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기본 개념
펠라기우스 논쟁
의지의 자유
죄의 본성
은총과 공로의 개념
은총
공로
펠라기우스 논쟁
의지의 자유
죄의 본성
은총과 공로의 개념
은총
공로
본문내용
이다. 이 은총은 죄인들이 회심을 이루도록 작용하기도 하지만, 죄인들과 협력하여 그들을 거룩 안에서 성장시킨다. 이 협력은 공로로 이어지며, 이 공로로서 하나님은 신자들의 도덕적 행위들을 보상한다. 셋째, 공로는 일치적 공로와 타당한 공로로 구별 할 수 있다. 하나님을 근거로 한 공로는 일치적 공로이며, 각 개인의 도덕적 행위를 근거로 하여 의롭게 된 공로는 타당한 공로이다.
이러한 일반적 합의에도 불구하고 중세 후반 공로의 배경에 관한 논쟁이 주지주의와 주의주의의 논쟁과 맞물려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아퀴나스와 같은 저술가들은 주지주의로 묘사되어 공로에 대해 하나님의 지성이 행위의 고유한 가치를 인식하고, 그것에 따라서 보상하기 때문에 도덕적인 가치와 공로적인 가치가 균형잡힐 수 있다고 보았다. 반면 주의주의적 접근으로 묘사되는 오캄은 하나님은 하나님의지의 행동으로서 공로적 가치를 결정하시는 것이지 하나님께 공로에 대한 보상의 의무를 지게 하는 것은 하나님의 자유를 손상하는 것으로 바라보았다. 따라서 도덕적 가치와 공로적 가치사이에는 직접적 관계가 없다. 그러나 오캄은 그러한 주장으로 인간과 하나님의 개념 사이의 관계를 끊어버렸다고 비판받기도 한다.
이러한 일반적 합의에도 불구하고 중세 후반 공로의 배경에 관한 논쟁이 주지주의와 주의주의의 논쟁과 맞물려 활발하게 전개되었다. 아퀴나스와 같은 저술가들은 주지주의로 묘사되어 공로에 대해 하나님의 지성이 행위의 고유한 가치를 인식하고, 그것에 따라서 보상하기 때문에 도덕적인 가치와 공로적인 가치가 균형잡힐 수 있다고 보았다. 반면 주의주의적 접근으로 묘사되는 오캄은 하나님은 하나님의지의 행동으로서 공로적 가치를 결정하시는 것이지 하나님께 공로에 대한 보상의 의무를 지게 하는 것은 하나님의 자유를 손상하는 것으로 바라보았다. 따라서 도덕적 가치와 공로적 가치사이에는 직접적 관계가 없다. 그러나 오캄은 그러한 주장으로 인간과 하나님의 개념 사이의 관계를 끊어버렸다고 비판받기도 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