을 개발 한다. 이것들이 계속 되풀이된다. 이러한 것을 제품의 경제 수명 주기라고 한다.
조직 구성원간에 벽이 쳐져 있다. 이것은 자기 부서의 일만 생각하고 협력이나 유기적인 연계를 생각 할수 없다. 그래서 동시 공학적 설계팀을 만들게 된다. 대부분의 대기업기업은 이제 팀을 만들게 된다.
반듯이 같은 장소에 배치되고 교차 지원적이다. 옆에 다른 일도 알고 같이 그 일에 동참하여 협력하는 것이다.
2장
1.여러 유형의 설계 문제 특성은 무슨 의미냐면 신제품 개발이 설계가 될 수 있다 . 그리고 기존 제품에 결함이나 불량을 줄이는 설계문제도 될 수 있다. 따라서 상황에 따라서 여러 가지 문제가 대두 될 수 있다. 그러면 어떤 형태의 설계문제인지 구별해서 설명할수 있어야 한다.
2.제품과 공정 ,플랜트의 구성요소도 설명 할 수 있어야 한다.
3. 제품의 구성요소를 분할 및 도해 할수도 있다. 어떤 것으로 되어있는 정도가 아닌 도표로 ,그림으로 표시 할수 있어야한다. 사람 해부하듯이 제품을 구성요소대로 해부할수 있어야 한다. 공정도 마찬가지 이다.
4. 설계유형의 특성은 여러 가지 유형이 있는데 그 특성을 설명 할수 있어야 한다.
5. 설계 문제해결 전략을 선택 및 적용할수 있어야 된다.
부품:parts
조립품:assemblies
표준:standard(부품인데 표준화 되어있다. 표준화는 이미 시중에 똑같은 것들이 나와있다.
그러니깐 표준부품은 이중에서 전구는 표준부품이라고 판단되면 이것은 만들 필요가없다. 그러면 어디서 어떤 값으로 팔리고 있는지 값싸고 품질좋은 것을 사오면 된다. 그러니깐 더 이상 설계를 진행할 필요가없다. 표준부품인 경우에)
특정목적:special purpose(시중에 없기 때문에 직접 만들던지 더 잘하는 회사에 설계를 맡기던지 해야된다. 그다음 설계에 들어가야 된다.)
여기서 표준부품인지 특정 부품인지 따져야 된다. 에너지나 경제적으로 경제적으로 절약할수 있다.
제품-컴포넌트 분해를 하는 이유는?
컴포넌트들 간의 상호 작용을 이해하기 위해.
표준부품,특정부품에 대한 고려를 위해
설계 문제를 개별 하부 문제들로 분리하기 위해(문제 정의를 하기위해서 꼭 필요한 작업이다.)
기존 제품, 공정 플랜트들의 장단점을 배우기 위해
1.재설계나 선택 설계 같은 경우에는 새로운 설계를 하는 것이 아니라 기존에 있는 것 중에서 선택만 하는 것이다.
2.변형설계: 경우에도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원리나 개념은 두고 부품만 바꿔보는 것이다. 이것을 변형 설계라고 한다.
2.적응 설계: 이미 설계가 나온 것 에서 신규 과업을 성취하는데 다른 곳에 사용하는 것
3.창안설계: 이전에 없는 것을 개로 개발
4.예술적 설계: 개체의 외양을 다루는 설계(주로 예술가들이 하는 것이다.)-그래서 공학적 설계에 들어가지 않는다. 왜냐하면 공학적설계는 물리나,화학적인 지식을 가지고 만들어 내는것인데 예술적 설계는 상관없다. 멋지고 사람에게 감동만 준다면 된다. 그래서 설계이지만 공학적 설계에는 들어가지 않는다.
ex)ef소나타 나온후 nf소나타가 나왓다 지금 yf소나타가 나왔다. 이름은 똑같다. 그럼 이중에서 어떤 설계인가?
쉽게 생각해서는 변형설계라 생각하기 쉽다. 하지만 ef소나타와 yf소나타가 모양이 달라졌다.
엔진도 달라졌다. 전부 달라졌다. 그래서 변형설계라고 할수 없다.
변형설계는 새로운 yf소나타가 있는데 작년에 나온것과 올해 나온 것이 조금 달라졌다. 내장과 램프만 살짝 달라졌다 그러면 변형설계이다. 년식이 바뀌는 설계는 변형설계이다.
하지만 이 경우 완전히 다 바뀐 것이다. 이러한 경우는 새로운 모델로 만들었기 때문에 창안설계이다.
선택 설계를 잘만하면 경비를 엄청 줄일수 있다.
짜맞추기(Tinkering)
결과나 성능에 대해서 예측을 하지 않고 하는 것을 짜맞추기라한다. 이 또한 공학설계라고 할 수 없다.
진정한 공학자는 짜맞추기 하지 않는다.
만들기 전에 반듯이 그제품이 어떤 성능을 나타낼것인지 예측을 한다. 그래야 진정한 공학자이다. 시간과 재료와 돈을 낭비하지않는다.
11번
설계절차의 4가지
문제 형성 ,대안생성, 대안 분석, 대안 평가 이것은 다섯가지 설계단계별로 각각 시행해서 각각 최선의 설계안을 만들어 내야 된다.
분석과 설계의 차이
분석은 성능을 계산에 의해서 예측하면 끝이다. 하지만 설계는 어떤 결과가 가장 좋을 것이라고 예측을 하고 평가를 해서 그걸 찾아낸다. 하지만 최선만있는 것이 아니라 차선도 있고 여러 가지 방법이있다. 이것이 차이점이다.
형태에 관한 5가지 카테고리는 무엇이 있는가?
shape(형상),configuration(배치),size(크기),materials(제조),manufacturing(제조공정)
특히 재료 공학도들은 재료와 공정에 대해서 강점을 보여야 한다.
tinkering은 왜 엔지니어가 아닌가?
tinkering은 예측하지 않고 한다.

키워드

  • 가격8,400
  • 페이지수14페이지
  • 등록일2015.05.22
  • 저작시기2014.10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69285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