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 성폭력에 대한 우리의 생각
* 성폭력이란?(개념과 실태, 유형)
* 성폭력의 원인
* 피해자의 후유증
* 실제상황에서의 대처법
* 성폭력을 당했을때에는..
* 성폭력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 성폭력이란?(개념과 실태, 유형)
* 성폭력의 원인
* 피해자의 후유증
* 실제상황에서의 대처법
* 성폭력을 당했을때에는..
* 성폭력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본문내용
야 할까?
이러한 경우엔 단호하고 정확하게 자신의 불쾌감을 즉시 공식적인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성행위를 요구받았을 때의 자신의 기분과 의견을 즉시 전달하고 상호존중의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이때 직접적인거부 의사가 힘들면 서면으로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는 방법도 있다. 말로 할 자신이 없으면 서면으로나마 자신의 의견을 밝혀 나 자신을 보호해야 한다.
(6) 성폭행을 당했을 때에는..
성폭행을 당했을 때,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뛰어난 조치를 하는 것일까? 이런 경우에는 깜깜하고 절망적인 감정 속에서만 헤엄치고 있을 것이 아니라 가능한 한 빨리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중요하다. 병원에 가는 것이나 주위 사람들에게 알려질 것이 두려워 걸음을 늦추다가는 더더욱 해가 될 뿐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 성폭력을 당한 직후에는
1. 몸을 씻지 않은 채로 가능한 한 빨리 산부인과에 가야한다.
2. 몸에 멍이나 상처가 있을 경우 사진을 찍어 놓는다.
3. 피해 당시 입었던 옷가지나 다른 증거물을 모아 코팅되지 않은 종이봉투에 보관한다.
4. 자신을 지지해주고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을 찾는다.
5. 혼자 있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가족이나 친구 집 등 안전한 장소로 피한다.
6. 성폭력 전문상담기관에 도움을 요청한다.
7. 감정을 가라앉히고 고소여부를 결정한다.
♣ 어느 병원에 가야하나?
=> 상담소와 연계된 병원에 가시기를 권한다. 상담소와 연계되어 있는 병원의 의사선생님들께서는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증거채취, 임신방지, 성병검사 등 성폭력피해자에게 필요한 치료를 해준다. 상담소로 전화하시면 가까운 병원을 알려준다.
♣ 증거채취와 의료진찰을 받아야 하는 네 가지 중요한 이유
1. 어떠한 부상이라도 당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 흔히 사건 후, 피해자는 정신적 충격 때문에 어떤 부상을 당했는지 모를 수가 있다.
2. 성병이나 임신여부, 또 상처에 대한 두려움을 덜어주고 혼란한 정신을 수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3. 임신이나 성병의 유무를 검사받고, 예방지식을 얻을 수 있다.
4. 강간범이 잡혔을 때 재판에 필요한 의학적인 증거를 모으기 위하여 이러한 자료들은 가능한 빨리 수집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먹고, 마시고, 소변보고, 목욕하는 등의 매일의 생활을 통해서 없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산부인과에서의 의료검사와 증거채취
<증거채취의 내용>
① 몸의 상처 살피기
② 손톱 밑 검사
③ 외음부 검진
④ 질내검사
⑤ 혈액채취
⑥ 소변검사
⑦ 임신여부 검사
이외에도, 자신이 보고 느낀 점을 포괄적, 지속적으로 기록하는 즉 자신에게 가해진 성희롱으로 손상된 자신의 감정을 기술하는 방법과 학생회, 여성단체, 전문상담기관등에 상담하는 정도의 방법들이 있다.
(7) 성폭력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성폭행이라면 그냥, 남의 일로만 여기기가 일쑤다. 아니 사실 그편이 마음도 편하고 왠지 성폭행을 당한 사람이 불쌍하다는 생각보다는 “그러게 밤늦게 왜 다녀”라는 식으로 인식 하는 것도 매우 쉽다. 결국은 이런 인식이, 이런 이기주의가 우리사회의 성폭력을 자꾸만 늘어나게 하고 피해자들을 구렁 속으로 몰아넣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런 인식들의 결과로, 성폭력 범죄는 줄어들기 보다는 나날이 늘어가고만 있다. 2002년에 가서 조금 멈칫하는가 싶더니 금방 다시 올라가고 있는 범죄율이 그 사실을 바로 일깨워준다. 여성운동세력은 나날이 커져만 가고 법적인 제도는 나날이 정비되어 가고 있는데 왜 성폭력은 줄어들지도 않고 늘어나기만 하는 것일까? 결국은, 우리의 잘못된 인식과 무관심이 성폭력이라는 범죄를 그냥 가벼운 범죄로, 나와는 상관없는 것으로만 생각하게 하는 것은 아닐까?
우리 자신의 몸에 상처하나 생기는 것은 아파하면서 한 인간이 인생을 완전히 포기해 버릴 만큼 큰 상처를 받는 것에는 무관심한 것이 바로 우리의 모습이 아닌가 싶다. 그러므로 우리는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바뀌어야만 한다. 고치려면 100년이 가도 못할 이 많은 사회범주의 잘못된 인식과 관념들을 개선시키고 나아가 더 평등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에 일조해야 하는 것이다. 피해여성의 경우도 보다 적극적이고 빠른 대처로 피해사항을 하나라도 더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은 자신의 인생이므로, 조금 더 발 빠르게, 조금 더 열심히 대항하고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책이 아닐까하는 생각과 함께 보고서를 마친다.
이러한 경우엔 단호하고 정확하게 자신의 불쾌감을 즉시 공식적인 언어로 표현하는 것이 가장 중요하다. 성행위를 요구받았을 때의 자신의 기분과 의견을 즉시 전달하고 상호존중의 단계가 이루어지는 것이 중요한 것이다. 이때 직접적인거부 의사가 힘들면 서면으로 자신의 의견을 전달하는 방법도 있다. 말로 할 자신이 없으면 서면으로나마 자신의 의견을 밝혀 나 자신을 보호해야 한다.
(6) 성폭행을 당했을 때에는..
성폭행을 당했을 때, 어떻게 하는 것이 가장 빠르고 뛰어난 조치를 하는 것일까? 이런 경우에는 깜깜하고 절망적인 감정 속에서만 헤엄치고 있을 것이 아니라 가능한 한 빨리 도움을 요청하는 것이 중요하다. 병원에 가는 것이나 주위 사람들에게 알려질 것이 두려워 걸음을 늦추다가는 더더욱 해가 될 뿐이라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 성폭력을 당한 직후에는
1. 몸을 씻지 않은 채로 가능한 한 빨리 산부인과에 가야한다.
2. 몸에 멍이나 상처가 있을 경우 사진을 찍어 놓는다.
3. 피해 당시 입었던 옷가지나 다른 증거물을 모아 코팅되지 않은 종이봉투에 보관한다.
4. 자신을 지지해주고 도와줄 수 있는 사람을 찾는다.
5. 혼자 있는 것은 좋지 않습니다. 가족이나 친구 집 등 안전한 장소로 피한다.
6. 성폭력 전문상담기관에 도움을 요청한다.
7. 감정을 가라앉히고 고소여부를 결정한다.
♣ 어느 병원에 가야하나?
=> 상담소와 연계된 병원에 가시기를 권한다. 상담소와 연계되어 있는 병원의 의사선생님들께서는 성폭력에 대한 잘못된 통념을 가지고 있지 않으며, 증거채취, 임신방지, 성병검사 등 성폭력피해자에게 필요한 치료를 해준다. 상담소로 전화하시면 가까운 병원을 알려준다.
♣ 증거채취와 의료진찰을 받아야 하는 네 가지 중요한 이유
1. 어떠한 부상이라도 당했는지를 알아보기 위하여. - 흔히 사건 후, 피해자는 정신적 충격 때문에 어떤 부상을 당했는지 모를 수가 있다.
2. 성병이나 임신여부, 또 상처에 대한 두려움을 덜어주고 혼란한 정신을 수습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된다.
3. 임신이나 성병의 유무를 검사받고, 예방지식을 얻을 수 있다.
4. 강간범이 잡혔을 때 재판에 필요한 의학적인 증거를 모으기 위하여 이러한 자료들은 가능한 빨리 수집되어야만 한다. 왜냐하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먹고, 마시고, 소변보고, 목욕하는 등의 매일의 생활을 통해서 없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산부인과에서의 의료검사와 증거채취
<증거채취의 내용>
① 몸의 상처 살피기
② 손톱 밑 검사
③ 외음부 검진
④ 질내검사
⑤ 혈액채취
⑥ 소변검사
⑦ 임신여부 검사
이외에도, 자신이 보고 느낀 점을 포괄적, 지속적으로 기록하는 즉 자신에게 가해진 성희롱으로 손상된 자신의 감정을 기술하는 방법과 학생회, 여성단체, 전문상담기관등에 상담하는 정도의 방법들이 있다.
(7) 성폭력에 대처하는 우리의 자세
성폭행이라면 그냥, 남의 일로만 여기기가 일쑤다. 아니 사실 그편이 마음도 편하고 왠지 성폭행을 당한 사람이 불쌍하다는 생각보다는 “그러게 밤늦게 왜 다녀”라는 식으로 인식 하는 것도 매우 쉽다. 결국은 이런 인식이, 이런 이기주의가 우리사회의 성폭력을 자꾸만 늘어나게 하고 피해자들을 구렁 속으로 몰아넣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이런 인식들의 결과로, 성폭력 범죄는 줄어들기 보다는 나날이 늘어가고만 있다. 2002년에 가서 조금 멈칫하는가 싶더니 금방 다시 올라가고 있는 범죄율이 그 사실을 바로 일깨워준다. 여성운동세력은 나날이 커져만 가고 법적인 제도는 나날이 정비되어 가고 있는데 왜 성폭력은 줄어들지도 않고 늘어나기만 하는 것일까? 결국은, 우리의 잘못된 인식과 무관심이 성폭력이라는 범죄를 그냥 가벼운 범죄로, 나와는 상관없는 것으로만 생각하게 하는 것은 아닐까?
우리 자신의 몸에 상처하나 생기는 것은 아파하면서 한 인간이 인생을 완전히 포기해 버릴 만큼 큰 상처를 받는 것에는 무관심한 것이 바로 우리의 모습이 아닌가 싶다. 그러므로 우리는 보다 적극적인 자세로 바뀌어야만 한다. 고치려면 100년이 가도 못할 이 많은 사회범주의 잘못된 인식과 관념들을 개선시키고 나아가 더 평등하고 더 나은 사회를 만들어가는 데에 일조해야 하는 것이다. 피해여성의 경우도 보다 적극적이고 빠른 대처로 피해사항을 하나라도 더 줄이는 것이 중요하다. 결국은 자신의 인생이므로, 조금 더 발 빠르게, 조금 더 열심히 대항하고 예방하는 것이 가장 좋은 해결책이 아닐까하는 생각과 함께 보고서를 마친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