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기안전safety of electricity의 확립을 위한 방법
본 자료는 1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해당 자료는 1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1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전기안전safety of electricity의 확립을 위한 방법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가. 인입케이블
나. 선로개폐기(INT, LS)
다. 차단기(VCB)
라. 변압기(TR)
마. 개폐기(COS, PF 등)
바. 배분전반
사. 배선용 차단기
아. 누전 차단기
자. 발전기

본문내용

CCB를 활선상태에서 교체중 1차측 배선분리시 작업자 실수로 상간단락이 발생할 경우
화상 및 정전사고 위험 발생
> 사고예방대책
- 안전장구 착용 > 메인 전원개방 후 교체 작업
아. 누전 차단기
1) 누전차단기 내부단락으로 아크 발생
> 잠재적 위험요소
- 누전차단기 동작상태 확인을 위하여 안전장구를 착용하지 않고 점검자가 시험버튼을 누른순간 내부단락
으로 폭발과 함께 아크 발생 시 화상 및 화재사고 위험 발생
> 사고예방대책
- 안전장구착용 > 동작상태 확인 및 점검 > 불량 누전차단기 교체
2) 누전차단기 동작시험 중 지락사고 발생
> 잠재적 위험요소
- 누전차단기 상태를 확인하지 않고 시험하다가 절연파괴된 단자부분이 외함에 지락되면서 아크가 발생
할 경우 화상 및 지락사고 위험 발생
> 사고예방대책
- 안전장구착용 > 절연상태 확인 및 점검 > 불량 누전차단기 교체
자. 발전기
1) 축전지 캡 폭발
> 잠재적 위험요소
- 발전기 기동용 축전지의 전해액을 점검하기 위해 캡을 열어 점검중 축전지 내부에 생성된 가스에 의해
폭발하면서 캡이 튀어올라 올 경우 안전사고 발생
> 사고예방대책
- 점검시 유의사항 숙지 > 안전장구 착용 > 예비지식에 대한 교육 > 평상시 유지보수 철저
2) 축전지 폭발
> 잠재적 위험요소
- 작업자가 착각으로 축전지의 충전기 극성을 반대로 접속하고 전원을 투입하는 순간 축전지가 폭발할
경우 전해액의 분출로 안전 및 화상사고 발생
> 사고예방대책
- 예비지식 함양 > 안전장구 착용 > 축전지 상태 점검 및 확인 > 극성확인 > 접속시 단락사고 주의 >
접속, 측정
  • 가격6,300
  • 페이지수5페이지
  • 등록일2015.06.01
  • 저작시기2014.9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1117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