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결과1차
2. 실험결과2차
3. 토론
2. 실험결과2차
3. 토론
본문내용
.5
31.0
31.2
30.6
27.8
27.4
41.1
25.1
18.6
-3.4
1.6
-23.552
1.Al di-5Cm cool flow 0.8gph
2.Al di-5Cm cool flow 1.6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8.5
37.7
30.6
30.9
30.3
27.8
27.4
41.2
24.0
18.6
-3.1
1.8
-58.120
3.Al di-5Cm cool flow 2.4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8.4
37.3
29.8
30.3
30.1
28.3
28.1
42.5
24.7
19.7
-2.0
2.7
-202.70
4.Cu di-5Cm cool flow 0.8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8.4
37.2
32.4
32.2
32.5
28.1
27.4
41.5
23.5
18.3
-4.1
1.3
-15.869
5.Cu di-5Cm cool flow 1.6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9.0
37.6
32.0
32.0
32.3
27.8
27.2
41.2
23.3
18.3
-4.2
1.3
-30.982
6.Cu di-5Cm cool flow 2.4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8.3
37.1
30.8
31.0
31.5
27.5
27.0
40.6
23.1
18.6
-3.5
1.6
-68.637
7.Cu di-2.5 cool flow 0.8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9.0
37.3
30.2
26.7
27.2
26.2
26.0
39.3
22.3
18.2
-0.5
1.2
-479.23
8.Cu di-2.5 cool flow 1.6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8.6
37.0
31.5
27.7
27.7
25.5
25.3
39.0
20.6
17.9
-2.2
0.9
-163.80
9.Cu di-2.5 cool flow 2.4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8.5
37.2
32.4
28.6
27.8
24.1
23.8
37.0
19.4
17.5
-4.5
0.5
-66.56
*실험결과(2차)
1.Cu di-5Cm cool flow 0.8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98.7
94.1
86.4
55.0
51.6
53.8
37.0
35.8
46.2
24.3
16.2
-14.6
0.7
-2.399
2.Cu di-5Cm cool flow 1.6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98.7
94.0
86.9
60.3
57.1
58.2
40.9
39.3
49.6
27.2
16.5
-16.2
1.0
-6.719
3.Cu di-5Cm cool flow 2.4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98.7
94.4
87.9
64.0
61.4
62.2
45.5
43.8
54.4
34.2
16.9
-15.9
1.4
-13.186
4.Cu di-2.5Cm cool flow 0.8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99.1
96.6
90.3
73.3
57.1
48.8
32.1
31.0
41.3
21.5
16.0
-25.0
0.5
-4.0043
5.Cu di-2.5Cm cool flow 1.6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99.1
96.6
89.9
69.5
51.7
46.0
31.4
30.8
44.2
23.4
17.6
-20.3
2.1
-41.419
6.Cu di-2.5Cm cool flow 2.4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99.1
96.5
89.6
65.4
46.9
43.8
30.1
29.6
41.0
22.5
17.4
-16.8
1.9
-16.980
Thermal condutivity의 변화
1.Al(40℃,di 5Cm)
set-T
0.8
1.6
2.4
40.0
23.552
50.048
66.73
2.Cu(40℃,di 5Cm)
set-T
0.8
1.6
2.4
40.0
15.869
30.982
55.316
*고찰
앞선 조와 마찬가지로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값이 100단위 인데 반해 실험 결과값은 1단위부터 100단위 까지 다양했다.
그리고 열손실도 생각해 두어야 겠다.
또한 냉각수의 온도변화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냉각수의 온도변화에 민감하다는 것을 미처 생각하지 못하였다. 냉각수 유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이다.
사실 자료를 찾아보면 Cu의 k값은 온도에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고, Al은 비례하는 경향이 있지만 실험 결과는 다르게 나왔다.
아무래도 위에서 언급한 데에서 오차가 생긴 것 같다.
온도구배에 있어서도 3,4번 sensor, 6,7번 sensor사이에서 온도차가 심할것으로 예상되지만, 오히려 2,3번 5,6번 sensor에서 차가 심하였다.
아무래도 unit의 insulation 차가 아닌가 생각된다.
끝으로 실험시 잘못되거나 곤란했던 점을 몇가지 지적하고자 한다.
첫째는 heat controller setting시 정확한 온도를 맞추지 못하였다.
둘째는 8번 sensor에 아무래도 이상이 있는 것 같다. 아무리 실험을 해봐도
너무 엉뚱한 값을 나타낸다. 그렇지만 결과는 그대로 나타내었다.
셋째는 좀더 정확한 값을 얻기위해 여러번 실험해서 평균치를 내보는 것이 낫지
않을까도 생각해 본다. 좀 시간이 많이 걸리기는 하지만...
마지막으로 냉각수 수조에 수도관을 연결했으면 좋을성 싶다.. 그래야 온도변화를
최대한 줄일수 있을 것이다
31.0
31.2
30.6
27.8
27.4
41.1
25.1
18.6
-3.4
1.6
-23.552
1.Al di-5Cm cool flow 0.8gph
2.Al di-5Cm cool flow 1.6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8.5
37.7
30.6
30.9
30.3
27.8
27.4
41.2
24.0
18.6
-3.1
1.8
-58.120
3.Al di-5Cm cool flow 2.4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8.4
37.3
29.8
30.3
30.1
28.3
28.1
42.5
24.7
19.7
-2.0
2.7
-202.70
4.Cu di-5Cm cool flow 0.8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8.4
37.2
32.4
32.2
32.5
28.1
27.4
41.5
23.5
18.3
-4.1
1.3
-15.869
5.Cu di-5Cm cool flow 1.6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9.0
37.6
32.0
32.0
32.3
27.8
27.2
41.2
23.3
18.3
-4.2
1.3
-30.982
6.Cu di-5Cm cool flow 2.4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8.3
37.1
30.8
31.0
31.5
27.5
27.0
40.6
23.1
18.6
-3.5
1.6
-68.637
7.Cu di-2.5 cool flow 0.8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9.0
37.3
30.2
26.7
27.2
26.2
26.0
39.3
22.3
18.2
-0.5
1.2
-479.23
8.Cu di-2.5 cool flow 1.6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8.6
37.0
31.5
27.7
27.7
25.5
25.3
39.0
20.6
17.9
-2.2
0.9
-163.80
9.Cu di-2.5 cool flow 2.4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39.8
38.5
37.2
32.4
28.6
27.8
24.1
23.8
37.0
19.4
17.5
-4.5
0.5
-66.56
*실험결과(2차)
1.Cu di-5Cm cool flow 0.8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98.7
94.1
86.4
55.0
51.6
53.8
37.0
35.8
46.2
24.3
16.2
-14.6
0.7
-2.399
2.Cu di-5Cm cool flow 1.6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98.7
94.0
86.9
60.3
57.1
58.2
40.9
39.3
49.6
27.2
16.5
-16.2
1.0
-6.719
3.Cu di-5Cm cool flow 2.4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98.7
94.4
87.9
64.0
61.4
62.2
45.5
43.8
54.4
34.2
16.9
-15.9
1.4
-13.186
4.Cu di-2.5Cm cool flow 0.8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99.1
96.6
90.3
73.3
57.1
48.8
32.1
31.0
41.3
21.5
16.0
-25.0
0.5
-4.0043
5.Cu di-2.5Cm cool flow 1.6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99.1
96.6
89.9
69.5
51.7
46.0
31.4
30.8
44.2
23.4
17.6
-20.3
2.1
-41.419
6.Cu di-2.5Cm cool flow 2.4gph
set-T
1
2
3
4
5
6
7
8
9
10
T6-T4
T10-Tc
-k
99.1
96.5
89.6
65.4
46.9
43.8
30.1
29.6
41.0
22.5
17.4
-16.8
1.9
-16.980
Thermal condutivity의 변화
1.Al(40℃,di 5Cm)
set-T
0.8
1.6
2.4
40.0
23.552
50.048
66.73
2.Cu(40℃,di 5Cm)
set-T
0.8
1.6
2.4
40.0
15.869
30.982
55.316
*고찰
앞선 조와 마찬가지로 좋은 결과를 얻지 못하였다. 기존에 알려진 값이 100단위 인데 반해 실험 결과값은 1단위부터 100단위 까지 다양했다.
그리고 열손실도 생각해 두어야 겠다.
또한 냉각수의 온도변화에 대해서도 주의를 기울여야 하겠다. 냉각수의 온도변화에 민감하다는 것을 미처 생각하지 못하였다. 냉각수 유량에 대해서도 마찬가지 이다.
사실 자료를 찾아보면 Cu의 k값은 온도에 반비례하는 경향이 있고, Al은 비례하는 경향이 있지만 실험 결과는 다르게 나왔다.
아무래도 위에서 언급한 데에서 오차가 생긴 것 같다.
온도구배에 있어서도 3,4번 sensor, 6,7번 sensor사이에서 온도차가 심할것으로 예상되지만, 오히려 2,3번 5,6번 sensor에서 차가 심하였다.
아무래도 unit의 insulation 차가 아닌가 생각된다.
끝으로 실험시 잘못되거나 곤란했던 점을 몇가지 지적하고자 한다.
첫째는 heat controller setting시 정확한 온도를 맞추지 못하였다.
둘째는 8번 sensor에 아무래도 이상이 있는 것 같다. 아무리 실험을 해봐도
너무 엉뚱한 값을 나타낸다. 그렇지만 결과는 그대로 나타내었다.
셋째는 좀더 정확한 값을 얻기위해 여러번 실험해서 평균치를 내보는 것이 낫지
않을까도 생각해 본다. 좀 시간이 많이 걸리기는 하지만...
마지막으로 냉각수 수조에 수도관을 연결했으면 좋을성 싶다.. 그래야 온도변화를
최대한 줄일수 있을 것이다
추천자료
자연어 색인과 통제어 색인의 비교
남한과 북한의 교원 교육 비교
인쇄광고의 표현 방법에 대한 비교연구 - 미국 VS 한국
생활보호법 과 국민기초생활 보장법 비교
외국과 우리나라의 ICT 교육 비교
소설 서편제와 영화 서편제의 비교
국내 지역축제의 사례와 해외성공사례 비교분석을 통한 발전방안
프로젝트 접근법과 레지오 에밀리아 비교 프로젝트 접근법 레지오 에밀리아 접...
실천론3 - 진단주의와 기능주의를 비교 서술하시오
19대 총선 정당별 복지공약 비교
[행정학과 B형] 비교방법에서 교차사례분석의 논리에 대하여 설명하시오
프랑스 일본 광고를 통한 비교연구 - 프랑스 일본 광고에서 나타나는 브랜드 이미지와 소비자...
조광조의 왕도정치와 마키아벨리의 군주론 비교 분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