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뉴스의 구성과 내용
본 자료는 4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 10
  • 11
  • 12
  • 13
해당 자료는 4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4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북한 뉴스의 구성과 내용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1. 도입
2. 북한 보도 구성의 특징
3. 내용상의 특징
5. 최근 북한 뉴스의 변화

본문내용

특징으로 볼 수 있는 것은 식량과 관련된 분야가 총 114건으로 전체 경제기사 300건 중에 37.9%라는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주로 양어장 건설이나 토끼나 염소 기르기, 농장의 토지정리 등의 내용이 주를 이루고 있는 이러한 보도는 북한에서 식량사정 개선을 위해 가장 노력하고 있음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사례라 할 수 있다.
두 번째로 나타나는 특징으로 운수/항만/도로와 에너지 관련 보도가 각각 63건(20.9%)과 43건(14.3%)으로 두 번째와 세 번째로 높은 비율을 차지하고 있다는 점이다. 이는 북한에서 경제성장에 필수적인 사회 간접자본 시설이 부족하며 따라서 이의 건설을 강력히 선동하고 있다는 특징을 파악하게 하는 간접적 자료라 할 수 있다. 특히 에너지와 관련된 보도는 대부분 발전소 건설과 관련된 것으로 북한에서 전력생산이 부족하며 이를 위한 많은 노력이 진행되고 있음을 시사하고 있다고 하겠다. 이 밖에도 첨단기술 분야에 대한 보도도 22건(7.3%)으로 나타나 첨단기술에 대한 북한 당국의 관심이 적지 않음을 파악할 수 있다.
(3) 북한 내부의 보도
북한 내부의 보도에서 드러나는 가장 큰 특징은 김일성/김정일 찬양과 관련된 보도와 농업 및 식량과 관련된 보도가 거의 비슷한 비율로 그 점유율이 1, 2위를 다투고 있다는 점이다. 우선 김일성/김정일 찬양 보도가 136건으로 북한 내부 보도 866건 중에 15.7%로 가장 높은 비율을 보여주었다. 그 다음으로 농업 및 식량생산과 관련된 보도가 134건으로 북한 내부 보도 중 15.5%를 차지하고 있다. 이러한 결과는 북한의 방송 뉴스에서 북한 내부적으로 가장 강조하고 있는 것이 김일성/김정일에 대한 충성 강조, 그리고 식량 문제의 해결에 중점을 두고 있다는 점을 간접적으로 드러내 주는 것이라 할 수 있다. 거기에 더해 운수/항만/철도가 73건(8.4%), 에너지 52건(6.0%), 공업 45건(5.2%), 첨단기술 48건(5.5%) 등 경제개발과 관련된 보도의 비율이 높게 나타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김일성/김정일 찬양 및 경제와 관련된 보도를 제외하고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 북한 내부의 보도 내용은 모범사례와 관련된 기사였다. 모범사례와 관련된 기사는 67건으로 전체 866건의 기사 가운데 7.7%를 차지하였다. 이는 모범적 삶을 산 70세 이상의 개인들에 대한 김정일 위원장의 생일상 전달이 주된 내용을 차지하고 있다. 또한 스포츠와 관련된 기사가 51건으로 전체의 5.9%를 차지해 북한 내부에서 스포츠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찬양
농업
운수
에너지
공업
기술
모범사례
스포츠
건수(건)
136
134
73
52
45
48
67
51
비율(%)
15.7
15.5
8.4
6.0
5.2
5.5
7.7
5.9
(4) 생활/문화 관련 보도 내용
모범사례
스포츠/오락
생활정보
건수(건)
47
45
43
비율(%)
20.5
19.7
18.8
생활/문화와 관련된 뉴스는 다른 분야보다 북한 주민의 실생활을 더욱 깊이 파악할 수 있도록 해주는 부분이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생활/문화 관련 보도의 주요 내용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생활/문화와 관련되어 가장 높은 비율을 보인 보도는 모범사례와 관련된 보도였다. 주로 사상적으로나 각 분야에서 모범적인 삶을 산 70세 이상의 노인에게 김정일 위원장이 생일상을 내렸다는 소식이 대부분인 이러한 보도는 생활/문화 보도 229건 가운데 47건을 차지해 20.5%의 비율을 보이고 있다.
그 다음으로 높은 비율을 보이고 있는 분야가 스포츠/오락과 관련된 보도인데 총 45건의 기사로 19.7%의 비율을 보였다. 북한에서 스포츠 활동을 적극적으로 장려하면서 그 소식을 비교적 자세히 다루고 있으며, 학교, 직장 등에서의 생활체육을 강조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그 외에도 생활정보와 관련된 보도가 43건으로 18.8%를 차지하고 있다. 주로 생활에 필요한 지식이나 건강에 좋은 음식이나 질병 예방책, 사회과학원의 강의 내용 안내 등을 소개하고 있다. 특히 해외의 신기술이나 새로운 발견 등을 생활정보로 제공하기도 하는 특징을 보여준다.
5. 최근 북한 뉴스의 변화
(1) 대담 형식의 뉴스진행
조선중앙 TV의 메인 뉴스인 8시 뉴스에서는 8월 11일, 남자 아나운서가 중국의 원조로 건설되는 대안친선유리공장을 취재하고 돌아온 기자를 불러 대담을 나눠 눈길을 끌었다. 이와 같은 뉴스 보도 형식은 남한의 TV 방송에서는 흔히 볼 수 있지만 북한에서는 처음으로 시도된 것이다. 대담을 나누고 있는 두 사람의 뒤로 남한 TV뉴스 스튜디오에서 흔히 볼 수 있는 대형 평면 TV가 배치된 것도 눈에 띈다.
(2) 아나운서 옆에 등장한 스틸사진
또한 최근 들어 북한의 뉴스 보도에서 딱딱한 파란화면 옆에 스틸컷 사진을 곁들여 보도하는 모습이 자주 보였다.
(3) 화면 하단 뉴스타이틀 등장
그리고 조선중앙 TV는 오후 8시 보도시간에 화면 하단으로 뉴스타이틀 자막을 내보냈다. 이것은 전에는 북한 뉴스에서 볼 수 없던 방식이다. 이처럼 북한 보도는 최근 배경화면 교체, 게스트 출연 등 거듭 새로운 모습으로 탈바꿈하고 있다.
(4) 조선중앙TV 인터넷 다시보기 서비스 도입
2005년 9월 5일부터 조선중앙TV로 방영되는 매일 매일의 보도를 동영상으로 전재했다고 북한의 대외 홍보용 웹 사이트 ‘조선인포뱅크’가 최근 공지했다. 북한이 자체적으로 운영하는 웹 사이트에 영화나 플래시 애니메이션을 올리는 것은 흔히 있는 일이지만 TV에서 방영된 화면을 VOD 형태로 제공하는 것은 아주 이례적인 일이다. 다만 웹 사이트는 9월 5일부터 방영된 뉴스를 모두 제공하는 것은 아니고 본방송과 이틀 정도의 시차를 두고 다시보기를 제공하되 하루가 지나면 밀어내기 식으로 삭제하는 것으로 보인다.
(5) 북한 뉴스에 등장한 얼짱(?) 아나운서
아직은 메인뉴스에 등장치 못한 새내기 북한 아나운서이지만 조선중앙TV 탐방프로에 8일 출연해 미모를 뽐내고 있다. 세대교체는 아직 이르지만 조선중앙TV에는 요즘 젊은 세대의 아나운서들이 자주 등장하고 있다. 북한 TV에서는 아나운서의 이름을 밝히지 않는다.
  • 가격1,600
  • 페이지수13페이지
  • 등록일2015.05.29
  • 저작시기2015.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0621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