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들어가기
2. 고전적 정신분석치료
1) Freud의 정신분석의 발달
2) 정신분석치료
3) 정신분석의 두 가지 가정
① 심적 결정론
② 무의식적 정신과정의 존재
3. 정신분석의 기본개념
① 성격의 구조
② 정신역동성
③ 건강한 성격과 신경증의 발달
4. 정신분석의 치료목표
5. 정신분석의 치료과정과 치료적 기제
① 자유연상
② 꿈분석
③ 분석적 틀의 유지
④ 전이의 분석과 해결
⑤ 저항의 분석과 극복
6. 신 정신분석학파의 정신역동적 접근
①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과 심리치료
② Adler의 개인심리학과 심리치료
③ Sullivan의 대인관계적 조망과 심리치료
7. 대상관계적 접근의 정신역동치료
참고문헌
2. 고전적 정신분석치료
1) Freud의 정신분석의 발달
2) 정신분석치료
3) 정신분석의 두 가지 가정
① 심적 결정론
② 무의식적 정신과정의 존재
3. 정신분석의 기본개념
① 성격의 구조
② 정신역동성
③ 건강한 성격과 신경증의 발달
4. 정신분석의 치료목표
5. 정신분석의 치료과정과 치료적 기제
① 자유연상
② 꿈분석
③ 분석적 틀의 유지
④ 전이의 분석과 해결
⑤ 저항의 분석과 극복
6. 신 정신분석학파의 정신역동적 접근
① Erikson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과 심리치료
② Adler의 개인심리학과 심리치료
③ Sullivan의 대인관계적 조망과 심리치료
7. 대상관계적 접근의 정신역동치료
참고문헌
본문내용
의사소통을 통하여 자기를 타인과 분리하여 발달시킴.
청년기
생식적 흥미들의 발달과 이성애의 성숙,
Sullivan은 환경을 우리의 행동, 열망, 정서 등을 형성하는 역동적 사회문화적 힘으로 보았다. Sullivan식 치료에서는 치료자를 참여/관찰자 겸 대인관계 전문가로 본다. 치료자는 내담자와 대인관계를 친밀하면서도 전문적으로 해야 하는 이중 역할을 해야 하므로, 치료과정에서 내담자와 다른 친밀한 관계와는 다른 독특한 인간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Sullivan의 치료에서 치료의 성패는 치료자가 얼마나 내담자를 성숙시킬 수 있는 대인관계를 맺는가에 달려있다고 본다.
7. 대상관계적 접근의 정신역동치료
대상 아동이나 성인이 애착을 가지는 중요인물을 말하는 ‘중요타인’
관계란 심리 내적으로 표상되어지는 대인관계를 의미한다. 대상관계적 접근의 치료는 자아기능의 강조 및 아동기의 대인관계 경험의 질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대상관계이론은 자기에 관한 초기 경험이 타인에 관한 확장된 인식과 관계를 맺는다는 가정을 강조한다. 한번 자기/타인의 양식이 생기면 이것은 후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대상관계이론에 대한 Fairbairn의 특징은 ①자아는 출생에서부터 존재한다. ②리비도 또한 자아의 기능이다. ③자아, 곧 리비도는 근본적으로 대상 추구적이다. ④공격성은 박탈 및 좌절의 결과이다. ⑤아동에 의해 경험되는 불안의 가장 최초의 형태는 분리불안이다. Fairbairn은 양육의 질이 내부 대상의 특성과 분리의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고 하였다. 유아가 원하는 것을 엄마가 충분히 그리고 적절하게 반응하여 줄 때 상대적으로 억압되는 자아의 영역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대상관계이론의 핵심인물인 Mahler는 생후 3~4년 동안의 자녀와 엄마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분리개별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는데 심리적 발달이 정상적 유아 자폐기 단계, 정상적 공생기 단계, 분리 개별화 단계, 자기항성성 및 대상항상성 단계를 거친다고 하였다.
자기발달의 첫 단계인 정상적 유아 자폐기는 생후 3~4주까지로 유아는 심리적 과정보다 생리학적 긴장에 더 많은 반응을 한다. 이때의 유아는 전혀 분화되지 않은 상태로 돌보는 이를 자각하지 못하고 엄마와 자기를 구별하지 못한다. 두 번째 단계인 공생기는 생후 3개월이 지나야 인식할 수 있으며, 대개 생후 8개월까지 계속된다. 어머니에게 의존하고, 경계가 없으며, 경험되지 않은 자기와의 이중적 단일체로서 어머니에게 집중한다. 유아는 어머니와 고도의 정서적 유대를 가져야 한다. 공생기에 위험은 공생적 대상의 상실로 인하여 자기파괴의 위험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인 분리 개별화 단계는 정상적인 자폐와 정상적인 공생을 정상적으로 지난 다음에 시작고니다. 자기와 대상이 분리되어 있다는 인식이 증대, 자각은 자기감각, 진정한 대상관계, 그리고 외부세계의 현실에 대한 자각의 기원들과 일치한다. 이 시기 동안 아동은 중요 타인으로부터 분리를 경험하지만 확신감과 안락감을 위해서 타인에게 되돌아 온다. 아동은 독립과 의존을 왔다 갔다 하면서 양가적인 감정을 보인다. 네 번째 단계는 자기항상성과 대상항상성이다. 생후 36개월이 지나서 도달된다. 타인과 자기를 완전히 분리된 존재로 본다. 이 시기에 신경증의 근원인 경쟁의 환상에 빠질 수 있다.
참고문헌
최영민 저,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쉽게 쓴 정신분석이론, 학지사 2010
양명숙, 김동일 외 3명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Robert J. Ursano M.D 저, 손진욱 역, 정신역동적 정신치료, 하나의학사 2001
권오균, 김지현 외 1명 저, 정신건강론, 공동체 2011
청년기
생식적 흥미들의 발달과 이성애의 성숙,
Sullivan은 환경을 우리의 행동, 열망, 정서 등을 형성하는 역동적 사회문화적 힘으로 보았다. Sullivan식 치료에서는 치료자를 참여/관찰자 겸 대인관계 전문가로 본다. 치료자는 내담자와 대인관계를 친밀하면서도 전문적으로 해야 하는 이중 역할을 해야 하므로, 치료과정에서 내담자와 다른 친밀한 관계와는 다른 독특한 인간관계를 갖게 되는 것이다. Sullivan의 치료에서 치료의 성패는 치료자가 얼마나 내담자를 성숙시킬 수 있는 대인관계를 맺는가에 달려있다고 본다.
7. 대상관계적 접근의 정신역동치료
대상 아동이나 성인이 애착을 가지는 중요인물을 말하는 ‘중요타인’
관계란 심리 내적으로 표상되어지는 대인관계를 의미한다. 대상관계적 접근의 치료는 자아기능의 강조 및 아동기의 대인관계 경험의 질의 중요성을 강조한다. 대상관계이론은 자기에 관한 초기 경험이 타인에 관한 확장된 인식과 관계를 맺는다는 가정을 강조한다. 한번 자기/타인의 양식이 생기면 이것은 후의 대인관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대상관계이론에 대한 Fairbairn의 특징은 ①자아는 출생에서부터 존재한다. ②리비도 또한 자아의 기능이다. ③자아, 곧 리비도는 근본적으로 대상 추구적이다. ④공격성은 박탈 및 좌절의 결과이다. ⑤아동에 의해 경험되는 불안의 가장 최초의 형태는 분리불안이다. Fairbairn은 양육의 질이 내부 대상의 특성과 분리의 정도를 결정하게 된다고 하였다. 유아가 원하는 것을 엄마가 충분히 그리고 적절하게 반응하여 줄 때 상대적으로 억압되는 자아의 영역이 줄어든다는 것이다. 대상관계이론의 핵심인물인 Mahler는 생후 3~4년 동안의 자녀와 엄마의 관계에서 일어나는 분리개별화 과정에 초점을 맞추어 연구하였는데 심리적 발달이 정상적 유아 자폐기 단계, 정상적 공생기 단계, 분리 개별화 단계, 자기항성성 및 대상항상성 단계를 거친다고 하였다.
자기발달의 첫 단계인 정상적 유아 자폐기는 생후 3~4주까지로 유아는 심리적 과정보다 생리학적 긴장에 더 많은 반응을 한다. 이때의 유아는 전혀 분화되지 않은 상태로 돌보는 이를 자각하지 못하고 엄마와 자기를 구별하지 못한다. 두 번째 단계인 공생기는 생후 3개월이 지나야 인식할 수 있으며, 대개 생후 8개월까지 계속된다. 어머니에게 의존하고, 경계가 없으며, 경험되지 않은 자기와의 이중적 단일체로서 어머니에게 집중한다. 유아는 어머니와 고도의 정서적 유대를 가져야 한다. 공생기에 위험은 공생적 대상의 상실로 인하여 자기파괴의 위험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이다. 세 번째 단계인 분리 개별화 단계는 정상적인 자폐와 정상적인 공생을 정상적으로 지난 다음에 시작고니다. 자기와 대상이 분리되어 있다는 인식이 증대, 자각은 자기감각, 진정한 대상관계, 그리고 외부세계의 현실에 대한 자각의 기원들과 일치한다. 이 시기 동안 아동은 중요 타인으로부터 분리를 경험하지만 확신감과 안락감을 위해서 타인에게 되돌아 온다. 아동은 독립과 의존을 왔다 갔다 하면서 양가적인 감정을 보인다. 네 번째 단계는 자기항상성과 대상항상성이다. 생후 36개월이 지나서 도달된다. 타인과 자기를 완전히 분리된 존재로 본다. 이 시기에 신경증의 근원인 경쟁의 환상에 빠질 수 있다.
참고문헌
최영민 저, 대상관계이론을 중심으로 쉽게 쓴 정신분석이론, 학지사 2010
양명숙, 김동일 외 3명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Robert J. Ursano M.D 저, 손진욱 역, 정신역동적 정신치료, 하나의학사 2001
권오균, 김지현 외 1명 저, 정신건강론, 공동체 2011
키워드
추천자료
심리치료: 정신역동적 조망
애착이론과 심리치료를 읽고
애착이론과 심리치료
교육심리학의 개념과 발달의 의미 및 발달이론-피아제의 인지발달이론, 프로이드의 성격발달...
에릭슨의 심리사회이론 - 심리사회적 발달, 자아심리학
발달놀이치료와 놀이치료를 비교 분석
[심리치료와 상담] 정신병리 이론(精神病理理論) - 신경증(우울증,히스테리,신경쇠약증) &...
[심리치료와 상담] 정신분석 치료 이론과 실제 - 치료의 목표와 원리, 치료기법(정신장애,자...
[심리치료와 상담] 실존적 심리치료 이론 - 실존적 심리치료 이론의 치료목표와 원리 및 치료...
[심리치료와 상담] Bowen(보웬)의 다세대 가족치료(multi-generational family therapy) - 가...
[심리치료와 상담] 게슈탈트(Gestalt) 치료의 정신병리 이론 - 정신병리의 일반적 원인, 다양...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게슈탈트치료의 인간 본성에 대한 관점과 주요 이론적 개념 및 치료적...
[상담相談과 심리치료] 현실치료의 주요 이론적 개념 - 인간본성에 관한 관점 및 현실치료의 ...
[성격발달이론] 프로이드의 심리성적 발달이론, 에릭슨의 심리사회적 발달이론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