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교육이란 무엇인가
2. 교사로서 지녀야할 올바른 인간관
3. 정범모의 교육에 대한 정의
4. 피터스의 교육에 대한 정의
2. 교사로서 지녀야할 올바른 인간관
3. 정범모의 교육에 대한 정의
4. 피터스의 교육에 대한 정의
본문내용
것에 대한 완전한 이해와 안목을 갖춘 것이라고 보았다. 만약, 많이 배워서 아는 것은 많아도 자기가 하고 있는 일에 대한 안목이 부족하여 제한된 생각밖에 하지 못하는 사람은 교육받은 사람이 아니라고 보았다. 즉, 아무리 많이 알아도 이를 자신의 의지대로 실현시킬 줄 알고 다룰 줄 알아야 된다고 보았으며, 지식이나 기술에 대한 올바른 이해와 안목을 갖추지 않으면 아무리 많이 배우고 습득하더라도 진정한 의미의 교육이 아니라고 보았다.
피터스는 교육이란 위의 조건, 즉 인지적 준거, 과정적 준거, 규범적 준거를 모두 충족시킬 경우에만 교육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았다. 인지적 준거란 지식과 이해와 관련된 것이며, 과정적 준거는 도덕적으로 올바른 방법인지 아닌지를 뜻하는 것이다. 또한 규범적 준거를 따라야 하는데 도덕적으로 가치 있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면 교육이라고 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정범모와 피터스는 교육과 교육이 아닌 것을 명확히 구분했다는 점에 대해서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그들이 내세운 교육의 정의는 확연히 다르다. 정범모의 경우에는 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를 교육의 정의로, 피터스의 경우는 인간의 가치의 실현을 교육의 정의로 보았다.
피터스는 교육이란 위의 조건, 즉 인지적 준거, 과정적 준거, 규범적 준거를 모두 충족시킬 경우에만 교육이 이루어진 것이라고 보았다. 인지적 준거란 지식과 이해와 관련된 것이며, 과정적 준거는 도덕적으로 올바른 방법인지 아닌지를 뜻하는 것이다. 또한 규범적 준거를 따라야 하는데 도덕적으로 가치 있는 것을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면 교육이라고 볼 수 없다는 입장이다.
정범모와 피터스는 교육과 교육이 아닌 것을 명확히 구분했다는 점에 대해서 공통점이 있다. 하지만, 그들이 내세운 교육의 정의는 확연히 다르다. 정범모의 경우에는 인간행동의 계획적 변화를 교육의 정의로, 피터스의 경우는 인간의 가치의 실현을 교육의 정의로 보았다.
추천자료
마음의 중층구조의 입장에서 바람직한 지식으로서의 교과에 대해 논하고 과학적 교육과정 운...
초등학교 방과후 자율체육활동 활성화를 위한 교육환경과 프로그램
도덕과 목표 설정의 기본 이론과 준거(제7차교육과정)
2009년 2학기 청소년교육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09년 1학기 청소년교육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학업성취도][학업성취도평가][학업성취][교육평가][학업동기]학업성취도의 개념, 학업성취도...
2012년 1학기 청소년교육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2년 동계계절시험 청소년교육개론 시험범위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청소년교육개론 기말시험 핵심체크
2013년 1학기 청소년교육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유아체육] 유아 체육의 중요성과 유아 체육의 발전 방향 (유아 체육의 의의와 목표, 필요성,...
2014년 1학기 청소년교육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2015년 1학기 청소년교육개론 출석대체시험 핵심체크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