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21. RLC회로
[1] 측정값 및 계산
[3] 토의
[1] 측정값 및 계산
[3] 토의
본문내용
으로 전류는 값에 따라 달라진다. 여기서 공진주파수 이전의 주파수에서 는 음수임으로 주파수가 증가하면 는 작아지게 된다. 따라서 그리고 와 는 반비례함으로 가 작아짐에 따라 는 증가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공진주파수보다 작은 주파수에서 20Hz씩 주파수를 증가시킬 때 전류의 세기가 증가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대로 공진주파수보다 클 때 주파수가 커짐에 따라 전류의 세기가 감소하는 것도 이로부터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엑셀로 그린 그래프로부터 공진주파수를 기준으로 전류 대 주파수 그래프는 대칭에 가깝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비록 질문 2에서 완벽하게 대칭하지 않는다는 것을 알 수 있었지만 그래도 C가 마이크로단위라 거의 대칭한다고 결론내릴 수 있었다. 그리고 실험 2에서는 그래프가 타원에서 직선이 될 때까지 주파수를 증가시켜가며 공진주파수와 를 측정하였다. 이 때 공진주파수는 187Hz로 실험 1에서 추정한 공진주파수와 거의 비슷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그리고 마지막 실험 3에서는 실험 2에서 측정한 공진주파수에서, 출력전압과 전류의 진폭 과 를 측정하여 회로의 총 저항을 계산하는 실험을 하였다. 일단 실험 2에서 와 실험 3에서의 을 비교해보면 각각 3.020V, 2.995V로 거의 같다는 것을 볼 수 있었다. 하지만 RLC 회로에서 저항 R이 10인 것에 비해 실험 3에서 구한 은 7.65으로 계산되었다. 처음에 왜 이렇게 큰 오차가 생겼나 생각해 보았다. 결국 RLC 회로에서 저항 R만이 존재하는 것이 아니라 L과 C에도 저항이 있어 은 R에 비해 더 크게 측정되었다는 결론을 내렸다.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