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1. 실험 제목
2. 실험 목적
3. 실험 준비물
4. 실험 결과
5. 고찰 및 토론
2. 실험 목적
3. 실험 준비물
4. 실험 결과
5. 고찰 및 토론
본문내용
오차가 있었다.
위 회로의 출력 전압의 주기는 입력 전압의 주기의 0.5배이므로 입력 전원의 주파수가 일 때 회로에서의 출력 전압의 주기는 라 할 수 있다.
평균 전압 의 값은 으로 최고 전압 값의 배 이다. 따라서 평균 전압은 이다. 실제 실험 시에는 입력 전압을 12V가 아닌 11.8V로 맞춰주었기 때문에 평균치는 가 나옴을 알 수 있었다.
◆실험5. 브리지 정류회로와 필터
그림 4.12의 회로를 구성하시오. 입력전압은 함수발생기에서 주기가 10Hz이고 크기가 6V인 사인파를 사용하시오. 저항에 출력되는 파형을 입력 전압의 파형과 함께 그리시오.
① PSpice 시뮬레이션
< 그림 4. 12 전파 정류와 필터 >
< 그림 4 . 12 회로 사진 >
< 필터 된 파형 - 최고 전압 측정 >
< 필터 된 파형 - 주기 측정 >
< 필터 된 파형 >
② 실험결과
계산값
측정값
오차
최고 전압(V)
주기(T)
③ 결과 분석 및 고찰
실험5의 회로는 브리지 정류회로와 저주파 필터를 연결한 회로이다. 두 개의 다이오드만이 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두 개의 다이오드는 역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커패시터와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출력전압이 증가할 때 커패시터도 동시에 충전을 시작하고, 출력전압이 최고전압을 지나 감소하면 커패시터도 동시에 감소하기 시작한다. 이 때 커패시터의 시상수가 주기보다 크므로 커패시터의 방전속도가 출력전압의 감소 속도보다 느리다. 출력전압이 다시 증가하여 커패시터의 전압보다 높아지면 커패시터도 다시 충전을 시작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리플이 있는 직류파형이 출력된다. 실험4에서와 같이 순방향으로 연결된 두 개의 다이오드에서만이 다이오드 전압 만큼의 전압강하가 일어나므로 최고 전압은 이다. 실제 실험 시에는 입력 전압을 12V가 아닌 11.8V로 맞춰주었기 때문에 결과 값에 있어서 약간의 오차가 있었다.
위회로의 출력 전압의 주기는 입력 전압의 주기의 0.5배이므로 입력 전원의 주파수가 일 때 회로에서의 출력 전압의 주기는 라 할 수 있다.
5. 고찰 및 토론
이번 실험에서는 브리지 정류회로와, 저주파 필터를 연결한 브리지 정류회로를 구성해보았다. 브리지 정류회로만을 이용해 전파 정류회로를 만들면 직류형태가 아닌 양의 값만을 갖는 파형을 얻을 수 있었으나, 저주파 필터를 연결하면 직류에 가까운 파형을 얻을 수 있었다. 이때 시상수를 충분히 크게 하면 리플을 더 줄일 수 있다.
위 회로의 출력 전압의 주기는 입력 전압의 주기의 0.5배이므로 입력 전원의 주파수가 일 때 회로에서의 출력 전압의 주기는 라 할 수 있다.
평균 전압 의 값은 으로 최고 전압 값의 배 이다. 따라서 평균 전압은 이다. 실제 실험 시에는 입력 전압을 12V가 아닌 11.8V로 맞춰주었기 때문에 평균치는 가 나옴을 알 수 있었다.
◆실험5. 브리지 정류회로와 필터
그림 4.12의 회로를 구성하시오. 입력전압은 함수발생기에서 주기가 10Hz이고 크기가 6V인 사인파를 사용하시오. 저항에 출력되는 파형을 입력 전압의 파형과 함께 그리시오.
① PSpice 시뮬레이션
< 그림 4. 12 전파 정류와 필터 >
< 그림 4 . 12 회로 사진 >
< 필터 된 파형 - 최고 전압 측정 >
< 필터 된 파형 - 주기 측정 >
< 필터 된 파형 >
② 실험결과
계산값
측정값
오차
최고 전압(V)
주기(T)
③ 결과 분석 및 고찰
실험5의 회로는 브리지 정류회로와 저주파 필터를 연결한 회로이다. 두 개의 다이오드만이 순방향으로 연결되어 있고 두 개의 다이오드는 역방향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커패시터와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어 있다. 출력전압이 증가할 때 커패시터도 동시에 충전을 시작하고, 출력전압이 최고전압을 지나 감소하면 커패시터도 동시에 감소하기 시작한다. 이 때 커패시터의 시상수가 주기보다 크므로 커패시터의 방전속도가 출력전압의 감소 속도보다 느리다. 출력전압이 다시 증가하여 커패시터의 전압보다 높아지면 커패시터도 다시 충전을 시작한다. 이 과정을 반복하여 리플이 있는 직류파형이 출력된다. 실험4에서와 같이 순방향으로 연결된 두 개의 다이오드에서만이 다이오드 전압 만큼의 전압강하가 일어나므로 최고 전압은 이다. 실제 실험 시에는 입력 전압을 12V가 아닌 11.8V로 맞춰주었기 때문에 결과 값에 있어서 약간의 오차가 있었다.
위회로의 출력 전압의 주기는 입력 전압의 주기의 0.5배이므로 입력 전원의 주파수가 일 때 회로에서의 출력 전압의 주기는 라 할 수 있다.
5. 고찰 및 토론
이번 실험에서는 브리지 정류회로와, 저주파 필터를 연결한 브리지 정류회로를 구성해보았다. 브리지 정류회로만을 이용해 전파 정류회로를 만들면 직류형태가 아닌 양의 값만을 갖는 파형을 얻을 수 있었으나, 저주파 필터를 연결하면 직류에 가까운 파형을 얻을 수 있었다. 이때 시상수를 충분히 크게 하면 리플을 더 줄일 수 있다.
추천자료
[실험] (물리실험예비레포트)휘스톤브리지를 이용한 전기저항 측정실험
(전자공학) 가산 증폭기 실험
실험2 다이오드 특성
폐쇄회로카메라 노동자감시(노동감시) 사례, CCTV 시내버스 노동자감시(노동감시) 사례, 위치...
일반전자공학실험-실험 #6 저항 회로 및 중첩의 원리
에어백 회로 설계
부울 대수 및 조합 논리 회로(사전)
직렬 및 병렬 다이오드 회로 실험
논리회로 설계 - 디코더, 인코더 (Decoder, Encoder)
기초회로실험 01 - 멀티미디어 사용법 및 기초 회로 이론
전자공학실험2 7장 2009037406 최광호
[물리학 및 실험] RLC회로의 임피던스 : 저항, 인덕터 및 축전기로 구성된 교류회로에서 주파...
[설계보고서] 06 DC 파워서플라이(power supply) 설계 및 제작 (결과레포트) : DC Power Supp...
델타-와이회로 변환 예비리포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