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인간호학]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에 대하여
본 자료는 3페이지 의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이미지를 클릭하여 주세요.
닫기
  • 1
  • 2
  • 3
  • 4
  • 5
  • 6
  • 7
  • 8
  • 9
해당 자료는 3페이지 까지만 미리보기를 제공합니다.
3페이지 이후부터 다운로드 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소개글

[성인간호학] 죽상경화증(atherosclerosis)에 대하여에 대한 보고서 자료입니다.

목차

※ 목 차

▶ 죽상경화증이란?

▷ 병태생리

▶ 진단

▷ 치료

▶ 예방

▷ 간호중재

본문내용

복부 : 죽상경화증이 장에 혈액을 공급하는 동맥을 좁아지게 한 경우,
환자는 풍선혈관성형술(스텐트를 사용할 수도, 사용하지 않을 수도 있음) 또는
동맥우회술(bypassarterial graft)로 치료할 수 있다.
다리 : 간헐파행에 대한 주된 치료는 금연, 운동(대개 걷기 프로그램), 아스피린이 있다.
심한 동맥 협착이 있는 사람은 풍선혈관성형술(스텐트를 사용할 수도, 사용하지
않을수도 있음), 레이저혈관성형술, 죽상판절제술, 우회술로 치료할 수 있다.
5) 예방
죽상경화증은 임상적 증상이 나타나기 전 수 년 동안에 걸쳐 진행되는 퇴행성 질환이므로 나이가 들어가면서 경화성 변화가 오는 것은 피할 수 없지만, 예방 할 수 있는 부분이 있다.
고혈압이나 당뇨병은 위험요인이므로 조기에 발견하여 조절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다
고지혈증 환자는 자신의 혈중에 콜레스테롤 양이 증가된 것을 느끼지 못 할 수 있다.
사실상 콜레스테롤은 모든 세포내에 존재하며 소화과정을 위해서 담즙을 형성하는 등
신체 산물을 만들기 위해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그러나 고지혈증 대상은 신체내의
콜레스테롤을 증가시키는 지방과 외인성 콜레스테롤을 과다 섭취하는 경향이 있다.
식사시 지방의 섭취량을 총 칼로리 섭취의 30% 이하로 제한하면 상승된 콜레스테롤을
감소시킬 수 있다. 칼로리 섭취의 30% 이내로 지방의 섭취를 제한하기 위해서는 먼저
이상적인 칼로리 섭취량을 알아야한다. 지방 섭취시 포화지방은 10% 이내로 제한하고,
20%는 불포화지방을 섭취한다.
섬유소가 높은 식품을 보충해 주어야 하는데 몇 연구에서 수용성 섬유소 식품은 혈청내
콜레스테롤을 유의하게 낮추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음식은 현미나 말린 콩 종류
등이 있다.
칼로리 섭취량은 이상적인 체중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조절되어야 한다.
또 하나의 가장 큰 위험요인 중 하나는 흡연이다. 한 연구에 의하면 말초혈관질환자의
98%가 흡연을 한 사람이다. 혈관수술을 받은 비 흡연자는 흡연자보다 생존율이 5년
높았다.
죽상경화증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규칙적인 운동이 필요하다. 운동은 죽종 형성을 막고
측부순환을 촉진시킨다.
그 밖의 예방으로 중요한 점은 40세 이상에서는 규칙적으로 신체검진을 받는 것이다.
6) 간호
폐쇄 증상이 없는 환자는 질병 진행을 예방하기 위해 치료한다. 중재방법은 질병 예방 방법과 비슷하다.
비수술 요법 : 금연하고 지방과 콜레스테롤의 섭취를 제한한다. 식이제한만으로
혈액내 콜레스테롤이 저하되지 않으면 니코틴산이나 lovastatin(Mevacor)과
같은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약물을 복용하게 한다. nicotinic acid는 100mg
을 하루에 2-3회 식사와 함께 투여한다.
흔한 부작용은 홍조, 소양증, 소화장애이다.
lovastatin은 초기에는 하루에 한 번 20mg을 저녁시사와 함께 투여하다가
이후에는 40mg으로 증가시킨다.
수술 요법 : 죽상경화증으로 혈관이 심하게 좁아지거나 동맥류와 같은 변화가 없으면
보통 수술은 하지 않는다. 동맥류의 수술요법은 동맥류의 설명을 참조한다.
퇴원 계획 : 죽상경화증 환자는 혈관 폐쇄증상이 있을때만 입원한다.
퇴원 환자 교육시에는 저지방식이와 저콜레스테롤 식이 및 운동요법의 중요성
에 관해 설명한다. 폐쇄성 죽상경화증의 증상을 강조하고, 이러한 증상이 있
을 때 즉시 보고하도록 가르친다. 폐쇄 증상은 가슴의 불편감, 등 부위, 턱
및 양팔에 방사통, 다리에 통증, 허약감, 현기증, 시야의 흐림, 무감각, 얼굴 이나 다리감각의 상실, 복부나 등의 심한 통증이 포함된다.
심리적지지 : 생활 습관의 변화를 위한 심리적 지지가 중요한데 식이, 운동 및 흡연 습관
의 변화를 가족과 함께 논의한다.
환자가 죽상 경화증의 질병상태에 관해 공포를 느끼면, 생활 습관의 변화로
질병의 위험이 훨씬 감소될 수 잇음을 설명하여 안심시킨다.
<출처 및 참고문헌>
1. 고문사, 아틀라스 병리학 김건희 박영례 박지은, 이지원, 전호선, 차병헌 외 역
2. 수문사, 성인간호학2 이항련, 최철자, 박오장, 김영숙, 최경옥, 김금순, 현경선,
윤은자 외
3. 보건복지부(www.mw.go.kr)
4. http://www.vitaminmd.co.kr/home.latte
5. 대한의학회(www.kams.or.kr)
6. 세브란스 병원(http://sev.iseverance.com/)
7. http://blog.daum.net/kym3873
  • 가격2,000
  • 페이지수9페이지
  • 등록일2015.06.25
  • 저작시기2014.5
  • 파일형식한글(hwp)
  • 자료번호#974652
본 자료는 최근 2주간 다운받은 회원이 없습니다.
청소해
다운로드 장바구니