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내용
015년의 대학생들도 크게 다르지 않다. 주체가 상실된 줄도 모르고 혼수상태에 빠진 채로 계속 이미지 또는 기호를 소비하고 있는 것이다. 이렇게 이미지와 기호에 의해 지배되는 시뮬라시옹 사회는 보드리야르 명제 “나는 소비한다. 고로 존재한다.” 보다는 “나는 이미지(기호)를 소비한다. 고로 존재한다.” 가 요즘 대학생들에게 더 적합한 표현일 것이다.
키워드
추천자료
중국의 대중문화 - 경극
독일의 대중문화
일본의 대중문화와 오락
[매스미디어론] 신세대와 대중문화
영화 ‘와이키키 브라더스’를 통해 알아본 한국의 대중문화
포스트모더니즘과 대중문화
현대유행패션과 대중문화
[언어와 문화][언어와 문화적 차이][언어와 문화교육][언어와 대중문화][언어와 방송문화][언...
90년대 대중음악과 대중문화에 대하여 (90년대/대중문화/대중음악/90년대 가요/가요/90년대 ...
[대중문화A+] 헐리우드 영화산업으로 살펴본 스타 제조과정과 시대에 따른 스타변화과정 및 ...
유신체제의 대중문화 탄압, 긴급조치9호 리포트
현대 음악의 이해 - 대중문화 속에서 찾은 현대음악
한국 대중문화 속 롤리타(Lolita) 코드와 걸그룹의 소녀 성애적 이미지를 통해 본 성차적 위...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