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유뇨증 이해하기
1) 진단하기
2) 분류하기
3) 특성 알기
4) 원인 알기
(1) 신체적 • 기질적 요인
(2) 가족 • 심리적 요인
2. 유뇨증 도와주기
1) 배변훈련
2) 치료
(1) 약물치료
(2) 행동치료
(3) 가족치료
참고문헌
1) 진단하기
2) 분류하기
3) 특성 알기
4) 원인 알기
(1) 신체적 • 기질적 요인
(2) 가족 • 심리적 요인
2. 유뇨증 도와주기
1) 배변훈련
2) 치료
(1) 약물치료
(2) 행동치료
(3) 가족치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수 있다. 무사히 정해진 시간에 소변을 본 경우,별이나 스티커로 표시를 하여 일정 수준의 별 또는 스티커가 모이면 보상을 제공한다.
Azrin 등(Azrin,Sneed, & Fox, 1974, 재인용)이 개발한 야뇨증 행동치료 단계를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강문희,1987).
■ 집중훈련
가. 잠자리에 들기 1시간 전
아동에게 훈련과정을 설명해 줌
다음과 같은 훈련을 적극적으로 실시함(20회 실시)
- 침대에 누움- 50까지 셈
- 일어나서 화장실로 소변을 보러 감- 침대로 돌아옴
- 이상 4단계를 20회까지 반복 실시함
20회 훈련이 끝나면 of동은 잠자리에 들기 전,미리 화장실에 가서 소변을 보는 습관이 형성됨
나. 잠자는 시간
아동이 좋아하는 음료수를 잠자기 전 마시게 함
자리에 듦
시간마다 아동을 깨움
화장실까지 이동이 걸어가게 함
화장실에서 소변을 보면 아동을 칭찬함
침대로 돌아와 아동의 요를 만져보고 젖지 않았음을 말해 줌
■ 집중훈련 후, 2차 훈련(소변경보기 활용)
집중훈련이 끝난 후,잠자는 시간에 동을 깨워 소변을 보는 대신 소변경보기를 활용해 경보가 울릴 때마다 아동이 화장실에 가서 소변을 보게 함
아동이 화장실에 가서 소변을 제대로 보면 칭찬을 해 주고,경보기를 듣지 못하고 실수를 할 경우 약한 꾸중과 더불어 야뇨에 대한 뒤처리를 아동이 하도록 함
■ 정상생활
2차 훈련이 익숙해져서 밤에 실수를 하는 빈도가 현저하게 줄어들 경우 소변경보기를 침대에서 제거한 후,매일 아침 아동이 침대가 젖었는지 확인 함
침대에 실수를 한 경우 아동이 약한 꾸중과 더불어 야뇨에 대한 뒤처리를 아동이 하도록 하며,실수를 하지 않은 경우 칭찬해 줌
낮에만 소변을 보는 주뇨증의 경우 방광운동 조절이 1차적인 치료목표이다. 치료과정은 이동이 소변을 보고 싶을 때 화장실로 들어간 후, 가능한 오랫동안 소변을 참아보게 한다. 아동이 소변을 볼 때 아동에게 멈추었다가 다시 싸는 행동을 반복하게 함으로써 방광조절능력이 생성된다. 이러한 행동을 제대로 수행했을 경우,별이나 스티커를 제공하며 일정 수준의 별 또는 스티커가 모이면 보상을 제공한다(유제민 김정휘 김청송,2010).
(3) 가족치료
유뇨증에 걸린 아동을 치료하면서 부모교육 및 가족치료를 통해 유뇨에 대한 부모의 태도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즉,부모가 유뇨증에 걸린 아동의 소변조절 문제에 대해 비판하는 것을 멈추고 자녀의 유뇨증 치료에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자녀의 유뇨증에 감추어진 잠재적인 욕구에 대해서 이야기해 주며 자녀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활동(예: 영화 보기,놀이) 과제를 제공할 수 있다(Jongsma, Peterson, Mclnnis, & Berghuis, 2010).
참고문헌
최송식, 최말옥 외 저, 정신건강론, 학지사 2014
이규태 저, 정신건강을 위한 심리 치료, 하나의학사 2015
이경희, 김은자 외 저, 정신건강 간호학, 퍼시픽북스 2015
임혁 저, 정신건강의 이해, 공동체 2015
Azrin 등(Azrin,Sneed, & Fox, 1974, 재인용)이 개발한 야뇨증 행동치료 단계를 구체적으로 소개하면 다음과 같다(강문희,1987).
■ 집중훈련
가. 잠자리에 들기 1시간 전
아동에게 훈련과정을 설명해 줌
다음과 같은 훈련을 적극적으로 실시함(20회 실시)
- 침대에 누움- 50까지 셈
- 일어나서 화장실로 소변을 보러 감- 침대로 돌아옴
- 이상 4단계를 20회까지 반복 실시함
20회 훈련이 끝나면 of동은 잠자리에 들기 전,미리 화장실에 가서 소변을 보는 습관이 형성됨
나. 잠자는 시간
아동이 좋아하는 음료수를 잠자기 전 마시게 함
자리에 듦
시간마다 아동을 깨움
화장실까지 이동이 걸어가게 함
화장실에서 소변을 보면 아동을 칭찬함
침대로 돌아와 아동의 요를 만져보고 젖지 않았음을 말해 줌
■ 집중훈련 후, 2차 훈련(소변경보기 활용)
집중훈련이 끝난 후,잠자는 시간에 동을 깨워 소변을 보는 대신 소변경보기를 활용해 경보가 울릴 때마다 아동이 화장실에 가서 소변을 보게 함
아동이 화장실에 가서 소변을 제대로 보면 칭찬을 해 주고,경보기를 듣지 못하고 실수를 할 경우 약한 꾸중과 더불어 야뇨에 대한 뒤처리를 아동이 하도록 함
■ 정상생활
2차 훈련이 익숙해져서 밤에 실수를 하는 빈도가 현저하게 줄어들 경우 소변경보기를 침대에서 제거한 후,매일 아침 아동이 침대가 젖었는지 확인 함
침대에 실수를 한 경우 아동이 약한 꾸중과 더불어 야뇨에 대한 뒤처리를 아동이 하도록 하며,실수를 하지 않은 경우 칭찬해 줌
낮에만 소변을 보는 주뇨증의 경우 방광운동 조절이 1차적인 치료목표이다. 치료과정은 이동이 소변을 보고 싶을 때 화장실로 들어간 후, 가능한 오랫동안 소변을 참아보게 한다. 아동이 소변을 볼 때 아동에게 멈추었다가 다시 싸는 행동을 반복하게 함으로써 방광조절능력이 생성된다. 이러한 행동을 제대로 수행했을 경우,별이나 스티커를 제공하며 일정 수준의 별 또는 스티커가 모이면 보상을 제공한다(유제민 김정휘 김청송,2010).
(3) 가족치료
유뇨증에 걸린 아동을 치료하면서 부모교육 및 가족치료를 통해 유뇨에 대한 부모의 태도를 수정할 필요가 있다. 즉,부모가 유뇨증에 걸린 아동의 소변조절 문제에 대해 비판하는 것을 멈추고 자녀의 유뇨증 치료에 적극적으로 지원할 수 있도록 지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자녀의 유뇨증에 감추어진 잠재적인 욕구에 대해서 이야기해 주며 자녀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수 있는 활동(예: 영화 보기,놀이) 과제를 제공할 수 있다(Jongsma, Peterson, Mclnnis, & Berghuis, 2010).
참고문헌
최송식, 최말옥 외 저, 정신건강론, 학지사 2014
이규태 저, 정신건강을 위한 심리 치료, 하나의학사 2015
이경희, 김은자 외 저, 정신건강 간호학, 퍼시픽북스 2015
임혁 저, 정신건강의 이해, 공동체 2015
키워드
추천자료
에이원-정신건강론-노년기 발달과 정신건강
정신건강론-정신적으로 건강한 아동청소년과 건강하지 못한 아동청소년의 특징을 비교해서 서술
정신건강론,정신분석이론-고전적 정신분석치료, 정신분석의 치료과정, 대상관계적 접근의 정...
[정신건강론] 지역사회정신건강의 목적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하시고 정신장애로 인해 부...
[정신건강론] 정신분열병에 관한 이해 - 정신분열병, 분열정동장애, 다닉 정신병적 장애, 정...
[정신건강론] 정신보건정책 및 전달체계 - 정신보건정책, 지역사회정신보건사업, 생명사랑 및...
[정신건강론] 학자들이 주장하는 정신건강의 개념과 중요성을 설명하시오 [정신건강]
[정신건강론] 인간의 발달단계와 정신건강 문제 관련성 - 정신건강
[정신건강론] 현대사회의 정신건강문제 중 한가지를 선택하여 문제의 현황원인을 제시한 후 ...
정신건강론 - 청소년기의 정신건강 문제인 약물남용에 대해 서술하시오
[정신건강론] 성인기에 나타나는 정신건강 측면에서의 특징을 조사하여 보고, 은퇴 후의 행...
[정신건강론] 현대사회의 정신건강관련 문제에 대해 논하고 이에 대한 개입 및 예방방안에 대...
[정신건강론] 사회복지와 정신건강과의 관계에서 정신사회복지에 대하여 서술하시고 정신보건...
정신건강론(현대인과 정신건강)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