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목차
1. 인간 본성에 대한 관점
2. 게슈탈트치료의 주요 이론적 원리
1) 전체성
2) 장(field)이론
3) 형태 형성 과정
4) 유기체적 자기조절능력
5) 지금
6) 미해결 과제
7) 접촉과 접촉에 대한 저항
8) 에너지와 에너지 차단
3. 치료적 과정과 관계
참고문헌
1. 인간 본성에 대한 관점
2. 게슈탈트치료의 주요 이론적 원리
1) 전체성
2) 장(field)이론
3) 형태 형성 과정
4) 유기체적 자기조절능력
5) 지금
6) 미해결 과제
7) 접촉과 접촉에 대한 저항
8) 에너지와 에너지 차단
3. 치료적 과정과 관계
참고문헌
본문내용
것, 타인들이 내담자를 위해서 책임지게 만드는 것보다는 그들의 경험을 소유하는 것, 그들의 욕구를 의식하도록 배우며 다른 사람의 권리를 방해하지 않고 그러한 욕구를 충족시키는 기술을 갖는 것, 내담자들이 모든 면에서 그들 자신을 잘 경험할 수 있도록 보고, 듣고, 냄새 맡고, 손으로 만져 보고, 맛보는 것 같은 그들의 모든 감각기관과 더 잘 접촉하도록 하는 것, 다른 사람을 비난하거나 불평하고, 다른 사람들이 죄책감을 느끼도록 하는 것보다 스스로를 지지할 수 있도록 하는 것, 그들의 환경에 예민하게 반응하면서도 그들에게 위험해 보이는 것에서 적절한 보호를 받는 것, 그들의 행위와 결과에 대해서 책임감을 발전시키는 것 등이다.
샤프(Sharf, 2008)는 게슈탈트치료가 불안장애자들이나 우울증 환자들 그리고 완벽주의자들처럼 억제되거나 지나치게 사회화되거나, 수축된 내담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게슈탈트치료를 실시하는 내담자에게 발생하는 치료적 변화와 성장의 과정을 폴스터는 3단계의 통합 치유과정으로 설명했다. 첫째 단계는 발견(discovery)으로, 내담자가 자신에 대한 새로운 발견하는 것이나 옛 상황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단계는 수용(accommodation)으로, 내담자들이 선택권을 가지고 있기에 이 단계에서 중요한 치료적 지원을 가지고 새로운 다른 행동을 실험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을 포함한다. 마지막세 번째 단계는 동화(assimilation)로서, 내담자들이 표현에 있어서 더 적극적이 되는 것과 그들이 타자나 환경으로부터 원하는 것을 획득하는 것 그리고 그들의 환경 에 영향을 주는 방법을 배우는 것을 포함한다.
치료 관계 형성은 내담자에게 실존적 접근을 강조하는 게슈탈트치료가 효과적으로 시용되려면 꼭 필요하다. 게슈탈트치료는 로저스로부터 영향을 받았는데, 그는 공감과 상담자가 내담자의 주관적 경험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는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요법은 또한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에 부버의 솔직한 나와 너의 관계의 강조에 영향을 받았다. 더욱 최근에 게슈탈트치료는 정신분석 에서 내담자와 치료자 사이 에 더 상호적으로 존중하며 교류하는 관계형성을 강조했던 개인 간 주관성 이론(intersubjective theory)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치료자와의 의미있는 관계형성은 깊어진 각성을 통하여 내담자의 성장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하다(Yontef & Jacobs, 2008). 이러한 치료관계 형성은 어떤 특별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에 대한 진실한 만남과 이해를 강조하는 대화적 관계 형성으로 묘사된다(Hycner & Jacobs, 1995).
게슈탈트치료는 내담자가 각성을 더 깊이 개발하도록 돕는 다수의 독특한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 그러나 효과적 인 게슈탈트치료에서는 치료 관계형성이 단지 기술보다 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강조한다. 코리는 “현대의 게슈탈트치료자들은 현재, 솔직한 대화, 온유함, 치료자에 의한 다소 직설적 인 표현, 정형화된 훈련의 감소, 내담자의 경험을 크게 신뢰하기 등과 같은 요소에 더 많은 가치를 두고 있다.”라고 주장했다(2009, 211). 이와 같이 최근의 게슈탈트치료는 펄스가 직면과 같은 특별한 기술만을 강조했던 초기 단계의 치료적 실천을 넘어서 발전해왔다.
참고문헌
양명숙, 김동일 외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히스 램버트 저,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국제제자훈련원 2015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윤가현, 권석만 외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에릭 L. 존슨 저, 기독교심리학, CLC 2012
샤프(Sharf, 2008)는 게슈탈트치료가 불안장애자들이나 우울증 환자들 그리고 완벽주의자들처럼 억제되거나 지나치게 사회화되거나, 수축된 내담자들에게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주장했다.
게슈탈트치료를 실시하는 내담자에게 발생하는 치료적 변화와 성장의 과정을 폴스터는 3단계의 통합 치유과정으로 설명했다. 첫째 단계는 발견(discovery)으로, 내담자가 자신에 대한 새로운 발견하는 것이나 옛 상황에 대한 새로운 관점을 가지는 것을 포함한다. 두 번째 단계는 수용(accommodation)으로, 내담자들이 선택권을 가지고 있기에 이 단계에서 중요한 치료적 지원을 가지고 새로운 다른 행동을 실험할 수 있다는 것을 깨닫는 것을 포함한다. 마지막세 번째 단계는 동화(assimilation)로서, 내담자들이 표현에 있어서 더 적극적이 되는 것과 그들이 타자나 환경으로부터 원하는 것을 획득하는 것 그리고 그들의 환경 에 영향을 주는 방법을 배우는 것을 포함한다.
치료 관계 형성은 내담자에게 실존적 접근을 강조하는 게슈탈트치료가 효과적으로 시용되려면 꼭 필요하다. 게슈탈트치료는 로저스로부터 영향을 받았는데, 그는 공감과 상담자가 내담자의 주관적 경험에 민감하게 반응하도록 하는 필요성을 강조했다. 이 요법은 또한 상담자와 내담자 사이에 부버의 솔직한 나와 너의 관계의 강조에 영향을 받았다. 더욱 최근에 게슈탈트치료는 정신분석 에서 내담자와 치료자 사이 에 더 상호적으로 존중하며 교류하는 관계형성을 강조했던 개인 간 주관성 이론(intersubjective theory)에 의해 영향을 받았다. 치료자와의 의미있는 관계형성은 깊어진 각성을 통하여 내담자의 성장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하다(Yontef & Jacobs, 2008). 이러한 치료관계 형성은 어떤 특별한 결과를 도출하는 것이 아니라 타자에 대한 진실한 만남과 이해를 강조하는 대화적 관계 형성으로 묘사된다(Hycner & Jacobs, 1995).
게슈탈트치료는 내담자가 각성을 더 깊이 개발하도록 돕는 다수의 독특한 치료 기술을 개발했다. 그러나 효과적 인 게슈탈트치료에서는 치료 관계형성이 단지 기술보다 더 중요한 요소라는 것을 강조한다. 코리는 “현대의 게슈탈트치료자들은 현재, 솔직한 대화, 온유함, 치료자에 의한 다소 직설적 인 표현, 정형화된 훈련의 감소, 내담자의 경험을 크게 신뢰하기 등과 같은 요소에 더 많은 가치를 두고 있다.”라고 주장했다(2009, 211). 이와 같이 최근의 게슈탈트치료는 펄스가 직면과 같은 특별한 기술만을 강조했던 초기 단계의 치료적 실천을 넘어서 발전해왔다.
참고문헌
양명숙, 김동일 외 저, 상담이론과 실제, 학지사 2013
히스 램버트 저, 성경적 상담의 핵심 개념, 국제제자훈련원 2015
에릭 존슨 저, 심리학과 기독교 어떤 관계인가, 부흥과개혁사 2012
윤가현, 권석만 외 저, 심리학의 이해, 학지사 2012
에릭 L. 존슨 저, 기독교심리학, CLC 2012
추천자료
가족치료 이론정리(경험적, 구조적, 행동주의적 가족치료)
인간중심모델
강점관점이론과 현실요법 비교분석
★정신분석상담이론과 인간중심상담이론, 게슈탈트 상담이론 비교★
환경속의 인간이라는 사회복지실천의 주요관점에서 기존에 배웠던 이론(정신분석이론, 심리사...
[심리치료와 상담] 한국의 심리치료 - 동사섭(同事攝)에 대한 이해(특성)
[상담과 심리치료] 미국기독교상담협회의 윤리강령(2004년판 윤리강령에 대한 개략) - 기독교...
[상담과 심리치료] 융의 주요 치료 기법과 개입(융의 치료 단계, 전이와 역전이의 분석과 해...
[상담과 심리치료] 기독교 상담자의 인격 및 전문인으로서의 상담자(효과적인 상담자의 개인...
[상담과 심리치료] 합리적 정서치료의 주요 치료 기법 및 치료적 개입(인지기법 및 정서기법,...
[상담과 심리치료] CBT에 대한 비판(강점과 약점) 과 CBT에 대한 미래 전망
사티어의 경험적 가족치료의 이론적 배경과 주요관점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