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
14
-
15
-
16
-
17
-
18
-
19
-
20
-
21
-
22
-
23
-
24
-
25
-
26
-
27
-
28
-
29
-
30
-
31
-
32
-
33
-
34
-
35
-
36
-
37


목차
제1절 교수설계의 개념
제2절 교수설계이론의 특징
제3절 대표적 교수설계이론
제2절 교수설계이론의 특징
제3절 대표적 교수설계이론
본문내용
1. 교수설계의 역사
1) 교수설계의 태동
- Dewey : 학습이론과 교육실제와의 연계과학의 필요성 주장
- Thorndike : 학습법칙에 기초한 교수의 과학화 실천을 시도
2) 1930년대
- Tyler와 Mager의 교육목표와 형성평가로부터 비롯됨
Gagné - Briggs의 포괄적 교수설계이론
1) 학습의 범주 : 인간의 학습된 능력, 즉 학습결과가 다섯 유형으로 분류된다는 데 근거를 두고 상정됨
- 언어정보(verbal information)
- 태도(attitudes)
- 지적기능(intellectual skills)
- 운동기능(motor skills)
- 인지전략(cognitive strategies) 각각의 ‘학습결과’ 교수목표 ....
1) 교수설계의 태동
- Dewey : 학습이론과 교육실제와의 연계과학의 필요성 주장
- Thorndike : 학습법칙에 기초한 교수의 과학화 실천을 시도
2) 1930년대
- Tyler와 Mager의 교육목표와 형성평가로부터 비롯됨
Gagné - Briggs의 포괄적 교수설계이론
1) 학습의 범주 : 인간의 학습된 능력, 즉 학습결과가 다섯 유형으로 분류된다는 데 근거를 두고 상정됨
- 언어정보(verbal information)
- 태도(attitudes)
- 지적기능(intellectual skills)
- 운동기능(motor skills)
- 인지전략(cognitive strategies) 각각의 ‘학습결과’ 교수목표 ....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