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목적
2. 이론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결과
6. 고찰
2. 이론
3. 실험 기구 및 시약
4. 실험방법
5. 결과
6. 고찰
본문내용
염, 마그네슘, 칼슘, 탄산염 등이 증발된 후 남은 물질로, 용해성 물질 및 부유물질의 총량을 말한다.
이 증발잔류물을 구하기 위해 건조된 증발접시를 이용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시료를 넣고 잔류물의 무게를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데시케이터 안에서 천천히 식힌다.
실험으로 서 고형물의 무게 (a) 얻을 수 있었고 그로 인해 증발잔류량을 구할 수 있었다. 결과로 45,719㎎/ℓ의 값을 얻었다. 일반적으로 해수의 TS값은 35,000㎎/ℓ정도라고 한다. 실험값이 더 크게 나온 이유로는 시료측정시 100㎎이상 담겼을 수도 있고 건조 과정에서 데시케이터 안에서 건조하였지만 기타 부유물이 들어갔을 가능성도 있으며 시료를 체취한 위치나 기후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과값이 다르게 나올 수 있다. 시료상의 차이가 아닌 실험시의 결과를 정확히 확인하기위해서는 실험 횟수를 늘려서 건조시의 부유물 인입이나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번 TS실험의 실험방법은 비교적 간단한 측정하고 건조시키는 간단한 실험이었지만 실험을 하는 목적과 이 실험이 쓰이는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었다.
7. 참고문헌
- 네이버 백과사전
- 상하수도 실험자료
이 증발잔류물을 구하기 위해 건조된 증발접시를 이용하여 무게를 측정한 후 시료를 넣고 잔류물의 무게를 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다른 이물질이 들어가지 못하도록 데시케이터 안에서 천천히 식힌다.
실험으로 서 고형물의 무게 (a) 얻을 수 있었고 그로 인해 증발잔류량을 구할 수 있었다. 결과로 45,719㎎/ℓ의 값을 얻었다. 일반적으로 해수의 TS값은 35,000㎎/ℓ정도라고 한다. 실험값이 더 크게 나온 이유로는 시료측정시 100㎎이상 담겼을 수도 있고 건조 과정에서 데시케이터 안에서 건조하였지만 기타 부유물이 들어갔을 가능성도 있으며 시료를 체취한 위치나 기후 등의 여러 가지 요인에 의해 결과값이 다르게 나올 수 있다. 시료상의 차이가 아닌 실험시의 결과를 정확히 확인하기위해서는 실험 횟수를 늘려서 건조시의 부유물 인입이나 측정 오차를 줄일 수 있다.
이번 TS실험의 실험방법은 비교적 간단한 측정하고 건조시키는 간단한 실험이었지만 실험을 하는 목적과 이 실험이 쓰이는 이유를 생각해 볼 수 있었다.
7. 참고문헌
- 네이버 백과사전
- 상하수도 실험자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