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어떤 발열량에 해당하는지 설명하시오.
-정적 발열량 : 체적을 고정한 상태에서 연소를 진행하여 측정한 발열량
에서 연료-산소-혼합기의 내부에너지
에서 연료 생성물의 내부에너지
-정압발열량 : 압력을 고정한 상태에서 연소를 진행하여 측정한 발열량
에서 연료-산소-혼합기의 엔탈피
에서 연료 생성물의 엔탈피
-고위 발열량 : 연료가 완전 연소했을 때 방출하는 열량. 연소에 의해 생긴 수증기의 잠열을 포함한 값을 말한다.
-저위 발열량 : 고위 발열량에서 연소 가스 중에 함유된 수증기의 증발열을 뺀 것을 말한다.
실험이 끝난 후에 장치 내부를 봤을 때의 사진이다. 사진에서 보면 장치 내에 물이 생긴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을 연소에 의해 생긴 수증기의 잠열을 포함한 값이라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실험은 고위발열량을 측정할 실험이다. 또한 일정한 체적을 연료를 연소시켜 열량을 측정하였으므로 정적발열량을 측정한 것이기도 하다.
⑥연료계의 물당량은 무엇을 나타내는지 설명하시오.
물당량 [water equivalent] : 물질의 온도를 1℃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을 열용량이라 하는데, 열용량은 물질의 고유 값인 비열과 질량을 곱한 값이다. 어떤 물질의 열용량과 같은 열용량을 갖는 물의 질량을 그 물체에 대한 물당량이라 한다. 물당량은 물질의 열용량을 물의 비열로 나눈 값이다.
⑦실험에 사용한 연료의 문헌에 나와 있는 발열량 값과 실험에서 얻은 발열량 값을 비교하시오.
실험값 :
이론값 : 11kcal/g
약 4kcal/g의 오차가 생겼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먼저 사람이 했다는 것이다. 전열선의 길이를 자를 때도 10cm로 자를 대고 잘랐는데 정확한 10cm를 사람이 자를 수 없기 때문에 오차가 난 것 같다. 또한 실험 후에 두 조각으로 나뉜 전열선의 길이를 측정할 때도 오차가 있었을 것이다. 게다가 정확한 시간마다 온도를 재야하는데 시간을 재는 것과 온도를 읽는 것도 모두 사람이 했으므로 오차가 났을 것이다. 두 번째로는 연료, 물 등 실험에서 사용하는 시료들을 정확한 용량을 맞추지 못해서 이다. 물도 1200g을 넣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였다. 연료 또한 공기 중에 증발 할 것을 감안하여 1g보다 조금 더 많이 넣었지만, 1g보다 더 증발 했을지 덜 증발 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을 사람이 아닌 기계로 정확한 값을 측정하여 실험을 했으면 실험값과 이론값이 거의 비슷하게 나올 것 같다.
-정적 발열량 : 체적을 고정한 상태에서 연소를 진행하여 측정한 발열량
에서 연료-산소-혼합기의 내부에너지
에서 연료 생성물의 내부에너지
-정압발열량 : 압력을 고정한 상태에서 연소를 진행하여 측정한 발열량
에서 연료-산소-혼합기의 엔탈피
에서 연료 생성물의 엔탈피
-고위 발열량 : 연료가 완전 연소했을 때 방출하는 열량. 연소에 의해 생긴 수증기의 잠열을 포함한 값을 말한다.
-저위 발열량 : 고위 발열량에서 연소 가스 중에 함유된 수증기의 증발열을 뺀 것을 말한다.
실험이 끝난 후에 장치 내부를 봤을 때의 사진이다. 사진에서 보면 장치 내에 물이 생긴 것을 볼 수 있다. 이것을 연소에 의해 생긴 수증기의 잠열을 포함한 값이라는 것을 보여 주고 있다. 그러므로 이 실험은 고위발열량을 측정할 실험이다. 또한 일정한 체적을 연료를 연소시켜 열량을 측정하였으므로 정적발열량을 측정한 것이기도 하다.
⑥연료계의 물당량은 무엇을 나타내는지 설명하시오.
물당량 [water equivalent] : 물질의 온도를 1℃ 증가시키는데 필요한 열량을 열용량이라 하는데, 열용량은 물질의 고유 값인 비열과 질량을 곱한 값이다. 어떤 물질의 열용량과 같은 열용량을 갖는 물의 질량을 그 물체에 대한 물당량이라 한다. 물당량은 물질의 열용량을 물의 비열로 나눈 값이다.
⑦실험에 사용한 연료의 문헌에 나와 있는 발열량 값과 실험에서 얻은 발열량 값을 비교하시오.
실험값 :
이론값 : 11kcal/g
약 4kcal/g의 오차가 생겼다. 오차의 원인으로는 먼저 사람이 했다는 것이다. 전열선의 길이를 자를 때도 10cm로 자를 대고 잘랐는데 정확한 10cm를 사람이 자를 수 없기 때문에 오차가 난 것 같다. 또한 실험 후에 두 조각으로 나뉜 전열선의 길이를 측정할 때도 오차가 있었을 것이다. 게다가 정확한 시간마다 온도를 재야하는데 시간을 재는 것과 온도를 읽는 것도 모두 사람이 했으므로 오차가 났을 것이다. 두 번째로는 연료, 물 등 실험에서 사용하는 시료들을 정확한 용량을 맞추지 못해서 이다. 물도 1200g을 넣어야 하는데 그러지 못하였다. 연료 또한 공기 중에 증발 할 것을 감안하여 1g보다 조금 더 많이 넣었지만, 1g보다 더 증발 했을지 덜 증발 했을지 모르기 때문이다. 이러한 것들을 사람이 아닌 기계로 정확한 값을 측정하여 실험을 했으면 실험값과 이론값이 거의 비슷하게 나올 것 같다.
추천자료
구리(Cu), 알루미늄(Al)의 열적 특정비쿄 실험결과
물리실험결과보고서- 열의 일당량
부체안정성실험결과레포트
구심력측정 - 물리실험결과보고서
충격시험(Impact Test) 실험결과 및 고찰
[물리]R-L, R-C, R-L-C 회로분석 실험결과보고서
관의공명(Resonance Tube) 실험결과보고서
A+맞은 실험 레포트 규석과 알루미나의 혼합비율에 따른 특성과 실험결과
인장시험 실험결과 보고서
[전기비저항탐사] 이론,실험결과,고찰
수경성 시멘트 모르타르의 압축강도 시험방법 - 시멘트가 가진 강함을 알고 품질검사와 동시...
[A+] 알칼리 탈지제의 제조와 탈지효과 - 탈지, 더러움의 종류 및 제거방법, 탈지 종류 및 방...
포토다이오드, 포토 트랜지스터에 대해서 - 정의, 센서의 원리, 센서의 종류 및 특징, 응용분...
실험결과 보고서 - 전자기이끎 현상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