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정신분석 음악치료
01 정신분석적 접근법
1-1 역사와 이론
1-2 예술심리치료와 창의적 활동
1-3 정신분석 음악치료의 배경 및 역사
1-4 정신분석과 음악의 관계
02 정신분석 음악치료의 특성
2-1 특성
2-2 구조 및 과정
2-3 자유즉흥연주
2-4 정신분석 음악치료의 모델
03 사례
3-1 베티
3-2 치료과정의 해석
01 정신분석적 접근법
1-1 역사와 이론
1-2 예술심리치료와 창의적 활동
1-3 정신분석 음악치료의 배경 및 역사
1-4 정신분석과 음악의 관계
02 정신분석 음악치료의 특성
2-1 특성
2-2 구조 및 과정
2-3 자유즉흥연주
2-4 정신분석 음악치료의 모델
03 사례
3-1 베티
3-2 치료과정의 해석
본문내용
정신분석 음악치료
Chapter 01
정신분석적 접근법
“정신분석 음악치료의
원리와 철학은
정신분석의 이론
에 근거하고 있다.”
행동주의적 접근법
• 미국에서 발전한 심리치료
• 학습이론과 파블로프의 조건화 이론
• 겉으로 드러나는 환자의 행동을 음악적 방법을 통해 강화 · 수정 및 보완해 가는 방법을 지향
정신분석적 접근법
• 유럽에서 발전한 심리치료
•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인간의 내면세계와 쉽게 드러나지 않는 무의식적 동기에 주목
• 음악을 내면세계를 탐색하고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
• 치료사와 환자 간의 관계성 중시
• 치료사와 환자가 함께하는 음악적 경험 치료 목표
〓〓〓〓〓〓〓〓〓〓〓〓〓〓〓〓〓〓〓〓〓〓〓〓〓〓〓〓〓〓〓〓〓〓〓〓〓〓〓〓〓〓〓〓〓〓〓〓〓〓〓
이것은 간접적으로 정신분석적 접근법의 핵심인 치료적 관계성, 특히 전이와 역전이 현상을 치료에 적용하는 것을 가리킨다. 대체로 이와 같은 접근법을 협의로는 '정신분석적 음악치료', 광의로는 '정신역동적 음악치료' 또는 '음악심리치료(music psychotherapy)'라고 부른다. 유럽에서는 대체로 '정신역동적 음악치료'와 '정신분석적 음악치료'란 용어를 사용하는데 반해, 미국에서는 '음악심리치료'란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정신역동(psychodynamic)'과 '정신분석(psychoanalytic)'의 차이는 치료사의 개입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즉 정신역동의 경우 대체로 현재-이순간(here-and-now)에 치료적 관계성에서 전이, 저항 등을 다루며 환자의 의식과 잠재의식에 주목하는 한편, 정신분석적 개입은 거기에서 더 나아가 무의식과 과거의 경험에 주목하며, 치료적 관계를 통해 과거를 재경험(re-experience) · 재구성(reconstruction)하고, 경우에 따라 치료적 퇴행(regression)을 통하여 비이성적인 단계까지 다루게 된다(Brown & Peddar, 1991; Cawley, 1977). 하지만 광의의 정신역동은 현존하는 심리치료기법을 통칭하여 정신분석과 그 밖의 모든 심리치료 기법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Chapter 01
정신분석적 접근법
“정신분석 음악치료의
원리와 철학은
정신분석의 이론
에 근거하고 있다.”
행동주의적 접근법
• 미국에서 발전한 심리치료
• 학습이론과 파블로프의 조건화 이론
• 겉으로 드러나는 환자의 행동을 음악적 방법을 통해 강화 · 수정 및 보완해 가는 방법을 지향
정신분석적 접근법
• 유럽에서 발전한 심리치료
• 겉으로 드러나지 않는 인간의 내면세계와 쉽게 드러나지 않는 무의식적 동기에 주목
• 음악을 내면세계를 탐색하고 이해하기 위한 수단으로 사용
• 치료사와 환자 간의 관계성 중시
• 치료사와 환자가 함께하는 음악적 경험 치료 목표
〓〓〓〓〓〓〓〓〓〓〓〓〓〓〓〓〓〓〓〓〓〓〓〓〓〓〓〓〓〓〓〓〓〓〓〓〓〓〓〓〓〓〓〓〓〓〓〓〓〓〓
이것은 간접적으로 정신분석적 접근법의 핵심인 치료적 관계성, 특히 전이와 역전이 현상을 치료에 적용하는 것을 가리킨다. 대체로 이와 같은 접근법을 협의로는 '정신분석적 음악치료', 광의로는 '정신역동적 음악치료' 또는 '음악심리치료(music psychotherapy)'라고 부른다. 유럽에서는 대체로 '정신역동적 음악치료'와 '정신분석적 음악치료'란 용어를 사용하는데 반해, 미국에서는 '음악심리치료'란 용어를 사용하는 경향이 있다
'정신역동(psychodynamic)'과 '정신분석(psychoanalytic)'의 차이는 치료사의 개입수준에 따라 달라진다. 즉 정신역동의 경우 대체로 현재-이순간(here-and-now)에 치료적 관계성에서 전이, 저항 등을 다루며 환자의 의식과 잠재의식에 주목하는 한편, 정신분석적 개입은 거기에서 더 나아가 무의식과 과거의 경험에 주목하며, 치료적 관계를 통해 과거를 재경험(re-experience) · 재구성(reconstruction)하고, 경우에 따라 치료적 퇴행(regression)을 통하여 비이성적인 단계까지 다루게 된다(Brown & Peddar, 1991; Cawley, 1977). 하지만 광의의 정신역동은 현존하는 심리치료기법을 통칭하여 정신분석과 그 밖의 모든 심리치료 기법을 포괄하는 의미로 사용되기도 한다
추천자료
프로이트의 정신분석 치료
정신지체의 음악치료
정신분석적 대상관계 가족치료 이론
정신분석학 연구의 최근동향과 치료실제에 미치는 영향
음악치료의 과정 및 사례분석
융의 정신분석적 치료(요약)
[에릭슨]에릭 에릭슨 생애, 에릭 에릭슨 심리사회이론, 에릭 에릭슨 심리사회이론 주요개념, ...
뇌성마비의 정의, 뇌성마비의 원인, 뇌성마비의 분류, 뇌성마비아의 발달특성, 뇌성마비아 시...
성격이론 중 정신분석이론, 인지이론, 행동주의 이론, 인본주의 이론의 치료기법에 대해 간단...
정신분석적 치료 3
[인간행동과사회환경]성격이론 중 정신분석이론, 인지이론, 행동주의이론, 인본주의 이론의 ...
[놀이치료] 놀이의 정신분석이론과 인지이론을 비교
심리사회모델 사회복지실천기술(심리사회모델이론, PIE, 정신분석이론, 대상관계이론등, 심리...
정신분석학적 놀이치료
소개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