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수원 화성
화성에 쓰인 과학 기술
화성의 대문
두가지의 포루
화성의 시설1
북수문(화홍문)
공심돈
행궁의 지도
문화제와 주변의 조화
화성에 쓰인 과학 기술
화성의 대문
두가지의 포루
화성의 시설1
북수문(화홍문)
공심돈
행궁의 지도
문화제와 주변의 조화
본문내용
조선시대 계획된 도시 수원화성
수원 화성
<수원 화성>
만들어진 시기: 조선시대 정조 1794~1796
위치: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행궁길 185
면적: 5.4 Km의 성곽
만들어진 배경: 정조가 사도세자의 능을
수원으로 옮기면서 화성에
도시 계획
우리나라 문화재 지정 종목: 사적 제 3호
오늘날의 가치: -1997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록됨
-군사적 방어 기능과 상업적 기능 함께 가짐
-시설의 기능이 가장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구조로 되어 있는 동양 성곽의 백미
화성에 쓰인 과학 기술
1. 거중기(정약용): 무거운 돌을 쉽게 들어올림.
움직도르래를 이용해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물체를 올리는 장치.
2. 녹로: 돌을 원하는 위치로 쉽게 옮김.
고정도르래를 이용해 물건을
높은 곳으로 옮기는 장치.
3. 화성 성곽에 있는 성돌
다른 성돌 보다 길이가 길고 모서리를 깎은 심석을
사용하고, 돌을 깊숙이 박아
적에게 공격을 받아도 쉽게 무너지지 않게 함.
수원 화성
<수원 화성>
만들어진 시기: 조선시대 정조 1794~1796
위치: 경기도 수원시 팔달구 행궁길 185
면적: 5.4 Km의 성곽
만들어진 배경: 정조가 사도세자의 능을
수원으로 옮기면서 화성에
도시 계획
우리나라 문화재 지정 종목: 사적 제 3호
오늘날의 가치: -1997년 유네스코 세계 문화유산으로 등록됨
-군사적 방어 기능과 상업적 기능 함께 가짐
-시설의 기능이 가장 과학적이고 합리적이며 실용적인
구조로 되어 있는 동양 성곽의 백미
화성에 쓰인 과학 기술
1. 거중기(정약용): 무거운 돌을 쉽게 들어올림.
움직도르래를 이용해 작은 힘으로
무거운 물체를 올리는 장치.
2. 녹로: 돌을 원하는 위치로 쉽게 옮김.
고정도르래를 이용해 물건을
높은 곳으로 옮기는 장치.
3. 화성 성곽에 있는 성돌
다른 성돌 보다 길이가 길고 모서리를 깎은 심석을
사용하고, 돌을 깊숙이 박아
적에게 공격을 받아도 쉽게 무너지지 않게 함.
추천자료
북한의 고전문학사 - 조선시대
수원화성을 다녀와서
[행정사]조선시대 중앙행정기구와 정책회의
지역축제활성화방안 - 수원화성문화제
[사화]조선시대 4대 사화에 관하여
[역사] [근현대사]조선시대 서원의 성립과 교육적 기능
수원화성에 대하여
정부와 시민참여 - 영화 '이장과군수'와 비교한 조선시대 부패와 감찰제
일본 성곽과 수원화성의 비교
조선시대 시조 어부사시사, 어부가 작품분석, 조선시대 시조 강호가도, 훈민가 작품분석, 조...
[한국문학연구] <노처녀가Ⅰ>에 나타난 조선시대 여성의식
[조선시대정책결정(政策決定)] 조선시대의 정책결정과정 - 조선시대의 정책결정기구, 투입과...
전통문화의 성 [조선시대 춘화 형성배경]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