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회복실 운반시 간호
2)회복실 간호
(1)준비단계
(2)환자의 기도 확인 및 체위 간호
(3)수술과정 확인
(4)환자 관찰 및 지시 사항
(5)회복실의 간호 및 지시 사항
(6)회복실 퇴실
2)회복실 간호
(1)준비단계
(2)환자의 기도 확인 및 체위 간호
(3)수술과정 확인
(4)환자 관찰 및 지시 사항
(5)회복실의 간호 및 지시 사항
(6)회복실 퇴실
본문내용
금식 시킨 다음 허락되면 얼음 조각을 물려준다.
-활력 징후는 안정될 때까지 매 15분마다 그후 2시간 동안에는 30분마다 측정한다.
-필요에 따라 구강인두 흡인을 시킨다.
-활력징후가 안정된 후 오심구토가 있으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통증이 있으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측정, 기록한다.
-환자의 체위변경, 기침, 심호흡을 도와 주며, 1시간마다 하지운동을 시킨다.
-혈액 및 전해질 검사를 한다.
-10시간 동안 배뇨하지 않았으면, 인공도뇨를 시행한다.
-필요하면 환자의 상태가 적힌 기록부를 준비하여 침상곁에 비치한다.
(6)회복실 퇴실
<평가기준>
-전시 마취에서 회복되어야 하는데, 대개 회복실에서 약 2시간 정도 경과하면 된다
-활력 징후가 안정된다.
-수술 부위나 체강으로부터 과다한 배액이 없다.
-마취제 효력이 없고, 생리적으로 안정된다.
-의식 정도가 만족할 만큼 한 수준으로 되돌아와야 한다.
-요배설량이 적당해야 한다.(1시간 동안 30ml이상)
-환자가 입원할 병동의 간호사는 환자를 받을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환자의 차트에 회복실에서의 경과 기록지가 부착되었는지 확인한다.
-활력 징후는 안정될 때까지 매 15분마다 그후 2시간 동안에는 30분마다 측정한다.
-필요에 따라 구강인두 흡인을 시킨다.
-활력징후가 안정된 후 오심구토가 있으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통증이 있으면 의사의 처방에 따라 약물을 투여한다.
-섭취량과 배설량을 정확히 측정, 기록한다.
-환자의 체위변경, 기침, 심호흡을 도와 주며, 1시간마다 하지운동을 시킨다.
-혈액 및 전해질 검사를 한다.
-10시간 동안 배뇨하지 않았으면, 인공도뇨를 시행한다.
-필요하면 환자의 상태가 적힌 기록부를 준비하여 침상곁에 비치한다.
(6)회복실 퇴실
<평가기준>
-전시 마취에서 회복되어야 하는데, 대개 회복실에서 약 2시간 정도 경과하면 된다
-활력 징후가 안정된다.
-수술 부위나 체강으로부터 과다한 배액이 없다.
-마취제 효력이 없고, 생리적으로 안정된다.
-의식 정도가 만족할 만큼 한 수준으로 되돌아와야 한다.
-요배설량이 적당해야 한다.(1시간 동안 30ml이상)
-환자가 입원할 병동의 간호사는 환자를 받을 준비를 갖추어야 한다.
환자의 차트에 회복실에서의 경과 기록지가 부착되었는지 확인한다.
추천자료
수술의 목적과 분류 인체반응과 환경 및 구비조건 마취
수술실케이스(만성부비동염)
수술실 프리레포트 및 의학용어 정리
Nursing process: The patient undergoing thoracic surgery
소아과 실습
대장암 환자 실습 사례 분석
수술실사전레포트
Appenditis 외과 케이스
total thyroidectomy-case study.
수술실 실습 보고서
수술실과 관련된 case
수술실 실습 복강경 담낭 절제술 Laparoscopic Cholecystectomy(LC)
제왕절개 분만 케이스 - Cesarean Birth
Gallbladder stone Laparoscopic cholecystectomy 담석증 복강경 담낭 절제술 (GB stone gall...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